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베스트셀러중 베스트셀러는 무엇이었을까? 한국한문학 전공인 안대회 명지대 교수는 자신에 찬 어조로 단연 택리지(擇里志)를 추천한다.
몰락한 양반, 당쟁에서 패배한 청담(淸潭) 이중환(李重煥.1690-1756)이 편찬한 그 택리지 말이다.
택리지는 지리서라 하지만 정확하게 말하면 풍수지리서이다.
이긍익은 이 책을 '팔역복거지'(八域卜居志)라고 부른다. 팔역은 조선팔도를 말한다. 복거란 점을 쳐서 살만한 땅을 고른다이다.
산세 등을 살펴 살 만한 곳을 정한다는 복거(卜居)의 사상은 북송(北宋) 초기에 집대성된 도교의 일체경(一切經)인 '운급칠첨'에 수록된 동천복지(洞天福地)에서 유래했다.
지리산 청학동(靑鶴洞)은 조선에서 동천복지의 대명사격인 존재였다.
이중환의 팔역복거지는 바로 조선 팔도 중 어느 곳이 동천복지인가를 가려내 뽑아낸 책이다.
주의할 것은 이런 풍수학설에서 농.공.상(農工商)은 안중에도 없었다는 점이다.
이중환은 철두철미 사대부(士大夫)가 살 만한 땅을 추천했다.
한데 팔역복거지의 원전격으로 거론할 수 있는 동양풍수학 고전 중의 고전이 금낭경(錦囊經)이라는 책이다.
저자는 서진(西晉)-동진(東晉) 시대를 걸쳐 산 곽박(郭璞.276-324)이라는 사람으로 전한다.
곽박의 면모는 괴기스런 대목이 많다.
용이나 학을 타고 운중(雲中)을 노니는 신선의 풍모가 완연하다.
그가 주석(注釋)을 가한 유명한 책도 산해경(山海經)이니 초사(楚辭)니 하는 신선과 무당과 귀신이 한데 어우러진 것들이다.
그가 남긴 저명한 문학작품이 유선시(遊仙詩)라 해서 신선을 소재로 하고 있다.
이런 그가 금낭경과 같은 풍수학서를 쓰기에는 적격일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있다. 이 금낭경은 당대(唐代)에 갑자기, 그것도 혜성처럼 나타났다.
많은 책이 그렇듯이 아마도 이 금낭경은 당대 무렵에 곽박이 쓴 책으로 조작되었을 것이다.
어떻든 이 금낭경은 말 끝마다 '청오경'(靑烏經)이라는 책을 끌어다가 '경왈'(經曰)이라고 하면서 과연 어떤 곳이 풍수학적으로 좋은 곳인가를 설명한다.
한데 여기서 말하는 길지(吉地)란 예외없이 묘택(墓宅)이다.
현존본은 상하(上下) 2권에 8편이며 전체 글자도 2천자 가량에 지나지 않는다.
5천언(五千言)이라는 노자도덕경에 비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자고로 고전의 반열에 올라서기 위한 제1 요건이 간단명료함인데 금낭경은 이를 훌륭하게 충족시키고 있는 셈이다.
묘자리를 중시한 까닭은 조상의 기(氣)가 후손의 부귀영달과 밀접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는 이 금낭경 첫머리인 제1 기감편(氣感編) "사람은 부모에게 몸을 받고 본해(本骸.부모)가 기를 얻으면, 유체(遺體.자식)가 음덕을 받는다"(人受體於父母, 本骸得氣, 遺體受蔭)는 말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그런 맥락에서 묘자리를 택하는 데 금낭경이 가장 중시한 대목은 바람과 물. 이를 같은 기감편에서는 "풍수의 법은 물을 얻는 것을 가장 중시하고 바람을 갈무리 하는 일을 그 다음으로 친다"(風水之法 得水爲上 藏風次之)는 말로 표현된다.
금낭경이라는 이름은 양귀비와의 떠들썩한 로맨스로 유명한 당 현종이 이 책을 금낭(錦囊), 즉, 비단 보자기에 싸서 보관한 데서 유래했다 한다. 이 금낭경이 한반도 사회에 미친 영향은 다대한데 청오경(靑烏經) 등과 함께 술사(術士)가 되기 위한 잡과(雜科) 과거시험 필수과목이었다는 점에서 증명된다.
여기서 말하는 청오경은 금낭경에 인용된 것과는 다른 것으로 한(漢)나라 때 출현한 것이라 하지만, 원나라 이후 작품이라는 설이 압도적이다.
총 875글자의 단문이다. 청오(靑烏)란 태양 속에 산다는 까마귀 일종인 소위 삼족오(三足烏)와 궤를 같이 하지만, 실은 곤륜산(崑崙山)이라는 신산(神山)에 상거(常居)하면서 하늘에서 강림하는 천제(天帝)와 짝을 이룬 지상의 최고 여신선인 서왕모(西王母)의 메신저다.
청오경은 운세이야기에 올려놓았으니 참고바란다. 풍수의 핵심은 동기감응이론이다.
'조상의 기(氣)가 유골을 통해 후손에 영향을 미친다' 는 것이다. 땅속에 생기가 실제 있는가,있다면 과연 그것은 무엇인가,또 이것이 유골과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가 하는 여러 과학적 의문점이 생기는 부분이다. 동기감응은 풍수지리 고서인 청오경(靑烏經)과 금낭경(金囊經)에 각각 언급돼 있기는 하다. 금낭경에서는 '장사는 생기를 받아야 한다. 오기는 땅속으로 흐른다. 사람은 부모로부터 몸을 받고,본 해(부모 유골)가 기를 얻으면 유체(자식)는 음덕을 받는다(葬者乘生氣也. 五氣行乎地中. 人受體於父母,本骸得氣,遺體受蔭)'라고 돼 있다. 그러면 그 생기(生氣)는 무엇인가.
다시 금낭경은 '땅에는 사세가 있고 기는 팔방을 따른다(地有四勢,氣從八方)'고 하며 ' 무릇 음양의 기는 뿜으면 바람이 되고(夫陰陽之氣 噫而爲風),오르 면 구름이 되고(升而爲雲),내리면 비가 되고(降而爲雨),땅속으로 흘러 돌아다니면(行乎地中),곧 생기가 된다(則而爲生氣)'고 설명 하고 있다.
기의 형태가 바람,구름,비,땅속의 생기 등 4가지로 존 재한다는 이야기다.
그러면 기가 어떻게 전달되고 영향을 미치는가. 청오경은 '사람이 죽으면 뼈와 해골은 땅속 뿌리로 되돌아가 길한 기운이 감응하면 사람에게 복을 준다'고 한다.
그리고 이는 '동쪽산이 불을 토하 면 서쪽산에서 구름이 일어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 금낭경은 '봄 나무 가지 끝에 꽃이 피고 저장된 곡식이 싹 을 틔우는 것'이라고 한다.
기운은 오행을 말한다. 오행은 목화토금수이다.
동서남북 남주작 북현무 좌청룡 우백호를 말한다.
오행의 기운이 조상의 묘를 통해 동기하여 감응한다는 이론인것이다.
그 에너지의 원천에 바람과 물을 보고 그 바람과 물이 지리와 통하여 인간의 길흉화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야기이다. 이론을 토대로 한다면 한반도야 말로 풍수에서 말하는 길지의 입지가 완벽하게 이루어져있는 셈이다.
남북의 길만 연결된다면 막힌 풍수가 에너지화 되어 대륙으로 길을 열것이다. 앞으로 생활풍수에 대하여 자주 자주 언급할것을 약속드리며 오늘은 여기까지..
http://cafe.daum.net/alchem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