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은 앞날 되시기를]
[꿈은 이루어진다]
[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백두산 천지
[ 과거와 현재는 미래를 위해서 존재한다.]
------------------------------------------
- 구리넷 솔본님 글 재구성 -
고대한국계 추정 이집트 왕족들

이 이집트 왕조인들은 BC 2,000~BC 1,800년경의 인물들.
종족원으로 따지자면 그 어디에도 정확히 들어오지 않는 혼혈계.
그런데 이집트의 평민들은 이렇다.

이들에는 현재 이집트와 이디오피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아프리칸계와 아랍계 혼혈인도 포함된다.
그런데 이들과는 아주 다른 왕조인들이 있다.
'티우'(Tiu)라는 먼 옛날 미스테리한 선조에 대한 전설을 갖고 있는
이집트 왕족들.
Tiu(티우)는 이집트 창건의 전설적 인물.

이 왕조인들에 대한 연구는 하나도 없다.
단지 태양신을 유일신으로 종교개혁하려다 축출된 아케나톤의 친척 정도로만
여기고 있는 실정.
티우를 조상신으로 여기고 태양신을 유일하게 섬기던 이 왕조는
다음과 같은 제기용 그릇을 남겼다.

이집트의 제기용 그릇

이집트 그릇의 Triqueta (트리케타) 물고기
이 문양은 Triqueta (트리케타)라고 불리는 물고기 상징으로
후대에 유럽 켈트족의 성스러운 상징이고
나중에 크리스트교의 징표가 된다.
이 트리케타는 우리에게는 이를 일목삼신어라 부르는 전통부적
[일목삼신어 부적]
( 일목삼신어 - 눈이 하나고 몸이 3인 물고기.)
이집트를 창건한 티우의 후예.. 태양의 아들들..
그리고 우리 전통부적을 똑같이 갖고 있던 사람들..
이들은 어디서 온 사람들일까요?
감이 잡히십니까?

이집트의 창조여신 하토르(Hathor)의 부조상
얼굴이 넓적하고 쌍꺼풀이 없는 동북아시아적인 얼굴.

[스핑크스]
스핑크스는 코가 떨어져 나갔는데
얼굴이 사람(여성)이다.
그런데 광대뼈가 튀어나온 동북아 여성의 얼굴!

하토르 여신의 조각상
역시 동북아시아적인 얼굴.
한국 어느 곳에서나 흔히 볼 수 있는 얼굴.
고대 이집트인들은 [무궁화]를 달의 여신 [히비스쿠스]에게 바쳤다.
그래서 무궁화를 린네는 "히비스쿠스 시리아쿠스"라고 불렀다.
달의 여신 [히비스쿠스]는 바로 [하토르]였다.
바로 이 무궁화를 솔로몬왕은 "샤론의 장미"라고 불렀다.
----------------------------------------------------
- 이상 솔본님 글을 재구성한 것.
무궁화의 원산지는 한국.
더 근본적으로는 고대 황해평원 ( 한국 서남해 앞바다)

청계산 생강나무는 벌써 싹이 트고...


[밝은 앞날 되시기를]
[꿈은 이루어진다]
[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첫댓글 혹시 그 두마리 호랑이가 개는 아닐까용?...그냥.;;
퍼 갑니다...
티우가 치우일까요?
그럴꺼 같네요
만주에서 노아의방주-즉 홍수가 나서 세계각지로 퍼져나가는거죠? 중국 시안, 이집트, 티벳, 보스니아..등등-보스니아의 피라미드는 시멘트로 만들어져있더군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