청원사
청원사는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성은리 397번지에 소재한 사찰이다. 대한 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의 말사로387번 국도를 따라 양성에서 원곡방향으로 진행해서 성은고개를 넘어 성은고개 정상부에서 휴게소를 돌아 우회전하면 천덕산 아래 성은리에 이르게 되는데,여기서 성은낚시터 방향의 이정표를 따라 산길을 1㎞ 정도 오르면 청원사에 이르게 된다.
청원사가 자리한 청덕산은 병자호란 때 의병 천 여명이 이곳에 은신하면서 목숨을 구했다고하여 천덕산이라 불리게 되었으며, 청원사는 산골짜기 언덕 안으로 늘 푸른 안개가 끼는데 연유한 것이라 전설이 전하고 있다. 아울러 옛날 청원사에서 불도를 닦던 스님이 명절이 되자 팥죽을 쑤어 부처님께 공양하려고 하였는데, 음식을 해 먹은 지가 너무 오래되어 아궁이에 불을 피울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산을 내려가 마을에서 불씨를 얻어 절로 돌아와 대웅전에 들어갔더니 벌써 부처님의 입에 팥죽이 묻어있었다는 일화가 구전되고 있다. 청원사는 산으로 깊숙이 들어간 곳에 자리하고 있어 산새와 풀벌레들 소리 이외엔 아무 소음도 없어, 도시의 소음에 지친 사람들에겐 고요함만으로도 휴식의 공간으로선 충분한 곳이며, 꼭 불교신자가 아니더라도 한번쯤 찾아와 일상을 정리할 수 있는 장소가 될 것이다. 특히 청원사는 대웅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 174호)과 대웅전 앞에 있는 전형적인 고려탑의 기법을 보여주고 있는 청원사 7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6호)으로 유명하다. 또한 불상이 지불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뭐고 화두를 안고 청원사로
이뭐고를 묻는 본전 스님은 항시 지대방을 개방하여 차담을 하며 불자들의 수행상담과
개인 개인의 성향에 맞추어 알기 쉽게 불교 포교를 전해주십니다.
청원사 해우소
청원사 요사
청원사 7층석탑
대웅전 앞에 있는 전형적인 고려탑의 기법을 보여주고 있는 청원사 7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6호)으로 유명하다.
청원사 석탑
청원사 지대방(대방)
청원사 극락전
청원사 극락전
청원사 대웅전
대웅전은 전면이 석축(石築)으로 쌓고, 후면 벽에 토단(土壇)으로 쌓은 8.5m×8m 크기의 기단(基壇)위에 남서 20˚ 방향으로 세워진 건물로서 정면 3칸, 측면 3칸의 규모로 방풍판을 갖춘 다포계의 맞배 지붕집으로 공포는 1개씩 배치되었고, 내부에는 후면 벽에 붙여서 불단을 설치하여 아미타 삼존불을 봉안하였다.
대웅전 삼존불
대웅전 내부에 봉안된 삼존불(三尊佛)중 본존불(本尊佛)은 지불(支佛)로써 고려사경(高麗寫經)이 복장 되었던 불상으로 개금불사(改金佛事) 당시 손질을 가해 상체를 곧게 세우고 있으나 원래는 약간 앞으로 숙이고 있던 것으로 생각되며, 수인(手印)은 오른 손을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상장(上掌)한 모습이나 원래는 오른 손을 외장(外掌)을 하였고, 왼손도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외장을 한 모습이나, 원래는 오른손을 무릎 위에 댄 체로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상장한 모습이었다고 한다. 이는 손목을 끼울 때 손바닥의 위치를 반대로 끼운 결과이다. 대웅전 본존불은 개금 불사할 때 발견된 복장품 9권의 사경과 묵서가 쓰여진 비단조각이다. 특히 9권의 사경은 전래 경위와 발견 장소가 확실한 국내 최초의 국왕 발원 사경이라는 점에서 주목되었고, 현재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보관중이며, 보물 740호로 지정되었다
삼성각과 불식선원
청원사 삼성각
청원사 전경
불식 선원
이뭐꼬! 화두를 들고 일반 불제자들이 자유 참석하여 참선 수행 정진
하는 선원으로 많은 불자들이 수행하기 좋은 선원으로 유명합니다.
석등에서 바라다본 불식 선원
수령이 오래된 느티나무
청원사 부도탑과 공덕비
청원사 찾아가는 길
387번 국도를 따라 양성에서 원곡방향으로 진행해서 3.1운동 기념관이 있는 만세고개를 넘어 만세고개 정상부에서 휴게소를 돌아 우회전하면 천덕산 아래 성은리에 이르게 되는데,
여기서 성은낚시터 방향의 이정표를 따라 산길을 1㎞ 정도 오르면 청원사에 이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