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 ⅰ) 17c이후 지어진 부불전 중심의 사찰 ⅱ) 내고주가 존재하지 않으며 통합 공간의 내부 ⅲ) 통보로 측면 간사이가 5m를 넘지 않는 경향 cf) 측면 3칸의 경우 대부분 7m 이상 (고산사 대웅전은 5.9m ) ⅳ) 작은 내부 공간으로 인해 불벽의 따로 설치가 아닌 후면벽을 이용 cf) 별도의 후불벽 설치 례) 정혜사 대웅전, 숭림사 보광전.
☛ 3*3 전각에도 내부고주가 이주(후퇴)하여 후불벽 뒤쪽공간이 축소 →후퇴 공간을 繞匝禮(요잡례)로 사용하든 고전 방식에서 수장용 공간으로 활용
(2)유형과 기능의 분포 ①사묘 건축 모든 구성 유형이 적용되나 무내주형과 툇간 감주형이 조금 더 이용되는데 특히 툇간감주형은 사묘 건축에서만 이용되는 유형이다. ②사찰 건축 불전 또한 다양한 유형이 이용되는데 후열감주와 툇간감주형을 제외한 모든 유형에 두루 적용되었다. 고대일수록 내주가 있는 정치형이 사용되고 후세로 올수록 무내주형, 전열 감주형, 통간 이주형이 많이 이용 ③궁전 건축 궁전의 경우는 대부분 3*3이 넘는 경우이며 편전의 경우 창덕궁의 선정전이 3*3인데 후열 감주형이다. 궁전의 경우는 여러 계급의 사람이 모이는 공간으로서 뚜렷한 지표로서 공간의 위계를 부여하고 좌석을 배분해주는 역할을 내부 전열 기둥이 하고 있는 것이다.
첫댓글 감솨감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