題袁氏別業(제원씨별업) : 賀知章(하지장 659-744)
원씨의 별장에 들렸다가
주인과는 서로 일면식도 없는데
지나가다 우연히 임천의 경관이 좋아 앉아 보았네.
주인이시여, 술 사올 돈이 없다고 걱정하지 마오
내 주머니에도 그 정도 돈푼쯤은 있다오.
主人不相識, 偶坐爲林泉. 주인불상식, 우좌위림천.
莫謾愁沽酒, 囊中自有錢. 막만수고주, 낭중자유전.
相識 : 서로 알다.
偶坐 : 우연히 앉다(偶 : 뜻하지 아니하게의 뜻).
別業 : 별장. 原主에 “非正居爲別業, 如園林書院之類”라 함.
林泉 : 전원 생활의 雅趣와 幽閑함을 표현하는 말.
莫謾 : 두 글자 합하여 모두 ‘莫’과 같은 뜻. ‘~하지 말라’의 뜻.
沽 : 고(賈)의 통가자. ‘사다’(買)의 뜻.
이 시는 서로 모르는 사이지만 남의 별장의 그윽한 자연에 취하여 주인과 정을
나누고자 하는 내용이다.
賀知章(하지장 659-744)
唐代 시인. 자는 季眞, 호는 四明狂客. 越州 永興 사람.
당 高宗 顯慶 4년에 태어나 玄宗 天寶 3년에 죽었으니 향년 86세였다. 證聖초 진사에
급제하여 秘書監을 역임하였다. 술을 좋아하였으며 文辭와 談論에 뛰어났다한다.
그 외 草書와 隸書에도 뛰어나 張旭의 칭찬을 받기도 했다. 그의 시는 지금 20수가 전하며
<全唐詩>에 수록되어 있다.
主人/不/相識, 偶坐/爲/林泉. 莫謾/愁/沽酒, 囊中/自/有錢.
주인/불/상식, 우좌/위/림천. 막만/수/고주, 낭중/자/유전.
主人/不/相識, 偶坐/爲/林泉. 莫謾/愁/沽酒, 囊中/自/有錢.
주인/불/상식, 우좌/위/림천. 막만/수/고주, 낭중/자/유전.
主人/不/相識, 偶坐/爲/林泉. 莫謾/愁/沽酒, 囊中/自/有錢.
주인/불/상식, 우좌/위/림천. 막만/수/고주, 낭중/자/유전.
첫댓글 잘 감상하였습니다. 고맙습니다.
主人/不/相識,偶座/爲/林泉.莫만/愁/沽酒,囊中/自/有錢.
주인/불/상식,우좌/위/림천.막만/수/고주,낭중/자/유전.
설이 지났으니 일상의 한부분
소홀했던 한시공부 하고 갑니다.감사합니다.
漢詩를 읽으면서 하루를 열어 봅니다.
고맙습니다.
主人/不/相識, 偶坐/爲/林泉.
莫속일만/愁/沽酒, 囊中/自/有錢.
건강 하시고, 좋은 일들만 가득 하시길 바랍니다.
시인의 옷소매 주머니에는 여러가지가 들어있나봅니다...
飮酒(음주) - 정몽주(鄭夢周)
客路春風發興狂(객로춘풍발흥광)
每逢佳處卽傾觴(매봉가처즉경상)
還家莫愧黃金盡(환가막괴황금진)
剩得新詩滿錦囊(잉득신시만금낭)
감상 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좋은 시 잘 감상하였습니다.
오늘도 한 수 배우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감상 잘 하고 갑니다.
길가다 경관이 맘에들어 감상하며 주인장과 한잔 나누자는 넉넉한 마음 훈훈해지는 정월입니다. 감사합니다.
주인 불 상식 - 주인과는 서로 일면식도 없는데
우좌 위 림천 - 우연히 임천의 경관이 좋아 앉아 보았네
막말 수 고주 - 주인이시여 술 사올 돈이 없다고 걱정하지 마오
낭중 자 유전 - 내 주머니에도 그 정도 돈푼쯤은 있다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하루는 여는 아침, 한 시 한귀절~~~ 하루가 새롭습니다. 당케~~
감상 잘 했습니다.감사합니다.좋은 하루 되세요.
잘 감상 하였습니다.
별장의 경치가 뛰어나 주머니 속의 엽전이 아깝지 않았나 봅니다...
이른 아침 한 수 배우고 갑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경치에 취하면 친구가 되어 한잔 걸칠수 있나보네요.
재미있네요. 감사합니다.
감사 합니다.
바라시는 일 모두 이루시길 빕니다.
감사합니다^-^
한잔 생각나게 합니다.
가경에 어찌 한잔 술이 없을 수 있겠습니까
시인과 자연과 술은 삼합인가 봅니다.
일일불독이면 입안에 가시가 나겠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그 좋은 자연 속에서 술마시며 어떤 얘기가 오갈까?
임천이 지명인가요
감사 합니다.
잘 감상하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