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與其A 寧B : A보다는 차라리 B한다 與其A 不若(不如)B : A하는 것이 B하는 것만 못하다 與其A 孰若B : A에 대하여 누가 B만 같으리오<이상 B선택> 寧A 勿(無)B : 차라리 A할지언정 B하지 말라 <A 선택> |
․禮與其奢也, 寧儉
․寧爲鷄口, 勿爲牛後
¶최상급 비교의 관용구
① ‘莫~於’<~보다 ~한 것이 없다>
․養心, 莫善於寡慾
② ‘莫~焉’<이보다 ~한 것이 없다>
․過而能改, 善莫大焉
* 比較形 文章 例
․光陰速乎矢 <~보다>
․霜葉紅於二月花 <~보다>
․世俗之人, 喜人之同乎己 <~와>
․過猶不及 <~와 같다>
․君子之交, 淡若水 <~와 같다>
․勢不若尊德 <~만 같지 않다>
ⅶ. 使動形
사역형이라고도 하며 주체가 남에게 어떤 동작을 하게 하는(시키는) 뜻을 나타내는 글의
형식.
(1) 사동 보조사가 쓰인 경우 : ‘使, 令, 敎, 俾’<~로 하여금 ~하게 하다>
․天帝使我長百獸
․乃命老臣, 俾之編輯
(2) 사역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 : 遣, 命, 召, 說(세), 勸 등
․遣婢買肉而來
․命善射者, 射之
(3) 문맥상의 사동형 : 自動詞가 목적어를 수반하면 대개 사동형이 된다.
․動天地, 感鬼神
․死孔明走生仲達
* 기타 사동형 문장
․使天下無以古非今
․世宗召儒者, 讀史
․說夫差, 赦越
․臨別飮友酒
ⅷ. 피동형
수동형(受動形)이라고도 하며, 어떤 동작을 남에게 당하게 됨을 나타내는 글의 형식.
(1) 피동보조사가 쓰인 경우 : ‘被, 見, 爲’<~을 당하다>
․信而見疑, 忠而被謗
(2) 피동 전치사가 쓰인 경우 : ‘於(=乎, 于)’ <~에게 ~을 당하다>
․君子役物, 小人役於物
(3) 관용구가 쓰인 경우 : ‘爲~所’, ‘見~於’ <~에게 ~을 당하다>
․先則制人, 後則爲人所制
․吾嘗三仕, 三見逐於君
☞ ‘爲A所B’ : <A에게 B를 당하다>, 이 때 ‘爲’나 ‘所’가 생략되기도 한다.
ex) ․(爲)千人所指, 無病而死
․身爲宋國(所)笑
☞ ‘爲~所’의 문형을 ‘見~於’의 문형으로 바꾸면 ‘見B於A’의 형태가 된다.
ex) ․爲人所制 → 見制於人
* ‘見(被)B於A’ 문형도 피동보조사 ‘見 (被)’나 피동 전치사 ‘於’가 생략되기도 한다.
ex) ․用於國 → (被)用於國
(4) 문맥상 피동형
․仁則榮, 不仁則辱
* 기타 피동형 문장
․卒爲天下笑
․幼被慈母三遷之敎
․不信乎朋友, 不獲乎上矣
․家畜皆爲盜所掠
․被拘於旅順獄
ⅸ. 假定形
어떤 조건을 설정하고 그 결과를 예상하거나 의지를 나타내는 글의 형식.
(1) 가정 부사가 쓰인 경우 : 若, 如, 苟, 雖, 縱, 使, 設 등
․春若不耕, 秋無所望
․人雖至愚, 責人則明
(2) 가정 접속사가 쓰인 경우 : ‘A則B’<A이면 (곧) B이다>
․欲速則不達
(3) 문맥상의 가정형 : 가정 부사(若)이나 접속사(則)이 생략된 형태이며, 특히 ‘不~不’, ‘微’
등의 조건 부정형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子雖賢, 不敎, 不明
․朝聞道, 夕死可矣
․微斯人, 吾誰與歸
* 가정 부사의 해석
․若(如), 苟 : <만약 ~라면>
․雖(縱) : <비록 ~ㄹ지라도>
․使 : <가령 ~하게 한다면> ex) 使驕且吝, 其餘不足觀也
․設 : <설령 ~지만>
* 기타 가정형 문장
․設未得其當, 不爲病
․一家和睦, 則生福必盛
․(若)忍一時之忿, (則)免百日之憂
․人無遠慮, 必有近憂
ⅹ. 感歎形
(1) 감탄사가 쓰인 경우 : ‘嗚乎, 於乎, 於戱, 噫, 惡’ <아 !>
․死生決矣, 於乎歸矣
․噫, 天喪予
(2) 감탄 종결사가 스인 경우 : ‘夫, 與, 哉, 乎, 兮, 矣’
․逝者如斯夫, 不舍晝夜
․滄浪之水, 淸兮
* 기타 감탄형 문장
․嗚呼老矣
․嗚呼痛哉
․惡, 是何言也
ⅹⅰ. 限定形
사물, 행위의 범위나 정도를 한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문장 형식.
(1) 한정 부사가 쓰인 경우 : ‘惟, 維, 唯, 但, 只, 徒’<오직>
․學者所患, 惟有立志不誠
․只在此山中, 雲深不知處
(2) 한정 종결사가 쓰인 경우 : ‘耳, 爾, 已, 而已, 而已矣’
․昭帝立時, 年五歲爾
․隧事各得其當而已
․夫子之道, 忠恕而已矣
(3) 호응구가 쓰인 경우
․惟淡泊, 是愧耳
․直不百步耳, 是亦走也
* 기타 한정형 문장
․便於日用耳
․不獨染絲爲然
․不獨中華也
ⅹⅱ. 抑揚形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가볍게 눌렀다가 다시 어조를 높임으로써 뜻을 강조하는 문장 형
식. : ‘況~乎’<하물며 ~하랴 ?>, ‘且~安~’<~도 하는데 어찌 ~하랴>
․布衣之交, 尙不相欺, 況大國乎
․死馬且買之, 況生者乎
․臣, 死且不避, 巵酒安足辭
ⅹⅲ. 累加形
글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점차 뜻을 보태가는 문장형식 : ‘非徒~且’, ‘不惟~亦’,
‘非獨~且’ <다만 ~일 뿐만 아니라 또(한)~>, ‘豈徒~又’, ‘豈獨~亦’<어찌 ~뿐이겠는
가 또(한)~>
․非徒危己也, 又且危父矣
․不惟有超世之才, 亦有堅忍之心
․豈徒順之, 又從而爲之辭
*累加形의 형태
① ‘부정사 (不,非) + 한정부사 (惟,獨,徒,只,但) + 접속사 (亦,又)
② ‘의문사(豈,奚) + 한정부사(惟,獨,只) + 접속사(又,亦)
Ⅱ. 虛字의 用法
ⅰ. ‘於(=于, 乎)’의 용법
(1) 處所 : ~에, ~에서, ~(으)로
․李舜臣, 生於漢陽
․月出於東山之上
(2) 對象․目的 : ~에, ~에게, ~을(를)
․吾十有五而志于學
․攻乎異端
(3) 比較 : ~보다, ~와(같다,다르다)
․霜葉紅於二月花
․世俗之人, 皆喜人之同乎己, 而惡人之異於己也
(4) 被動 : ~에게 ~을(를)당하다
․勞心者, 治人, 勞力者, 治於人
(5) 出發․由來 : ~에서, ~에게서, ~로부터
․出乎爾者, 反乎爾
․福生於淸儉
(6) 時間 : ~에, ~에서
․一日之計, 在於晨
․孔孟之法, 傳於千萬歲
(7) 感歎詞 : 아 !
․於戱, 前王不忘
․于嗟甚兮, 命之衰也
ⅱ. ‘以’의 용법
‘以 + 명사’의 구조를 이루며, 주로 서술어 앞에 자리하여 그 서술어를 한정하는 부사어
가 된다. 단 ‘以’가 목적어를 이끌 때는 목적어가 된다.
(1) 수단, 방법, 도구, 재료 : ~로써, ~을 가지고서
․非學問, 無以爲人
․以子之矛, 陷子之盾, 何如
(2) 신분, 자격 : ~로서, ~의 자격으로서
․以臣弑君, 何爲人乎
․王待吾以國士
(3) 원인 : ~이므로, ~이어서, ~때문에
․以不材得終其千年
․未嘗以貧廢學
(4) 목적어를 이끔 : ~을(를)
․弟, 以其一, 與兄
․堯讓許由以天下
(5) 시간, 기간 : ~에, ~동안
․以十月祭天
․去以六月息者
(6) 동반 : ~과 더불어, ~을 거느리고
․庾信以兵進而圍城
(7) 순접 : ~하여, ~해서 ← ‘이 + 용언’인 경우 (以 = 而)
․樂以忘憂
․殺身以成仁
※ ‘以’와 ‘而’ : ‘以’가 접속사로 쓰이는 경우 ‘而’의 순접용법과 같이 쓰인다. 이 경우
‘以’의 (앞과) 뒤에는 각 각 용언이 온다.
※ ‘以’의 특수 용법
① ‘以A爲B’ : A를 B라고 여기다(생각하다, 삼다)
․百姓皆以王爲愛也
․以修身爲本
* ‘以爲B’ : ‘以(A)爲B’의 변형
․虎以(之)爲然
② 명사 - 이유, 까닭
․良有以也
③ 부사어(이 + 명사류)의 강조
․事君以忠 → ‘以忠事君’의 도치 ‘以忠’ 강조
ⅲ. ‘自’의 용법
(1) 전치사 ( = 從, 由 ) : ~에서, ~로 부터
․自天而降乎, 從地而出乎
․退之自幼, 機智如此
(2) 부사 : 스스로, 저절로, 자연히
․浮生空自忙
․一日行善, 福雖未至, 禍自遠矣
(3) 명사 : 자신, 스스로
․子自愛, 不愛父, 故, 虧父自利
※ ‘自~至’의 호응 : ~로부터 ~까지
․自初至終
․自昏至夜, 街巷行燈, 相續不絶
ⅳ. ‘與’의 용법
(1) 전치사 : ~더불어, ~와 함께
․吾未嘗與人爭
․與文字不相流通
(2) 접속사 : ~와, ~과
․富與貴, 是人之所欲也
․學樂與爲學, 無異矣
(3) 종결사(의문) : ~인가 ? ~하겠는가 ? [ = 歟 ]
․子非三閭大夫與
․民之不正, 是誰之過與
※ ‘與’의 다른 용법
<동사> ‘주다, 참여하다’
․卞氏, 立與之萬金
․後死者, 不得與於斯文也
(4) 관용구 : ‘與其A寧B’ - ‘A보다는 차라리 B가 낫다’
․與其生辱, 不如死快
․與其有樂於身, 孰若無憂於其心
※ 선택적 비교형 : ‘與其A寧B’ - ‘寧’ 대신 ‘不若, 不如, 孰若, 豈如, 豈若’등도 쓰인다.
ⅴ. ‘之’의 용법
‘명사류 + 之’의 구조 -- ‘후치사’의 경우
(1) 주격 : ~이, ~가
․子之廢學, 若吾斷斯織也
․人之勝不仁也, 猶水勝火也
(2) 관형격 : ~의, ~하는(~한)
․積善之家, 必有餘慶
․天下之難事, 必作於易
(3) 목적격 : ~을
․天命之謂性
※ ‘天命之謂性’은 본래 ‘謂∣天命∕性’인데 목적어인 ‘天命’을 앞으로 도치시키고 그대신
형식 목적어 ‘之’를 삽입하여 ‘天命謂之性’으로 변형되었다가 다시 ‘天命之謂性’으로
바뀌었다. -- ‘天命謂之性’의 ‘之’는 대명사이고, ‘天命之謂性’의 ‘之’는 목적격 후치
사임
․菊之愛, 陶後鮮有聞
※ ‘之’의 다른 용법
① 동사 : ~에 가다
․海上之人, 每旦之海
② 대명사 : 이것, 그것
․敬人者, 人恒敬之
․德勝才者, 謂之君子
ⅵ. ‘者’의 용법
‘관형어 + 者’의 구조 -- 후치사
(1) 사람 : ~하는 사람
․儉者, 心常富
․自暴者, 不可與言也
(2) 사물, 존재, 사실 : ~라는 것, ~하는 것
․春秋者, 周書也
․農者, 天下之大本也
(3) 장소, 자리, 지위 : ~한 곳
․水淺者, 大魚不遊
․各得其所
※ ‘동사 + 者’와 ‘所 + 동사’
者 : 동작행위의 주체자를 지칭 -- 聞者 (듣는 사람)
所 : 동작행위가 미치는 대상을 지칭 -- 所聞 (들리는 것)
(4) 시간 : ~에
․昔者, 東海龍女病心
․又遇向者少年
※ ‘者’가 시기․시간을 나타내는 말 뒤에 붙어서 부사어를 만든다.
․今者
․近者
․日者, 前者, 乃者
․向(嚮)者
ⅶ. ‘而’의 용법
(1) 순접 : 그리고, ~해서, ~하면서
․敏於事而愼於言
․得天下英才而敎育之
․孟子, 懼而問其故
(2) 역접 : 그러나, ~하되, 그런데도
․思其理而不能得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3) 자격, 신분 : ~로서
․人而無志, 終身無成
․人而不仁, 如禮何
(4) 가정, 조건 : 만약 ~한다면
․春若不耕, 秋無所望, 幼而不學, 老無所知
․上下交征利, 而國危矣
(5) 한정종결사 : ~일 뿐이다, ~일 따름이다, 而,而已,而已矣
․孔孟之道, 正其道而, 不謨其利
․夫子之道, 忠恕而已矣
※ ‘而’의 다른 용법
<대명사> ‘너, 그대(2인칭)’
․夫差, 而忘越人之殺而父耶
․若能入而國武庫, 割破鼓角, 則我以禮迎
․余知而無罪也
※ ‘而’가 시간사 뒤에 놓여 접미사로 쓰이는 경우
․俄而, 已而, 旣而, 尋而 - 오래지 않아
․始而 - 비로소 ․久而 - 오랫동안
․繼而 - 이어서 ․今而 - 이제
․五十而 - 오십에
ⅷ. ‘則’의 용법
(1) 접속사 : ~라면, ~하면
․過則勿憚改
․日出則爲晝, 日入則爲夜, 夜則月星, 著見焉
※ ‘若(如) ~則’의 호응구를 이루어 ‘만약 ~이면’으로 해석 된다.
․王如知此, 則無望民之多於隣國也
(2) 주격 조사 : ~은
․我則何故獨爲衆人耶
․此則言者之過也
․仁則吾不知也
ⅸ. ‘且’의 용법
(1) 접속사 : ‘또, ~하고, ~와(과)’ <형용사 + 형용사>
․邦有道, 貧且賤焉, 恥也
․不義而富且貴, 於我, 如浮雲
(2) 강조 : ‘(오히려) ~까지도’ <‘尙且’의 뜻>
․臣死且不避, 巵酒安足辭
․明日且未可知, 況明年乎
(3) 시간 : ‘잠시, 우선’ <‘暫且’의 뜻>
․且息內爭, 以禦外侮
․我醉欲眠君且去, 明朝有意抱琴來
(兩人對酌山花開, 一盃一盃復一盃)
(4) 부사 : ‘장차 ~하려 한다, 막상 ~하려 하다’<將且의 뜻>
․趙且伐燕
․一人, 蛇先成, 引酒且飮之
(5) 발어사 : ‘대저, 무릇, 그리고’ <‘夫且’의 뜻>
․且順情性, 好利欲得
․且夫水之積也不厚, 則其負大舟也無力
ⅹ. ‘乃’의 용법
(1) 부사 : ‘곧, 바로, 이에, 오히려, 뜻밖에, 겨우’
․此乃不祥之物也
․學者, 乃身之寶
․當改過自新, 乃益驕溢
․項王, 乃復引兵而東, 至東城, 乃有二十八騎
(2) 대명사 : ‘너, 너희들’
․今欲發之, 乃能從我乎
․必欲烹乃翁, 幸分我一盃羹
※ 여러 가지 접속사의 비교
① 與, 及 -- 명사, 대명사의 연결
․仁與義
․予及汝, 偕亡
② 而, 且 -- 동사, 형용사의 연결
․壽而康
․重且大
* ‘而’는 순접과 역접에 다 사용할 수 있으나 ‘且’는 순접에서만 사용되며 동질의 형용
사연결에만 사용된다.
※ ‘且’의 다른 용법
① 선택형 의문 연결
․富貴者驕人乎, 且貧賤者驕人乎
② 동시성 : ‘한편으로는 ~하면서 한편으로는’
․且戰且走
Ⅹⅰ. ‘爲’의 용법
(1) 전치사 : ‘위하여, ~때문에, ~에게, ~에 대하여’
․爲人謨而不忠乎
․吾弟爲我死, 我何生爲
․不足爲外人道也
(2) 종결사 : ‘~인가 ? ’
․何故深思高擧, 自令放爲 <의문>
․吾得一人, 而一國盜爲盡矣, 奚用多爲<반어>
(3) 동사
① 繫辭 : ~이다
․勤爲無價之寶
․子爲誰
② 準繫辭 : ‘~한다, ~된다, ~삼는다, 말한다, 당하다’
․見義不爲, 無勇- 하다
․學者乃爲君子 - 되다
․居家以節儉爲先(以A爲B의 용법) - 삼다
․予爲此憫然 - 여기다
․趙高, 指鹿爲馬 - (말)하다
․好憎人者, 亦爲人所憎(爲A所B의 용법-피동) - 되다
※ 동사로서의 ‘爲’ : 기본 뜻은 ‘하다’이나, 문맥에 따라 융통성 있게 해석한다.
․爲國以禮 <治-다스리다>
․吾能爲之足 <畵-그리다>
․知之爲知之, 不知爲不之 <謂-말하다>
Ⅹⅱ. ‘其’의 용법
(1) 語氣詞 : 語頭, 語中 語氣詞에 쓰인다.
① 추측 : ‘아마, 혹, 대개’ <語頭 語氣詞>
․子其怨我乎 <아마>
․不可一日而廢學, 其惟讀書乎 <아마도>
② 명령․권고 : ‘진실로, 절대로, 또한’ <語中 語氣詞>
․子其勉之 <진실로>
․與爾三矢, 爾其無忘乃父之志 <절대로>
※ 語氣詞 : 단어나 句文의 앞(발어사), 가운데나 뒤(종결사)
에 놓이어 語氣를 표시하는 글자.
<☯ 복합자 ‘諸’와 ‘焉’의 용법>
Ⅰ. ‘諸(저)’의 용법
(1) 문장의 중간에 쓰일 경우 : ~에 그것을 <‘之於’의 축약>
․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
․不若投諸江而忘之
(2) 문장의 끝에 쓰일 경우 : ~하였는 가 ? <‘之乎’의 축약>
․一言而可以興邦, 有諸
※ ‘諸’의 다른 용법 (접두사)
․諸君, 不察耳
․一日不念善, 諸惡皆自起
Ⅱ. ‘焉’의 용법
(1) 문장의 처음에 쓰이는 경우 : 어찌 ~하겠는가 <반어부사>
․割鷄, 焉用牛刀
․未知生, 焉知死
(2) 문장의 끝에 쓰일 경우
① 단정 종결사 : ~이다
․吾於足下有厚望焉
② 비교 : 이보다 <‘於是, 於此, 於之’의 축약>
․過而能改, 善莫大焉
③ 시간 <접미사> : ~에
․少焉, 月出於東山之上
④ 대명사 : 그것을, 여기에<‘之, 於之’의 축약 >
․衆好之, 必察焉 <焉 = 之>
․三人行, 必有我師焉 <焉 = 於之>
Ⅲ. 品詞
ⅰ. 名詞
(1) 完全 名詞
․山高水長
․春來花滿地
․聞一知十
(2) 依存 名詞 : 者, 所 등
․仁者無敵
․不敢請而固所願也
ⅱ. 代名詞
(1) 人稱代名詞
① 1人稱 : 我, 吾, 余, 予, 己, 僕, 愚, 臣, 妾, 寡人 등
․吾嘗終日而思矣
․予爲此憫然
② 2人稱 : 汝, 女, 子, 君, 爾, 而, 若, 乃, 貴下등
․汝知論語乎
․子將安之
③ 3人稱 : 彼, 其, 他, 渠(거), 某 등
․彼丈夫也, 吾亦丈夫也
(2) 指示代名詞
① 近稱 : 是, 斯, 此, 玆 등
② 遠稱 : 彼, 其, 厥 등
③ 不定稱 : 或, 咸, 擧 등
․此勝則彼劣
․祿在其中矣
(3) 疑問代名詞 : 誰, 孰, 何, 安, 등
․禮與食, 孰重
․客從何處來乎
ⅲ. 動詞
․我愛其花
․日出於東方
ⅳ. 形容詞
․良藥苦於口, 而利於病
․江碧鳥愈白 ∴ 愈(유) : 더욱
ⅴ. 副詞
(1) 疑問副詞(反語副詞) : 何, 何以, 何如(如何), 豈, 安, 寧, 奚, 焉, 胡, 惡(오), 盍(=何不,합) 등
․子奚不爲政
(2) 時間副詞
① 過去 : 旣, 已, 嘗, 曾 등
② 現在 : 方, 始, 適 등
③ 未來 : 將, 且 등
․陽春方來
․吾心已許之
(3) 假定副詞 : 若, 如, 苟, 雖, 縱, 設, 假使, 設使, 設令 등
․若不義之物, 則不取也
(4) 限定副詞 : 但, 只, 直, 徒, 獨, 惟, 維, 唯 등
․直不百步耳, 是亦走也
(5) 程度副詞 : 至, 極, 最, 甚, 必 등
․水至淸則無魚
(6) 强調副詞 : 亦, 且, 況, 猶, 尙 등
․死馬且買之, 況生者乎
ⅵ. 補助詞
(1) 可能 : 可, 能, 足, 得, 可以, 足以, 得以 등
․可見其人之賢
․足以保四海
(2) 否定 : 不, 弗, 未, 非, 微, 無, 末, 莫 등
․不爲也, 非不能也
․我未見好仁者
(3) 禁止 : 勿, 莫, 毋, 無, 不 등
․附耳之言, 勿聽焉
․無道人之短
(4) 當爲 : 可, 當, 宜, 應, 須 등
․人須自省察
(5) 被動 : 被, 見, 爲, 所, 爲~所~, 見~於~ 등
․匹夫見辱, 拔劍而起
․好憎人者, 亦爲人所憎
(6) 使動 : 使, 令, 敎, 俾, 遣 등
․天帝使我長百獸
․賢婦令夫貴
(7) 願望 : 欲, 幸, 願, 請 등
․我欲育人材
․請以戰喩
ⅶ. 接續詞
(1) 보통 接續詞
① 체언과 체언의 연결 : 與, 及 등
․天命與天道
․予及女, 偕亡
② 용언과 용언의 연결 : 而, 且 등
․謹而愼
․仁且智
(2) 副詞的 接續詞
① 順接 : 而, 以 등
․敏於事而愼於言
․殺身以成仁
② 逆接 : 而, 然, 抑 등
․視而不見
․求之與, 抑與之與
③ 因果關係 : 則, 故, 是以, 是故, 於是 등
․虎以爲然, 故遂與之行
․是以見放
④ 假定 : 則
․用之則行, 舍之則藏
ⅷ. 感歎詞 : 於, 惡, 嗚呼, 於乎, 噫, 嗟夫 등
․嗚呼, 哀哉
․惡, 是何言也
ⅸ. 前置詞
(1) 處所, 對象, 比較, 由來, 被動 於, 于, 乎
․王坐於堂上(장소)
․君子, 欲訥於言, 而敏於行(대상) * 訥(눌):어눌할
․苛政猛於虎(비교)
․福生於淸儉(유래)
․用於國, 則以死報國(피동)
(2) 原因, 手段, 資格, 以
․良有以也(원인)
(3) 始發, 由來 自, 從, 由 등
․自天而降乎, 從地而出乎
(4) 同伴 與
․與善人居, 如入芝蘭之室
ⅹ. 後置詞 :之, 者, 也
(1) 主格 : ~은, ~는, ~이, ~가
․鳥之將死, 其鳴也哀
(2) 冠形格 : ~의, ~하는
․無足之言, 飛于千里
(3) 目的格 : ~을, ~를
․曉月之觀, 豈自昏候
ⅹⅰ. 終結詞
(1) 斷定 : ~이다 (也, 矣, 焉)
․信者, 人之大寶也
․今日病矣
․聞者, 皆感歎焉
(2) 疑問 : 乎, 耶(邪), 與(歟), 哉 등
․子見夫子乎
․治亂天耶
․燕可伐與
․何不去諸(=之乎,저)
(3) 限定 : 爾, 耳, 已, 而已, 而已矣 등
․我愛種樹而已
(4) 感歎 : 乎, 哉, 夫, 矣乎, 也哉 등
․管仲之器, 小哉
․彼居吾上乎
․久矣, 吾不復夢見周公
․逝者如斯夫, 不舍晝夜 * 逝(서):가다
舍(=捨,사):그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