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를 찾아야 할 필요와 나
1. 사람이 만물 가운데 가장 귀하다는 뜻은 나를 찾아
얻는 데 있나니라.
2. 나라는 의의가 절대 자유(絶對 自由)로운 데 있는 것으로
모든 것은 내 마음대로 자재(自在)할 수 있어야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인간은 어느 때, 어느 곳에도 자유가
없고,
무엇 하나 임의(任意)로 되지 않는 것은 망아(忘我)가
주인이
되고 진아(眞我)가 종이 되어 살아 나가는 까닭이니라.
3. 망아는 진아의 소생(所生)인데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마음은
곧 사심(邪心)이요, 진아는 정심(正心)으로 시종(始終)도 없고,
존망(存亡)도 없고, 형상(形象)도 없지마는 오히려
조금도 부족함이 없는 나이니라.
4. 사람이 나를 잊어버린 바에야 육축(六畜)으로 동류(同類)되는
인간이라 아니할 수 없나니, 짐승이 본능적(本能的)으로
식색(食色)에만 팔려서 허둥거리는 것이나, 제 진면목(眞面目)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현실에만 끌려서 헤매는 것이나,
무엇이 다를 것인가?
세상에서 아무리 위대하다는 인물이라고 하더라도
자기(自己)
면목(面目)을 모른다면 사생육취(四生六趣)에 윤회(輪廻)하는
한 분자(分子)에 지나지 아니하나니라.
5. 동업중생(同業衆生)이 사는 사바세계(娑婆世界)에는
너와 내가 다같은 생활을 하기 때문에 사람 사는 것이
그저 그렇거니 하고 무심히 살며, 자기들 앞에 가로놓인
무서운 일을 예측하지 못하고 그럭저럭 살다가 죽음이
닥치면 전로(前路)가 망망하게 되나니라.
6. 나라고 하는 것은 <아무개야!>하고 부르면
<네!>하고 대답하는 바로 그것인데 그것은 생사도
없고,
불에 타거나, 물에 젖거나, 칼에 상하는 것이 아니어서
일체 얽매임을 떠난 독립적인 나이다.
7. 인생은 말꼬리에 매달려 울며 뒹굴러 가는 죄수처럼
업(業)의 사슬에 끌려 생(生)노(老)병(病)사(死)의 고(苦)의
길을 영겁(永劫)으로 순력(巡歷)하고 있는데, 그 쇠사슬은
자기의 지혜 칼이라야 능히 끊어버릴 수 있게 되나니라.
8. 사회에서 뛰어난 학식과 인격으로 존경받는 아무러한
사람이라도 이일을 알지 못하면 기실 사람의
정신은 잃어버린 인간이다.
9. 석가세존(釋迦世尊)이 탄생 시에 산석(産席)에서
한 손으로 하늘을 가리키고 또 한 손으로 땅을 가리키며
“천상천하(天上天下)에 유아독존(唯我獨尊)”이라
하신
그 ‘아(我)’도 나를 가리킨 것이니라.
10. 각자가 다 부처가 될 성품은 지니었건만, 내가 나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부처를 이루지 못하나니라.
11. 일체가 다 나이기 때문에 극히 작은 하나의 털끝
만한 정력이라도 이 나를 찾는 이외의 어떤 다른 것에
소모하는 것은 나의 손실이니라.
12. 누구든지 육신(肉身)·업신(業身)·법신(法身) 세
몸을지녔는데,
세 몸이 일체가 되어 하나로 쓰는 때라야 올바른 사람이 되는 것이니라.
13. 일체 행동은 법신이 하는 것이나, 육신과 업신을
떠난
법신이 아닌 까닭에 현상(現像) 그대로가 곧 생사
없는 자리이니라.
14. 생사 없는 그 자리는 유정물(有情物)이나 무정물(無情物)이
다 지녔기 때문에 한가닥 풀의 정(精)이라도 전 우주의
무장(武裝)으로 해체(解體)시킬 수 없나니라.
15. 세상에는 나를 알아보느니 찾아보느니 하는 말과
문귀(文句)는 있으나,
업식(業識)으로 아는 나를 생각할 뿐이요,
정말 나는 어떤 것인지 상상조차 하지 못하나니라.
16. 나는 무한극수적(無限極數的) 수명(壽命)을 가진 것으로,
죽을래야 죽을 수 없는 금강불괴신(金剛不壞身)이라
이 육체의 생사는 나의 옷을 바꾸어 입는 것일 뿐,
인간이라면 자신이 소유한 생사의 옷쯤은 자유자재로 벗고 입을 줄 알아야 되나
니라.
17. 보고 들어서 얻는 지식으로서는 얻을 수 없는 것이니라.
나라는 생각만 해도 그것은 벌써 내가 아니니라.
18. 나는 무념처(無念處)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니,
그것은 무념처에 일체유(一體有)가 갖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19. 부처를 대상으로 하여 구경(究竟)에 이르면 내가
곧 부처인
것이 발견되나니, 결국 내가 나 안에서 나를 발견해야 하느니라.
첫댓글 마음에 새기렵니다...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