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향산 보현사 대웅전의 청정비로자나 불,

묘향산의 설명지도와 vip안내원의 설명.

묘향사 보현사 입구의 최고급 호텔 (묘향산 호텔) 이곳에는 외국인과 전용 영빈관이며 김일성. 김정일의 금수산 궁전이 바로 이곳에 있다.

도량을 관리하는 부목 처사의 모습을 잡기 위하여 촬영 함.

부처님의 8만4천 봉우리로 이어진 묘향산의 산세 모습.


보현사의 범종
사천왕의 힘차고 장엄한 모습.

서산대사님의 발자취와 속명이 기록된 비문. (속명은 完州 崔 氏 였고 이름은 汝信 이였슴)

빼어난 절경을 자랑하는 묘향산의 산세와 보현사의 정취.

4월 임에도 아직 잔설이 남아 있고 물빛은 수정같이 맑은 에메랄드 비취색 옥빛을 띄고 묘향산을 감싸 흐르고 있었다.

영산전 현판과 " 옴마니 반메 훔 "을 풀어 쓴 서체.

서산대사님께서 일본의 약탈을 미리 예견하시고 국보를 모두 이 높은 산 속, 방장에 감추어 두시고 수행정진하셨다는 청허방장을 친견 함. 안내원 동무의 말을 인용하면 김일성. 김정일 주석도 자주 방문을 하시면서 기념사진을 찍는 자리가 바로 제가 앉은 자리라면서 그 자리에서 기념 사진을 찍음. (설악산 흔들바위에 있는 계조암과 거의 유사했슴)

칠성동 계곡을 오르는 안내 표지판이며 북두칠성을 연상하고 있는 표현이였으며 북두칠성을 비스듬이 세우면 사람의 머리와 같은 형상 임. 이런 의미에서 사람을 상징하여 神仙들이 산다고 하여 七仙계곡이라는 이름을 지은 것으로 설명 함.


서산대사님이 쪽바가지로 뜨서 드시던 유일한 식수였다고 합니다. 물 한모금 입에 물고 부처님의 가피로 남북통일 그 날까지 잘 먹고 잘살도록 해 달라는 한없는 염원의 기도를 마음속으로 하면서 삼배를 올렸습니다.
( 바위 틈새로 흘러 나오는 물맛은 글자 그되로 法水였습니다)


해탈문 사이로 천왕문과 만세루를 지나 대웅전까지 일직선으로 이어진 동양 최대의 건축미를 자랑한다면서 자부심에 찬 안내원의 힘찬 설명을 들어면서 남북의 통일은 불교계가 앞장서서 해야 한다는 생각이 일어 났습니다. 이유는 불교문화유산의 전통성을 이어가는 불교 민족이 통일을 이루어 낸다는 사실입니다.
함께 사는 세상에는 부처님법이 최상승의 법문입니다.
첫댓글 아~~감탄이 절로 나옵니다.사진과 설명 간듯이 잘 보았습니다.부처님의 팔만사천 법문이 바로 여기에 있군요~~
서산대사께서 드신 깊은산속 옹달샘 일우거사님 드시면서 발원하신 서원 꼭 이루어질껍니다.
이렇게 좋은 자료 올려주셔 불이마을 법우들과 함께 할수있어 행복합니다^^ 성불하십시요!!!
사진을 올리면서도 혹여 방해가 될까하는 염려을 하였는데 감은지심으로 받아주시니 감개무량합니다. 한산사 불자님들이 큰 마음내시라는 의미도 사실은 담아서 올렸는데 심통력으로 이미 알으셨네요.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공덕으로 늘 건강하시고 뜻 하는바 서원를 꼭 이루게하소소!!!
서원이 이루어 지도록 열심히 정진하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놀라움과 감탄을 연신 하면서 잘~보았습니다 귀한 자료 올려주셔서 다시 고마움 전합니다_()_
민족의 문화유산은 세계의 유산이지요. 잘 보존하여 좋은 날이 오면 손에 손잡고 부처님과 함께 갑시다.
귀한 사진 감사히 봤습니다.
염려하지 마시고 좋은 사진 많이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네, 오늘 이 밤은 선원장님이 성성하신 법문이 귓가에 들리는 듯 합니다. 감사드립니다.
청허방장에 함께 합니다. 淸량한 한산에 백설이 분분한데, 虛공에 걸터 앉아 법계를 장엄하노라.
감로의 法雨로 격려주신 월암선원장 스님께 삼배로 인사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