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적 설교 단계 (STEPS TO BIBLICAL PREACHING)
Dr. Don Sunukjian
Biola University
성경적 설교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 것인가?
성경적 설교의 단계는 어떻게 되는가?
성경적 설교: 1) 성경의 저자는 무엇을 말하는가?
2)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오늘 우리에게 적용되는가?
제1단계 - 성경상의 본문을 개요하라. 저자의 생각의 흐름을 이해하라는 것이다.
A. 당신의 개요는 마지막 설교 형태로 도달하기 전 3가지 단계를 거쳐서 진전된다.
1. 석의적 개요(The PASSAGE outline) - 성경저자의 본래 생각
저자가 그 시대의 사람들에게 전하기 원하는 내용을 요약한다.
2. 신학적 개요 (The TIMELESS outline) - 보편적 원리들
시대를 초월해서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원리로 바꾼다.
3. 설교적 개요 (The SERMON outline) - 당신의 동시대의 회중을 위한 것
오늘 나의 회중에게 적용시킬 수 있는 설교 개요를 말한다.
B. 도표
C. 마가복음 4:35-41의 실례 - 광풍이 부는 바다에서 이루신 주님의 기적
(1) 석의적 개요(Passage Outline)
I. 예수님은 의도적으로 그의 제자들을 바다의 광풍으로 인도하신다 (4:35-37).
A. 예수님은 제자들을 의도적으로 호수 가운데로 인도하신다 (4:35).
B. 제자들은 생명이 위태로운 지경에 처해 있는 자신들을 발견하게 된다 (4:36-37).
II. 제자들은 두려움과 절망으로 반응한다(4:38).
III. 예수님은 기적을 행하심으로써 자신이 얼마나 능력이 있는 분이심을 가르치신다 (4:39-41).
(2) 신학적 개요 (Timeless Outline)
I. 하나님은 때로는 의도적으로 우리를 어려운 상황으로 인도하신다.
II. 우리는 두려움과 절망으로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III. 그러나 하나님의 목적은 그가 얼마나 능력있는 분이심을 보여주시는 것이다.
(3) 설교적 개요 (Sermon Outline)
서론
1. 하나님을 향한 우리의 순종이 때로는 우리를 어려운 상황으로 이끌고 갑니다.
a. 실례
b. 실례
2.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때 우리는 "어째서 하나님은 이러한 일을 허용하시는가?"하고 의아해 하게 됩니다.
3. 오늘 우리는 예수님께서 그의 제자들을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이끌셨던 시간으로 돌아가서 이에 대한 해답을 얻게 될 것입니다.
4. 마가복음 4:35-41의 말씀을 보시기 바랍니다.
본론
I. 하나님은 때로는 의도적으로 우리를 어려운 상황으로 인도하신다.
A. 예수님은 제자들을 어려운 상황으로 인도하셨다 (4:35-37).
1. 그는 의도적으로 그들을 이끄셨다(4:35).
2. 상황은 어려웠다 (4:36-37).
B. 하나님은 때로는 우리들에게도 이와 마찬가지로 이끄신다 - 몇 가지의 예.
II. 이러한 일이 발생할 때 우리의 반응은 일반적으로 두려움과 절망이다.
A. 우리는 파멸을 예상하고 하나님이 왜 이런 일을 허용하셨는가 질문하게 된다.
B. 제자들도 우리와 동일하게 반응했다 (4:38).
III. 그러나 하나님의 목적은 그가 얼마나 강하신 분임을 보여주시기 위한 것이다.
A. 제자들은 예수님의 능력에 놀라고 대경 실색하게 되었다 (4:39-41).
B. 하나님의 의도는 그가 얼마나 강한 분이심을 가르쳐 주시려는 것이다.
a. 실례
b. 실례
제2단계 - 한 문장으로 전체 메시지의 중심적 진리를 기술하는 것
A. 메시지의 모든 내용은 하나의 아이디어 혹은 하나의 진리 (간결하게 설교를 요약하여 영구한 진리)로 요약한다.
B. 청중은 메시지 전체에 걸친 일치점을 찾는다.
메시지는 하나의 통일성이 있어야 한다 (연관성).
C. 연결되지 않는 아이디어나 진리는 청중을 혼돈된 상태에 머물게 한다.
제3단계 - 청중에게 본문의 개념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결정하라.
A. 설교의 목적은 지식이 아니라 경건한 행실이다.
예: 디모데전서 1:5
예: 디모데후서 3:16-17
B. 청중에게 있어 적용성은 메시지가 그의 삶에 있어 특정한 환경에 연결됨을 '볼 수 있을 때' 발생한다.
C. 적용상을 만들려면 청중의 여러 형태와 환경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청중이 누구인가?
1. 일터에서
2. 거주지에서
3. 결혼관계에서
제4단계 - 흥미를 포착시키고 설교에 초점을 부여하는 서론을 전개할 것
A. 서론의 흐름은 아래와 같다.
1. 필요를 생성해 내는 몇 개의 구절들
2. 해답을 주어야 할 질문들이나 중심적 진리
3. 성경적 배경이나 본문
4. 장과 절
B. 보기
1. 마가복음 4:35-41의 개요를 볼 것
2. 서론이 곧 한 개의 질문을 제기하는 다른 실례를 볼 것
3. 서론이 곧 중심적 진리를 서술하는 실례
C. 본문의 장과 절을 소개한 다음 설교 전에 성경 본문을 찾을 수 있는 시간을 청중에게 부여할 것
실례 1: 영적으로 새롭게 되는 방법 (역대하 28-29장)
서론
1. 우리 모두가 신령한 삶에 있어서 저하될 때 몸부림 칠 때가 있다.
a. 실례
b. 실례
2. 영적으로 저하될 때 우리는 물론 가족들과 우리의 사역에 해를 끼칠 수 있다.
3. 이 때 우리의 질문은 "어떻게 하면 이렇게 저하된 속에서 벗어나서 하나님과 다시 교제할 수 있는가? 어떻게
하면 영적으로 새롭게 될 수 있는가?"이다
4. 오늘 우리는 이스라엘의 역사에서 그들이 영적으로 저하되어 해를 당하고 있을 때 어떻게 그들이 영적으로 새롭
게 되었는가를 살펴 보겠습니다.
5. 역대하 28장을 볼 것
I. 이스라엘은 하나님께 대한 헌신의 실패로 해로운 결과를 체험하고 있었다 (역대하 28장).
A. 아하스왕은 합당한 성전예배를 철폐했다 (28:14).
B. 이로 인해 하나님께서 다른 나라들로 이스라엘을 침략하게 하며 벌하셨다.
II. 이렇게 저하된 때에도 영적으로 새롭게되는 일이 가능하다.
A. 영적으로 새롭게 되는 것은 헌신으로부터 시작된다 (29:1-24) (중심적 진리)
1. 히스기야 왕을 통해서 이스라엘은 ...
2. 우리는 획득한다.
B. 영적으로 새롭게 되는 것은 경배를 통해서 완성된다. (29:25-36) (중심적 진리)
1. 합동으로 드리는 경배를 통해서
a. 이스라엘
b. 우리들
2. 개인적으로드리는 경배
a. 이스라엘
b. 우리들
실례 2: 네 부모를 공경하라
서론
1. 이 시간에 다섯 번째 계명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출 20:12).
2. 여러분들 중 어떤 분들을 생각하시기를 "좋았어! 잘됐다. 우리 애들이 들었으면 좋겠다" 하시겠지만 이 계명은
주로 애들에게 주신 것이 아니고 어른들에게 말씀하신 것입니다.
3. 일반적으로 "공경한다"는 말은 "높이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그렇지만 이 일반적인 의미는 우리 부모들의 연령에 따라서 특수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4. 우리 부모들이 연로하실 때는 "공경한다"는 뜻이 곧 경제적으로 부양한다는 뜻입니다 (중심적 진리).
5. 이 시간에 우리 부모들의 경제적인 필요를 도와드리는 것이 곧 부모를 공경한다는 것을 가르치는 성구들을 살펴
보고 이 가르침을 실천에 옮기는 데 우리를 도울 수 있는 몇 가지 뚜렷한 단계를 제안하고 싶습니다.
I. 성경은 우리 부모님들이 노년기에 그들의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드리는 것이 부모를 공경하는 것임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A. 부모님을 부양하는 것이 주의 일을 하기 위해 서약하는 것보다 우선한다(마 15:1-6).
B. 우리의 부모님들을 부양하는 것이 다른 어떤 것보다 우리의 경건의 순수성을 나타낸다 (딤전 5:3-8).
II. 우리가 이 계명을 지킬 수 있도록 해 주는 세 가지 특수한 행동지침이 있다.
A. 부모를 부양하는 것이 다른 어떤 경비 지출보다도 우선한다는 것을 당신의 배우자와 동의할 것.
B. 부모님께 당신의 계획을 말씀드릴 것,
C. 가족의 경제 상황이나 변화를 주지 않고도 매월 수 십만원씩 부모님께 드릴 수 있는 수준에 이르도록 주님께 바치는 헌금 액수를 증가시킬 것.
제5단계 - 말로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메시지에 대해서 철저히 생각하십시오.
A. 만일 어떤 중요한 문장을 다시 말해야 할 필요가 있으면 즉시 다른 단어를 사용해서 다시 말하십시오 - 내용은 같은 것을 다른 문장으로 거듭 말하라. 반복은 아니다.
· 시도해 보기 : "하나님은 너희가 감당치 못할 시험밖에는 허락지 아니하시고"
B. 메시지의 주된 단위나 개념들을 구분 짓기 위해서는 동작을 사용할 것.
· 모든 진행 상황, 시간선, 목록, 숫자 등은 설교자의 좌편으로 움직일 것
· 모든 지도는 청중의 관점에서 그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