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화가 아닙니다. 영화같은 실화입니다!
우리나라에서만 일어나는, 믿을 수 없는 현실!
슬픔만을 주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하게 만드는 영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꼭 봐야 할 영화,꼭 알아야 할 실상!
아무말도 할 수 없었습니다.
팝콘을 먹을 수도 없었습니다.
눈물 밖에 나오지 않았습니다.
차라리 영화였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실제였습니다.
네 시간 동안 아들을 업고 강을 건넌
탈북자가 있었습니다.
목숨을 건 사투를 벌인 강인한 여인의
눈이 저에게 호소하고 있었습니다.
왜,
왜,
꼭 보여주어야만 믿느냐고...
이 영화는 한국의 수치입니다.
이 영화는 한국의 거울입니다.
누굴 기다렸나요.. 아직 기다리나요..
지친 두 눈감을때 우는 가슴 멈출 때
끝까지 기다리던 그 사람 누군가요..
메마른 눈이 감기면 세상 놓아지나요..
그대 마른 입술에 꿈에서도 부르던
그 사람의 이름 그 무엇인가요..
우리는 하나죠.. 그 이름 하나죠..
모르는 사이라 말하지 않을게요
이미 그댄 나의 이웃이요, 형제요, 모두죠.
다함께 울어요 Cry with us..
그대 흐르는 눈물 내 볼을 따라 흘러요.
내가 흘리는 눈물 그대 마음 적시듯
그 오래 전부터 우린 하나였죠..
우리는 하나죠. 그 이름 하나죠..
모르는 사이라 말하지 않을게요
이미 그댄 나의 이웃이요, 형제요, 모두죠.
다함께 울어요 Cry with us..
지쳐 쓰러져서 의지할 곳 없을 때
가쁜 숨소리나마 외면당할 때
그대 내손 잡아요.. 우리 함께 걸어요..
함께 소망하는 내일을 위해...
우리는 하나죠 그 이름 하나죠..
모르는 사이라 말하지 않을게요
꼭 잡은 손 이제 놓지마요 그 누가 뭐라해도
처음부터 우린 하나 함께하는 우린 하나 영원히...
이미 그댄 나의 이웃이요 형제요 모두죠
처음부터 우린 하나 우리 함께 해요, Cry with us..
언제까지 우린 하나 Cry with us..
크로싱이 북한 실상에 대한 폭로로써의 역할을 다한 작품의 시작이라면,
여기 또 다시 북한 주민들의 믿기 힘든 실상들을 폭로하고
그들의 아픔을 호소하고자 하는 실화들이 있습니다.
어쩌면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우리가 상상할 수 없고
더 심한 비극과 아픔, 고통들이 북한주민들 가운데 있습니다.
잘 알려지지 않았을 뿐입니다.
남한이란 작은 자유 민주주의 국가에 갇혀
북한의 실상을 여실히 들여다 볼 기회가 없었을 뿐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알아야 합니다.
막연하게 굶주림 때문에 고통 받고 있다고 아는 선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그 뒤로 이어지는 참혹한 오늘날 북한의 실상들을
우린 알아야 합니다.
내 딸을 백원에 팝니다
북한 수용소
빵과 순결
영화가 끝난 후,
아무말도 할 수가 없었습니다.
아니 어떤 말도 발설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그 어떤 언어라도 그분들에게 실례가 되고 상처가 될 것만 같았기 때문입니다.
이리도 가까이 내 동포의 비극이 지속되고 있는데
사연 하나 하나가 소설보다 더한 현실인데
우리는 눈물만 흘리고 있습니다.
우리의 무기력함에 부끄러움과 죄송함으로
머리숙여 용서를 구합니다.
영화보는 내내 내 마음은 중국으로 날아가
이들이 탈출하는 경로를 답사해 봐야지
그 긴긴 길과 시간을 느껴봐야지
수많은 이들이 탈진해 죽어갔다는 몽골 사막을 밟아나 봐야지
이들을 어떻게 하면 대량 탈출시킬 수 있을까
누구 누구를 만나 어떠한 방법을 강구해야 할까 하는
생각으로 가득 찼습니다.
이제 더이상 이들을 내버려 둘 수 없습니다.
시간을 더 끌 수가 없습니다.
이들은 우리의 부모형제, 친구, 이웃이기 때문입니다.
나와 같은 얼굴, 같은 언어, 같은 정서를 지닌 나의 분신입니다.
슬픈농담
1차 한국촬영을 마친 우리는, 2007년 7월 말경 중국으로 건너갔다.
탈북자들이 공안에게 쫓기는 장면을 촬영하던 날은 참 더웠다.
탈북자로 분한 한국배우들이 중국 공안역할을 맡은 현지인들에게 쫓기는 장면이었다.
무더위에 지쳐 살살 뛰는 중국 공안들에게 현지 코디가 이렇게 주문했다.
“실제로 한명이라도 잡는 사람을 제일 먼저 쉬게 해주겠습니다.”
촬영이 시작되자 모두들 전속력으로 뛰었다. 하루 종일 뛰고, 달리고, 또 뛰고, 계속 달렸다.
정신없이 달리는 데, 탈북자들이 핀볼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핀볼은 한때 어린이들 사이에서 인기 있었던 게임이다. 상자 안으로 연결되어 있는 작대기를 잡고 있다가 핀볼이라 불리는 조그만 쇠공이 굴러 오면 있는 힘껏 공을 튕겨내는 게임이다. 작대기가 세게 때릴수록 공은 멀리 굴러간다. 튕겨진 공은 이리 저리 굴러다니며 상자 안을 둘러싸고 있는 벽에 부딪히는 데, 벽에도 튕겨내는 장치가 되어 있어 다가오는 공을 계속해서 밀어낸다. 공은 단 한순간도 어느 한 곳에 머무르지 못하고 이리저리 굴러다닌다. 그렇게 굴러다니던 공이 구멍에 빠져 사라지고 나면 게임이 끝난다.
뙤약볕아래에서 혀를 쭉 빼고 멍멍이처럼 헥헥 거리던 나는
“크로싱 촬영하는 게 실제로 탈북 하는 것 보다 더 힘들다”고 푸념 섞인 농담을 했다.
실없는 농담에 함께 뛰던 배우들도 웃고, 주변에 있던 스텝들도 웃었다.
내 옆을 지키던 탈북자출신 사투리선생도 희미하게 웃었다. 그가 웃고 돌아서는 데 그의 납작한 뒤통수가 이렇게 말하는 듯 했다.
“아니. 그렇지 않아. 넌 뛰다가 힘들면 쉬었다가 다시 뛰면 되잖아. 다 뛰고 나면 호텔로 돌아가서 배불리 먹고, 잘 거잖아. 우리는.. 아무리 뛰어도 돌아갈 곳이 없어.”
http://cafe.daum.net/internet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