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남쌍령지맥이란?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안성 용인 용인시 이동면 원삼면 용인시를 가르는 한남정맥상 문수봉 지나 410봉 오르기전 390m 지점에서 한줄기를 서남쪽으로 뿌리며 쌍령산(502m, 4.4km)- 금병산(243.5m, 4km/8.4km)-82번국지도 방고개(150, 1.8/10.2)- 봉황산(270, 2.6/12.8)-뱃고개(90, 2/14.8)-신선봉(308, 3.2/18)- 천덕산(330, 1.2/19.2)-387번지방도로(150, 2/21.2)- 백련봉(236, 2/23.2)-경부고속도로(50, 3/26.2)- 덕암산(164.5△, 2/28.2)-불악산(150, 3.6/31.8)-함박산(59, 9/40.8)- 바람산(41.1△, 1/41.8)-좌교천과 진위천이 만나는 평택시 고덕면 방사천마을(3.1/44.9)에서 끝이 나는 도상거리 약4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신경수님 글] |
★산행코스 : 곱등고개(곱든고개)-문수봉(△403.2)-쌍령지맥분기점 -비사리고개-문수산터널(326번 지방도로)_△407.9-x396.6-
x457.7-쌍령산(502.2)-헬기장-△377.5-x268.5-x258.4(금병산 전위봉)-MAESTRO c.c-방고개(82번 국지도)_△177.2
봉 왕복-신안c.c-봉화산(259.3) 왕복-파인크리크 c.c-x134.3-뱃고개(배티마을)-이현리 버스정류장
-
[산행지도]
서울역에서 9-1번 출구로 나와 5005번 버스에 올라 용인시외버스터미널에서 하차한다. 시외버스터미널에서 백암행 버스에
올라 경안천을 따르며 지나던 57번 지방도로는 곱등고개(곱든고개)에 하차하여 산행 준비를 하게 된다. 야생동물이 지나도
록 만들어 놓은 생태터널과 문수봉 등산로의 안내도가 설치되어 있고 문수산마애보살상 문화유적지의 방향을 따라 오르막으로
시작되는 곱든고개이다.
곱든고개
큰 나무들이 하늘을 가리운 녹음터널을 조금만 오르면 x374.4봉에 닿고 원삼면의 농촌 풍경이 시원하게 펼쳐져 산에 있는 기분이
느껴졌다.
문수봉으로 오르는 길은 계속 오르막이며 별 어려움이 느껴지지 않는 편한 길로 이어져 갔다. 용인시와 원삼면의 경계를 따라
남진하게 되는 산줄기는 문수봉의 정상에 선다.
[문수봉,△403.2]의 정상석을 맞으며 정상석 옆 '산길을 가며'의 송익필님 시에 진달래꽃이 만발한 사진에 담아 있어 운치를 더
했다. 거기에 펄럭이는 태극기가 있고 너른 평지같은 정상에 쉬어갈 수 있는 정자에 남자 3 분이 여유로운 시간을 보낸다.
마침 같이 막걸리 한 잔 먹을 수 있었고 운동기구가 있고 [앵자지맥의 분기점]이기도 한 산정이다.
[문수봉의 삼각점]
이곳에서 긴 여정을 보내고
[한남정맥으로 가는 문수산 마애보살]과 원삼면사무소로 가는 방향을 버리고 문수산터널의 남동진하게 된다.
한남정맥때 보았던 시설물[xx석유xx]이 보이는 이동면 골짜기의 철조망으로 이어지는 [비사리고개]를 지나 문수산터널이란
느낌마져 들지 않는 산길을 따라 가끔 나무에 달린 [산너울2길]이란 팻말과 같이 길을 따랐다.
문수봉을 지나 온 1.0km의 용인시의 이정목과 '미리내성지 3.67km, 망덕고개 1.81km]의 이정목을 지난다. 양성면 미산저수지
의 북쪽에 위치한 미리내성지가 있는 곳의 방향을 따르며 진행하게 된다.
특이한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는 마루금의 실감이라도 하듯 표지기를 담고 숲을 이루고 있는 나무들은 줄기에 물을 끌어올려
신신한 몸색을 밝게 만들어 주어 산행의 즐거움이 느껴진다.
한 달을 어찌 보냈을까. 모처럼 산에 와 걷는 산릉에서 새봄의 기운을 전해주는 싱그런 풍경에 젖어든다. 신갈나무, 떡갈
나무,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등 정확히 가를 수 없는 나무이름이지만 길을 걷는 행선지는 같다. 다소 꿈뜬 행보를 한 다 한
들 어설프지 않은 것은 산이어서 그럴 것이다.
이르러 [쌍령지맥 분기점]에 닿고
[쌍령지맥 분기점]이라 쓰인 쉼터에 닿고 쌍령산 4.3km의 이정목에 쓰인 쌍령산을 이름에 올린다. 이정목은 [망덕고개 1.2km.
미리내성지 3.06km, 은이성지 7.50km]과 '삼덕의 길' 은이성지로 가는 팻말도 있다.
석포숲삼거리 쉼터의 현위치 등산로 안내판의 쉼터를 지나
포장도로를 따르다 흙길로 이어진다. 흙길도 잠시 '미리내성지 2.43km'의 이정목이 있는 산으로 들게 된다. 철탑을 지나 미
리내성지의 이정목은 수시로 이어져 있었다.
'애덕고개' 갈림길의 이정목을 지나며 '산너울 2길'의 팻말은 여기까지 따라왔다.
[△407.9]봉의 '안성 449, 1987 재설'의 삼각점을 지나
[미리내성지]로 내려가는 안부에 닿고 지척에 있을 성모당을 생각해 보면서 걷게 되었다. 작은 돌탑도 이곳에 있고 안부를 지난
다.
[x396.6봉]의 우람한 소나무에 팻말에 붙고 서쪽으로는 양성면, 동쪽으로는 원삼면의 경계를 따라 산군들이 평지처럼 느껴지는
굴곡이 없는 산을 산책하 듯 육산으로 이어져 간다.
쌍령산 1.33km의 거리는 점점 가까이 다가오고 철탑 앞 배내미 약수터 3.5km의 팻말이 세워져 있는 길을 지나는데 햇빛이 점점
뜨거웁게 느껴졌다.
등산로는 경사가 완만하고 길이 부드러워 호젖한 산행지로 제격일 것 같은 느낌이 들고 저 편 하늘금이 지나는 산줄기 한남정
맥을 쳐다 보면서 걷게 된다.
통나무에 흰로프줄로 만들어 놓은 등산로를 지나.
[x457.7]봉을 지난다.
아주 작은 돌탑 앞 이정목 '배내미약수터, 거북바위'과 미리내성지의 갈림 길이 되는 이정목도 지나 오르면 쌍령산의 정상에
선다.
[쌍령산 502.5]의 지맥의 가장 높은 산이란 평지같은 정상에 '雙領山'이란 표지석이 있는 곳, 문수봉에서 이어져 온 산길은 조망이
좋은 곳도, 실낱처럼 내려다보이는 골짜기도 보이지 않는 정상을 밟는다.
긴 의자에 앉을까 했는데 앞서 왔던 부자 간으로 보이는 2 분이 점심을 먹고 밥상을 접는다.
그래서 쌍령산을 지나
헬기장이 있는 곳에 자리를 잡고 안성시 양성면과 용인시 원삼면, 그리고 고삼면이 갈리는 삼면봉이 되는 풀덤속에서 나는 간식을
차렸다.
이제부터 용인시 원삼면은 멀어져 가고 양성면과 고삼면의 경계를 따라 가게 된다. 고도를 낮추어 가며 제법 경사로를 따라 갔
다.
[꼬리말발도리]꽃이 피고
x430.6봉을 지나
이정철주의 '예지촌, 쌍령, 정상 헬기장'을 지나면 삼각점봉인 377.5봉에 닿는다.
[삼각점 377.5]봉의 삼각점은 아주 오래된 흔적으로 남아있고 그 흔한 재설작업도 하지 않아 판독도 할 수 없었다. 가지고 있는
5만 지도의 쌍영산 △373.4봉의 위치가 이곳이 된다.
동쪽 고삼면의 쌍령과 쌍지천이 이 지명을 빌어 쓴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지나가는 이정철주는 '정동, 봉지곡과 쌍령의
지나온 쌍령과 헬기장'을 알려준다.
물론, 고삼면의 정동과 봉지곡의 조망은 되지 않는다.
염티마을로 내려가는 갈림 길의 이정목을 지나
맨발님의 '쌍령지맥을 종주하시는 산님들 힘내세요'란 팻말이 붙고 염티마을 안부로 내려선다. 염티마을로 내려가는 안부로 내
려서면
[염티마을]이정목
[x258.4봉의 금병산 전위봉]에 서서 금병산으로 갈까 망설이다 그냥 진행하기로 한다. 금병산(x234.5봉)의 동남쪽 방향으로
이어지고 남진하던 길의 방향은 바뀌어 서진하게 된다.
철탑을 지나 가유리 갈림 길의 이정철주를 지난다.
아카시아꽃이 활짝 피어 꽃 향내음이 가득한 길을 걸으니 이내 힘이 나고
마루금을 이어가다 골프장으로 산줄기는 이어지는데 등산로는 서남으로 꺾이어 골프장을 피해갔다. 올 때부터 걱정했던 구간의
산행이 다행이란 생각이 들던 차
골프장 포장도로에 닿고 그린필드 건너 보이는 마루금으로 예측되는 산길을 보면서 휴게소를 지나 빈 공터로 나온다. MAESTRO
C.C의 정문 도로를 빠져 나왔다.
지도에 있는 방고개의 오름 길에 있는 '맛집 막국수'집에서 막국수를 먹고 막국수 집 뒤 방고개의 양성면과 고삼면의 고개인 82번
국지도를 쳐다본다.
[방고개]
에는 중앙분리대가 있고 절개지의 철계단으로 올라야 하나, 고삼면쪽으로 조금 내려와 82번 국지도의 지하통로를 건너게 된다.
82번 국지도를 지나면
포장도로로 잠시 진행하다 우측으로 방향을 바뀌어 산으로 따라 오른다. 눈에 익은 노란 표지기가 손짓하며 산릉에 닿고 철탑과
82번 국지도가 휘어져 온다.
마루금의 [무명봉]에 표지기가 선배님들의 다녀간 흔적이 고스란히 남겨져 있는 봉우리를 밟게 된다. 철탑이 내려다 보이고
왼쪽 골프장이 잠시 조망된다.
마루금에서 약간 벗어나 있는
[삼각점 △177.2]봉의 폐허가 된 산불감시초소에 삼각점은 '안성 448, 1983 재설'의 삼각점 번호를 달고 있었다. 다녀가신 분들의
흔적도 있고
삼각점봉을 되돌아 본릉에 합류하게 된다.
맨발님의 표지기가 수시로 보이는 산길을 따라 걸으며 골프장 포장도로로 또 내려선다. 연산홍이 도로에 가득한 그 길을 따라 걸
으며
드넓은 필드의 도로를 따라 이어지며 골퍼들의 눈치를 보면서 걷는다.
[신안 c.c]의 필드 건너 보이는 무명봉우리를 올라야 하는 마루금을 쳐다 보면서 도로를 걷다 정자에서 쉬어 다시 골프장옆으로
오르는데 골퍼 한마디 하는 바람에 나도 덩달아 한마디 하고 오른다.
'들어 오면 안된덴다' 나도 '안 들어 간다고'
저 산으로 기어 오른다.
조망이 터진다.
골프장이 바로 지척에 있으며 낮은 산들의 산줄기가 이어지는 구릉의 모습이 펼쳐지는 풍경을 보면서 무명봉우리로 기어 오른다.
통신시설물을 지나
[무명봉우리]에 닿고
숨을 고른다.
안성에 있는 산에 오른 기분일까. 앞에 걸린 안성의 대방님 표지기를 보려고 무명봉우리를 기어 올랐나 싶었다.
산줄기가 없어질 듯 이어지는 신안골프장 바로 산으로 잇고
[x196.3봉]을 지나
철탑을 지나 아카시아 꽃 향내음 맡으며 골프장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날려 버린다. 마루금에서 벗어나 있는 봉황산의 정상에
[봉황산 정상 259.3봉]의 산정에 '그곳에 오르고 싶은 山'이란 아크릴판 이름표가 붙어 있었다. '봉황산'의 이름도 많은 산이름
이고 보면 이곳 봉황산은 산이름에도 끼지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얼마 남지 않은 거리에 발걸음은 빨라지며 봉황산을 내려와
[파인크리크 c.c]의 도로로 내려선다.
골프장 도로를 따라 걸으며 △256.2봉의 오름길 포장도로에 있는 출입금지 팻말을 보면서 골프장 주차장으로 들어선다.
[△256.2]봉
주차장을 한 바퀴 돌아 연산홍이 도열된 골프장 도로를 따라 걸으며 필드 내 때죽나무가 한 그루 있는데 꽃이 대롱대롱 나무에
매달려 그 꽃을 보는 순간 나를 보는 것 같아 한심스런 생각이 들었다.
골프장 도로를 따라 걷다
골프장 왼쪽 [안테나 있는 산]으로 오르게 된다.
철탑을 지나
[송전선로의 표지기]가 수시로 보이는 산길을 걸어 철탑을 지나 묘와 묘가 잇는 산길로 이어진다.
[무덤]위를 걷고 저 산 너머 해가 기울어져 간다.
낮은 구릉의 산내음, 5월의 녹음이 시작된 산이 숲에 널따란 언덕을 장식하고 있었다. x134.3봉의 소나무에 달린 이름표가
높고
가느다란 솔나무가 산에 가득 메웠다. 배티마을이 보이는 산길을 내려와 임도를 건너 뱃고개로 내려 서려다 발걸음을 멈
춘다.
뱃고개의 절개지를 보면서 되돌아 서고
해가 기울고 있는 저 산 반대편 배티마을로 내려선다. 이현배티길이었다. [이현교차로]를 지나 45번국도의 지하통로를 나와
이현리의 버스정류장에 선다. 장서리와 아현리를 잇는 뱃고개의 북쪽에 못 미쳐 버스정류장에서 산행종료한다. 순간 안성
과 용인시외버스 터미널을 오가는 22-1번 버스가 지나가고
해가 저물었다.
또 30여 분을 기다려 22-1번 버스에 올라 다음 산행에 닿을 뱃고개의 눈맞춤을 하고 이동면의 송전을 지나 45번 국도를 따라 용인
시외버스터미널에 도착하여 5005번 버스로 환승. 또 다시 서울역에서 전철로 귀가했다.
해야 할 일 모두를 내일로 미루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