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녀를 이름 있는 고등학교, 대학교에 보내는 것이 엄마 능력으로 평가받는 시대입니다. 1년 365일 아이 교육에 매달려 사는 게 만만한 일은 아니에요. 그러니 쉬운 길이 보이면 유혹에 빠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정도(正道)가 아닌 줄 알면서 어쩔 수 없이 그 길을 선택하기도 하죠. ‘정부에게 정책이 있으면, 우리에겐 대책이 있다’는 식으로 난무하는 교육 꼼수들. 아이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반칙하는 엄마들의 속마음을 들여다보고, 꼼수가 통하는 대학 입시 제도를 진단했습니다. |
|
|
| |
|
|
|
|
꼼수의 사전적 의미는 ‘쩨쩨한 수단이나 방법’. 우리 사회엔 꼼수를 써서라도 경쟁에서 이겨야 한다는 생각이 차고 넘친다. 자식 사랑이란 미명 아래 반칙을 일삼는 엄마들. ‘성공적인 인생’의 의미를 다시 한 번 곱씹어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
취재정주연 리포터 missingu93@naver.com 도움말 이해웅 소장(타임교육 입시전략연구소)·오종운 평가이사(이투스청솔 교육평가연구소) 안상진 부소장(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김찬휘 강사(티치미, 대성마이맥)
| |
|
|
내신 명목 반영률 50%… 그런데 실질 반영률은 5%? | | |
|
수험생들은 각 대학 내신 성적의 명목 반영 비율을 보고 학교생활기록부(이하 학생부)의 중요도를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학생부 우수자 전형은 내신 성적 반영 비율이 80~100%에 달해 내신 성적 영향력이 절대적. 논술과 면접 등 대학별 고사로 선발하는 일반 전형도 내신의 외형상 반영 비율은 30~70%에 이른다. 하지만 이에 앞서 살펴봐야 할 부분은 내신 실질 반영 비율이다. 예컨대 A대학 수시 모집 일반 전형 전형 요소 반영 비율이 학생부와 논술 각 50%라고 가정하자. 대학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대학들이 총점 1천 점으로 성적을 환산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총점 1천 점에 기준해 계산하면 학생부와 논술이 각각 500점 만점이 된다. 학생부 반영 점수가 500점 만점이라면 내신 1등급인 학생이 500점, 최하위 등급인 9등급 학생은 0점이 돼야 한다. 하지만 대학들은 모든 등급에 적지 않은 기본 점수를 주고 있다. 만약 기본 점수가 450점이 주어진다면 9등급인 학생도 최소 450점을 얻어 1등급과 차이는 50점으로 좁혀진다. 1천 점에서 50점 차이가 있으므로 내신 실질 반영 비율은 결국 전체의 5%인 셈. 내신 등급 간 점수 차도 서울 소재 일부 상위권 대학들의 1~5등급 간 차이는 미미하고, 6~9등급 간 점수 차이만 크게 설정해놓은 경우가 많다. 정시도 상황은 마찬가지. 내신 성적의 외형상 반영 비율은 20~50%지만, 주요 대학들의 1~5등급 간 점수 차는 극히 적다. 예를 들어 연세대는 1등급이 100점 만점일 때 2등급은 99.75, 3등급은 99.5점으로 1등급과 3등급 점수 차는 0.5점, 수능 한 문제에도 못 미치는 점수다(표1 참조). | | |
|
|
티치미·대성마이맥 김찬휘 강사는 “지원자 평균 내신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면 변별력이 큰 대학별 고사나 수능으로 신입생을 선발하겠다는 대학의 입장이 반영된 결과다. 내신 성적은 낮아도 실력이 우수한 특목고나 자사고 학생들을 뽑겠다는 의도”라며 명목 반영률과 실질 반영률이 다르게 적용되는 것을 대학의 대표적인 꼼수로 꼽았다. 대학들이 그나마 정시 내신 환산 점수를 공개하지만 수시는 공개하지 않는 것이 문제. 이투스청솔 교육평가연구소 오종운 평가이사는 “학생부는 형식상 반영 비율이 중요한 게 아니라 기본 점수를 얼마 주는지, 반영 교과는 몇 과목인지, 등급 간 점수 차이는 몇 점인지가 중요하다”며 “최고 등급과 3~5등급 등 주요 등급 사이의 반영 점수 차이를 보면 실질 반영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 감 잡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 |
|
| | |
|
|
|
|
수시 모집 취지는 다양한 인재 선발? 결국은 수능! | | |
|
수시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는 학생부 중심 전형은 내신만, 논술 전형은 논술만 잘하면 된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수능이다. 2014학년 입시에서도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하 최저 학력 기준)을 적용하는 전형의 비율은 수시 전체 모집 인원의 70%. 상위권 대학은 논술과 학생부 중심 전형 등에서 최저 학력기준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능의 영향력은 막강하다(표2 참조). 무엇보다 대표적인 수시 전형인 논술 전형이 정시 모집에 버금가는 높은 수준의 최저 학력 기준을 제시하고 있어 논란. 2013학년 고려대 논술 전형 결과를 보면 지원자 수는 5만9천890명인데 최저 학력 기준을 맞춘 학생 수는 6천876명으로, 지원자의 88.5%가 우선 선발에서 탈락했다. 이 사례만으로도 ‘논술 전형은 수능 전형이다’ ‘전형료 수입을 올리고자 하는 의도로밖에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높은 최저 학력 기준으로 인해 수시 전형 본래의 취지가 무색해진다는 게 문제.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 안상진 부소장은 “수시 전형은 수능 점수를 단순 합산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준으로 학생을 선발하고자 함이다. 그런데 논술 전형 최저 학력 기준이 모집 단위 특성과 상관없이 국·영·수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다. 즉 최저 학력 기준이 수험생이 지원 학과에 진학할 때 공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는지 판단하는 의미라고 보기에 타당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2014학년에도 성균관대는 논술 우선 선발 전형 비율이 논술 전형 전체 인원의 70%를 차지하고, 고려대와 서강대도 작년보다 우선 선발 비율을 높여 70% 선발한다(표3 참조). 최저 학력 기준도 변화가 없다. 수시 전형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가장 우선시해야 할 대목은 수능 실력이 받쳐주지 않으면 수시 관문을 뚫기란 요원할 수 있다는 점이다. | | |
|
| |
|
|
|
|
논·구술, 교과 중심 출제? 대학 과정 문제는 어디서 배우라고… | | |
|
2005년 논술 고사에서 영어 제시문을 내거나 수학.과학 관련 풀이 과정 혹은 정답이 있는 문항을 출제할 경우 이를 본고사로 간주해 강력한 행정적 제재를 내릴 것이라는 ‘대학별 논술 고사 가이드라인’이 발표된 바 있다. 하지만 대입 자율화가 확대되면서 2009년 이 가이드라인이 폐지됐고, 각 대학은 이런 상황을 틈타 영어 제시문과 수학 문제를 출제하며 변별력을 높였다. 이런 경향이 점차 확대되자 작년에 교육과학기술부는 “2013학년 논술 문제를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벗어난 대학 과정에서 출제할 경우 제재를 가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하지만 시민 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 2013학년 수도권 15개 대학 논술과 구술 면접 문제를 분석한 결과 대학 과정 문제와 본고사형 문제 비율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표4 참조). 자연계 논술 고사 출제 문항을 분석한 결과 연세대 70%, 서강대 50%, 홍익대 54.5% 등은 여전히 반수 이상의 문제를 대학 과정에서 출제했다. 본고사형 문제도 자연계 논술 고사 182문제 중에 162문제, 구술 면접 전형 108문제 중 99문제가 출제돼 큰 개선이 없었다는 평가. 또 인문계 논술 시험에서 영어 제시문을 출제한 학교가 3곳, 수학 문제를 인문계 논술에서 출제한 학교도 6곳이나 있었다. | | |
|
|
안 소장은 “수학의 경우 대학 3학년이 배우는 미분 등의 내용을 알면 쉽게 풀리거나 국제올림피아드 문제와 똑같은 문제가 출제될 정도다. 과학도 대학 1학년 과정에서 다루는 일반생물학과 인체생리학에서 나올 법한 난도 높은 문제가 많았다. 그나마 인문계는 교과서 밖 지문이 나왔어도 사고력이 높은 학생들이라면 접근할 수 있는 문제가 출제돼 자연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아진 편”이라고 전했다. 정규 교육과정 수준을 뛰어넘는 논·구술 출제 유형이 논란의 대상이 되는 건 선행 사교육을 받은 학생들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기 때문. “논술 고사 출제 유형은 학생들이 고등학교에서 무엇을 배웠나보다 대학에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타임교육 입시전략연구소 이해웅 소장의 얘기도 설득력이 있다. 그렇다면 고등학교 공부만 충실히 해도 논술과 구술 면접에 대비할 수 있다는 것은 순진한 생각일까. 이 소장은 “사실 고교 교과과정 탐구 학습이나 증명 등의 내용을 심화 학습하면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문제는 대다수 학교에서 실제적인 교육이 진행되지 못하는 점”이라며 방과 후 학교나 창의적 체험 활동으로 이런 부분을 해소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 | |
|
|
|
|
교외 스펙 반영 안 하는데 자료 제출은 할 수 있다?! | | |
|
특기자 전형은 외국어나 수학·과학 교과에 뛰어난 학생이 지원하도록 지원 자격을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입학사정관제로 운영되지 않는 특기자 전형의 경우 이 자격 요건이 매우 까다롭다. 공인 어학성적을 지원 자격 요건으로 제한하는 전형이 상당하고, 중앙대 과학 인재 전형은 올림피아드 수상 실적을 지원 자격으로 제시하기도 한다. 지원 자격에서 공인 어학 성적이나 수상 실적을 명시하지 않은 전형도 이들 실적이 핵심적인 전형 요소로 활용되는 경우가 대부분. “특기자 전형은 정규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하는 것만으로 성취가 힘들기 때문에 특목고 우대 전형이며, 특목고 학생들조차 이른 시기부터 사교육에 의존하도록 만드는 사교육 유발 전형이기도 하다”고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이유다. 특기자 전형뿐 아니라 상당수 입학사정관 전형 역시 학생부 이외의 서류를 요구한다. 제출 서류 목록에서 교외 활동 실적을 제출할 수 있도록 허용하거나, 모집 요강에는 아무 언급이 없지만 서류 양식에서 별도의 실적 제출을 위한 목록표 양식을 제공하기도 하고, 자기소개서 등에 활동 실적 목록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서울대 지역 균형선발 모집 요강에서 평가서류 목록을 ‘학생부와 추천서, 자기소개서, 각종 증빙서류 등 제출된 모든 서류’라고 밝히고 있고, 제출 서류 양식에서 ‘증빙서류 목차’를 제공함으로써 사실상 교외 스펙이 평가에 어떤 식으로든 반영된다는 것을 확실히 하고 있다. 안 소장은 “입학사정관제 공통 운영 지침에 따라 학생부와 자기소개서, 추천서 이외 일체의 서류를 요구하지 않고 모집 요강에도 이런 실적들이 서류 평가에 반영되지 않음을 명확히 한 학교들도 많다. 하지만 활동 실적 제출이 언급이 된 학교는 수험생 입장에서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며 이런 현상은 상위권 학교로 갈수록 더 심하다고 평가했다. 공식적으로 요구되지 않아도 관련 실적을 자기소개서에 묻어나게 쓸 수 있는 만큼 전공 관련한 우수성 입증 노력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 단 결과도 중요하지만 과정을 평가하는 경향이 많아지는 추세이므로 스펙을 쌓는다는 생각보다 실력을 키운다는 생각으로 임하는 것이 옳다는 얘기도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