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시 조 (古時調)
옛 시 조(古時調)
읽고 또 읽어도 좋은 시 모음 마음에 여유가 없을 때, 마음 둘 곳이 없을 때, 글로 공감을 하고 싶을 때, 내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 때, 시를 읽으면 마음이 따뜻해지기도 하고 슬프기도 하고 감정, 감성이 풍부해지는 느낌을 받습니다. 짧은 문장에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함축해서 표현해 내는 것은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옛 시조 50 여편을 올입니다 감상해 보세요
청산은 나를보고 - 나옹선사
청산(靑山)은 나를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명월(明月)은 나를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욕심(慾心)도 벗어놓고 성냄도 벗어놓고 바람같이 구름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나옹선사 (1262-1342);고려 말기의 고승,공민왕의 왕사.
춘산에 눈 녹인 바람 - 우 탁 춘산에 눈 녹인 바람 건듯 불고 간 데 없다 저근듯 빌어다가 머리 우에 불리고자 귀밑의 해묵은 서리를 녹여 볼까 하노라 우 탁 (1262-1342) ; 고려 말기의 학자,성리학에 뛰어남.
이화에 월백하고 - 이조년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은 삼경인데 일지춘심을 자규야 알랴마는 다정도 병인냥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이조년 (1268-1343) ; 고려 말의 학자,시와 문장에 뛰어남.
녹이 상제 살찌게 먹여 - 최 영 녹이 상제 살찌게 먹여 시냇물에 씻겨 타고 용천 설악 들게 갈아 두러 메고 장부의 위국충절을 세워 볼까 하노라 최 영 (1316-1388) ; 고려 말의 명장,이성계에게 죽임을 당함
가마귀 사우는 골에 -김정구 가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야 가지 마라 성난 가마귀 힌 빛을 새오나니 창파에 좋이 씻은 몸을 더럽힐까 지은이가 정몽주의 어머니라고 하나, 연산군 때 김정구라는 설이 확실함.
이 몸이 죽고 죽어 - 정몽주 이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 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정몽주 (1337-1392); 고려 말의 위대한 충신, 이방원에 위해 피살됨
오백년 도읍지를 -길 재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한데 인걸은 간 데 없네 어즈버 태평 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길 재 (1353-1419) ; 고려 말의 학자, 고려가 망하고 고향에 숨어서 살았다
백설이 잦아진 골에 - 이 색 백설이 잦아진 골에 구름이 머흐레라 반가운 매화는 어느 곳에 피었는고 석양에 홀로 서서 갈 곳 몰라 하노라 이 색 (1328-1395) ; 고려 말의 학자,조선 건국 후에 벼슬을 그만 둠.
흥망이 유수하니 - 원천석 흥망이 유수하니 만월대도 추초로다 오백년 왕업이 목적에 부쳤으니 석양에 지나는 객이 눈물 겨워 하노라 원천석 ( ? ) ; 고려 말의 학자, 절개의 선비.
눈 맞아 휘어진 대를 - 원천석 눈 맞아 휘어진 대를 뉘라서 굽다 턴고 굽을 절이면 눈 속에 푸르르랴 아마도 세한고절은 너 뿐인가 원천석 ( ? ) ; 고려 말의 학자, 절개의 선비.
내해 좋다 하고 - 변계랑 내해 좋다 하고 남 싫은 일 하지 말며 남이 한다 하고 의 아녀든 좇지 마라 우리는 천성을 지키어 생긴대로 하리라 변계랑 (1369-1430) ; 고려말 조선초의 학자, 시와 문장에 뛰어남
이런들 어떠하며 - 이방원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이방원 (1367-1422): 이성계의 다섯재 아들, 뒤에 태종 임금이 됨.
가마귀 검다 하고 - 이 직 가마귀 검다 하고 백로야 웃지 마라 겉이 검은들 속조차 검을소냐 겉 희고 속 검은 이는 너뿐인가 하노라 이 직 (1362-1441) ; 고려말 조선초의 학자
강호에 봄이 드니 - 맹사성 강호에 봄이 드니 미친 흥이 절로 난다 탁료계변에 금린어 안주 삼고 이 몸이 한가 하옴도 역군은이샷다 맹사성 (1360-1438) ; 세종 때의 대신, 효성이 뛰어나고 청렴한 관리임
대추 볼 붉은 골에 - 황 희 대추 볼 붉은 골에 밤은 어이 듣드리며 벼 벤 그루에 게는 어이 내리는고 술 익자 체 장수 돌아가니 아니 먹고 어이리 황 희 (1363-1452) ; 조선초의 훌륭한 재상, 청렴한 관리였음.
이 몸이 죽어 가서 - 성삼문 이 몸이 죽어 가서 무엇이 될고 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 되었다가 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청청 하리라. 성삼문 (1418-1456) ; 사육신의 한 사람, 훈민정음 창제에 공이 큼.
수양산 바라보며 - 성삼문 수양산 바라보며 이제를 한하노라 주려 죽을진정 채미도 하는 것가 아무리 푸새엣 것인들 그 뉘 땅에 났더니 성삼문 (1418-1456) ; 사육신의 한사람, 단종을 다시 모시려다 사형당함.
가마귀 눈비 맞아) - 박팽년 가마귀 눈비 맞아 희는 듯 검노매라 야광명월이야 밤인들 어두우랴 임향한 일편단심이야 변할 줄이 있으랴 박팽년 (1417-1456) ; 사육신의 한사람, 단종을 다시 모시려다 사형당함
초당에 일어 없어 - 유성원 초당에 일어 없어 거문고를 베고 누어 태평성대를 꿈에나 보려터니 문전에 수성어적이 잠든 나를 깨워라 유성원 (?-1456) ; 사육신의 한 사람, 당시에 집에서 자결했음
한산섬 달밝은 밤에 - 이순신 한산섬 달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긴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던차에 어디서 일성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 이순신 (1545-1598) ; 조선 선조때의 장군, 임진왜란때 나라를 구하고 전사함.
【3000년에 1번 핀다는 희귀한 *우담바라꽃】
간밤에 불던 바람 - 유응부 간밤에 불던 바람 눈서리 치단 말가 낙락장송 다 기울어 지단 말가 하물며 못다 핀 꽃이야 일러 무삼하리오 유응부 (?-1456) ;
사육신의 한사람, 사육신은 세조에 의해 죽은 충신들임.
추강에 밤이 드니 - 월산대군 추강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낚시 드리우니 고기 아니 무노매라 무심한 달빛만 싣고 빈배 저어 오노라 월산대군 (1455-1489) ;
조선 초기 성종임금의 형으로 34에 요절한 불우한 왕손, 문장과 풍류가 뛰어남.
짚 방석 내지 마라 - 한 호 짚 방석 내지 마라 낙엽엔들 못 앉으랴 솔불 혀지 마라 어제 진 달 돋아 온다 아희야 박주 산챌망정 없다 말고 내어라 한 호 (1543-1605) ;
조선대 명필 한석봉, 떡장사 어머니 이야기가 유명함.
마음이 어린 후이니 - 서경덕 마음이 어린 후이니 하는 일이 다 어리다 만중 운산에 어느 님 오리마는 지는 잎 부는 바람에 행여 그인가 하노라 서경덕 (1489-1546) ;
조선 전기의 대학자, 평생을 벼슬하지 않고 학문만 함.
장검을 빠혀 들고 - 남 이 장검을 빠혀 들고 백두산에 올라 보니 대명천지에 성진이 잠겼에라 언제나 남북풍진을 헤쳐 볼까 하노라 남 이 (1441-1468) ;
조선초 훌륭한 장군, 간신 유자광의 모함으로 죽음.
삼동에 베옷 입고 - 조 식 삼동에 베옷 입고 암혈에 눈비 맞아 구름 낀 볕뉘도 쬔 적이 없건마는 서산에 해 지다 하니 눈물 겨워 하노라 조 식 (1501-1572) ;
조선 전기의 큰 학자, 초야에 묻혀 학문에만 전념함.
풍상이 섯거 친 날에 - 송 순 풍상이 섯거 친 날에 갓 피온 황국화를 금분에 가득 담아 옥당에 보내오니 도리야 꽃이온 양 마라 임의 뜻을 알괘라 송 순 (1493-1583) ;
조선 전기 학자, 벼슬 그만 두고 독서와 문장을 즐김
오리의 짧은 다리 - 김 구 오리의 짧은 다리 학의 다리 되도록 검은 가마귀 해오라비 되도록 항복무강하사 억만세를 누리소서 김 구 (1488-1543) ;
조선 전기 학자, 서예와 문장에 뛰어남
태산이 높다 하되 - 양사언 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양사언 (1517-1584) ;
조선 전기 학자, 서예에 뛰어남.
이런들 어떠하며 - 이 황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료 초야우생이 이러타 어떠하료 하물며 천석고황을 고쳐 무엇하료 이 황 (1501-1570) ;
조선시대 최고의 학자, 도산서원에서 후진 양성함.
청산은 어찌하여 - 이 황 청산은 어찌하여 만고에 푸르르며 유수는 어찌하여 주야에 긋지 아니는고 우리도 그치지 말고 만고상청하리라 이 황 (1501-1570) ;
조선시대 최고의 학자, 도산서원에서 후진 양성함.
고인도 날 못 보고 - 이 황 고인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못뵈 고인을 못봐도 예던 길 앞에 있네 예던 길 앞에 있거든 아니 예고 어쩔꼬 정 철 (1501-1570) ;
조선시대 학자, 도산서원에서 후진 양성함.
청초 우거진 골에 - 임 제 청초 우거진 골에 자난다 누웠난다 홍안은 어디 두고 백골만 묻혔나니 잔 잡아 권할 이 없으니 그를 설어 하노라 임 제 (1549-1584) ;
조선 전기의 풍류 남자, 문장에 뛰어남
이고 진 저 늙은이 - 정 철 이고 진 저 늙은이 짐 벗어 나를 주오 나는 젊었거늘 돌인들 무거우랴 늙기도 서러라커늘 짐을조차 지실까 정 철 (1536-1593) ;
조선대 문인, 송강가사로 유명함
철령 높은곳에 - 정 철 철령 높은곳에 쉬어넘는 저 구름아 고신 원루를 비삼아 띄워다가 님계신 구중심처에 뿌려본들 어떠리 정 철 (1536-1593) ;
조선 선조때의 문신 시인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등 가사집이 있다.
샛별지자 종다리 떳다 - 김천택 샛별지자 종다리 떳다 호미메고 사립나니 긴수풀 찬이슬에 베잠뱅이 다젖는다 소치는 아이놈은 상기아니 일었느냐 재넘어 사래긴 밭을 언제 가려 하느냐 김천택 (?-?) ;
조선 영조때 가인, 평민출신의 가객으로 청구영언등 많은 작품을 남김.
백두산 돌 칼갈아 없애고 - 남 이
백두산 돌 칼갈아 없애고 두만강 물 말먹여 없애리 남아 나이 이십에 나라 평정 못할진데 후세에 뉘라서 대장부라 하리요 남 이 (1441-1468) ;
조선초 훌륭한 장군, 간신 유자광의 모함으로 죽음.
한손에 가시쥐고- 우 탁 한손에 가시쥐고 또 한손에 막대들고 늙는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렸더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고려말 우탁
천만리 머나먼 길에 - 왕방연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 님 여의옵고 내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았으니 저 물도 내 안 같아여 울어 밤길 예놋다 왕방연 ( ? ) ;
사육신 사건 때 단종을 귀양지 영월까지 모셨던 사람.
간밤에 불던 바람 - 유응부 간밤에 불던 바람 눈서리 치단 말가 낙락장송 다 기울어 지단 말가 하물며 못다 핀 꽃이야 일러 무삼하리오 유응부 (?-1456) ;
사육신의 한사람, 사육신은 세조에 의해 죽은 충신들임.
삭풍은 나무 끝에 - 김종서 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은 눈 속에 찬데 만리 변성에 일장검 짚고 서서 긴 파람 한 소리에 거칠 것이 없에라 김종서 (1390-1453) ;
세종 때의 뛰어난 장군, 뒤에 수양대군에게 죽음.
장백산에 기를 꽂고 - 김종서 장백산에 기를 꽂고 두만강에 말 씻기니 썩은 저 선비야 우리 아니 사나이야 어떻다 인각화상을 누가 먼저 하리오 김종서 (1390-1453) ;
세종 때의 뛰어난 장군, 뒤에 수양대군에게 죽음.
가노라 삼각산아 - 김상헌 가노라 삼각산아 다시보자 한강수야 고국산천을 떠나고자 하랴마는 시절이 하 수상하니 올동말동 하여라 김상헌 (1570-1650) ;
조선 인조때의 절개곧은 선비, 청나라에 항거한 삼학사(윤집 오달재와).
산은 옛산이로되 - 황진이 산은 옛산이로되 물은 옛물이 아니로다 주야에 흐르니 옛물이 있을소냐 인걸도 물과 같아야 가고 아니 오노매라 황진이 (15??-?) ;
조선중기의 이름난 기생, 시와 가무에 뛰어남.
국화야 너는 어이 - 이정보 국화야 너는 어이 삼월춘풍 다 지나고 낙목한천에 네 홀로 피었나니 아마도 오상고절은 너뿐인가 하노라
이정보 (15??-?) ; 조선중기의 이름난 학자,



|
첫댓글 옛 시조 감사합니다.
옛 시조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옛 선조들의 시조를 즐감하고 나갑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가 되시기를 기원드립니다.
잘 읽었습니다.특히 황진이 시조가 좋네요.
새삼 옛 시조 감사히 읽고 갑니다...오늘도 행복 하소서~~
어려운 부분은 있어도 감사히 잘 정독 했습니다.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즐거운 하루되세요...
엣왕이군요
주옥같은 시조들 잘 읽고갑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시" 잘 읽고갑니다 고맙습니다.
옛날시조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좋은 글 잘 감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시조 많은 늦낌을 주는군요~~~ㅋㅋ
귀한 옛시 잘보았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시 를 잘 읽고 갑니다 감사 합니다
학교 다닐 때 외우고 감상하던 옛 생각이 납니다. 귀한 시 감사해요.
옛날시조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옛 시조 옛서당에서 공부하던.감회가~~감사합니다.
좋은 옛시조 감사히 보고 갑니다.
좋은 옛 시조 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시조들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옛시조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옛시조 감사합니다 읽는이로 하여금 해석이 있으므로 이해가 충족됩니다 고맙읍니다
시조를 외우던 시절도 있었는데 옛날을 생각하며 오래 머물다 갑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옜시조인가? 좋은글 잘보고갑니다,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상투배기상,이
아련한 옛 시조를 잘 보고갑니다.~~고맙습니다.
시대적 배경과 절개가 절절히 배여나는 시조 감격스럽고 고맙습니다.
옛시조를 읽으니 추억이 새롭습니다(국민)오후에남아 다왜우지 못하면 집에 보내주지않았답니다 울님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옛 성현들의 충절을 뜻하는 시 와 시대의 역사를 표현하는 시 감명깊게 읽고갑니다.감사합니다.
좋은 시 잘 읽었습나다 감사합나다 *^-^*
시조 감사 합니다 고운 밤 되세요
좋은시조들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귀중한 시조 감사합니다.오늘도 건강하고 즐거운 하루 되세요
한창 공부하든 시절이 생각나네요 귀한시조 감사합니다
좋은글 아름다운 풍경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옛시조, 감사합니다. ^^*^^
좋는 자료 감사 합니다.
백발이 저 먼저알고 지름길로오도라 가는세월 널원망할손가 얼마가 나만지모르는세월 대천명 하리라
오랫만에 앍어보니 옛날이 새롭습니다.감사합니다
옛시를다시읽어보니 옛글이회생되네 너만읽고 난들기억하니 깊은뜻색여지네 감사합니다
좋았습니다!감사
학창시절을 도리켜보게 하는 좋은 "시" 잘 보고 갑니다.
정말 노고가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온고지신~ 귀한 글 잘읽었습니다~
옛시조 읊어보니 선조님들의 생생한 지조와기백을 가슴으로 ...
옛지조 읊어보니 20대 고교시절이 그리워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