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청차다예의 유래
청차다예의 대표적인 조주(潮州)다예, 선두(仙頭)다예, 장주(장州)다예 등은 청나라 때 민간 중심으로 성행했던 행다법이다. 이때 민간인들은 다방사보(茶房四寶)인 맹신호(孟臣壺), 약침배(若琛杯), 옥서위(玉書위), 조선로(潮仙爐) 등 간편한 다기로 행다순서의 명칭인 유산완수(遊山玩水), 관공순성(關公巡城), 한신점병(韓信點兵) 등의 이름을 붙여 청차를 즐겼다.
그러나 이러한 청차의 민간행다법이 중국 공산정권, 특히 문화대혁명때 자본주의의 퇴폐문화로 간주되어 탄압된 뒤로 중국 차문화는 점차 퇴색되어 일반인들의 기억속에 사라져갔다.
반면 자본주의의 대만정부는 청차문화를 상업화하여 세계 차시장에서 성공을 거두었는데 그들은 청차 뿐만 아니라 행다법, 다기 등도 세분화하고, 새로운 청차문화를 정립하여 대만다인들의 차생활 속에 뿌리내리었다.
1980년 후반 죽의 장막이라 불리던 공산중국이 문호를 개방한 이후, 대만 다인들이 속속 중국을 방문하게 되면서 이때 그들은 대만의 청차 뿐만 아니라 새로 고안된 다기(茶荷, 茶拂, 茶海 등)를 사용한 행다법도 함께 중국 다인들에게 선보이고 중국 각지에 전파하였다.
대만에서 이런 청차문화를 가장 열성적으로 전파한 사람은 천상다엽공사(天祥茶葉公司) 산하 차문화연구기관인 육우다예의 채양명, 왕서선 부부이며, 이들은 또한 무아차회(無我茶會)를 만든 장본인이다.
다음장에 소개되는 청차다예는 육우다예 채양명씨가 처음으로 고안하였고, 여러번 수정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행다법으로 현재 중국, 대만에서 행하는 정통 청차다예 중의 하나다.
수정과정 중 행다순서의 명칭은 육우다예(陸羽茶藝) 總經理인 채양명씨, 福建省安溪懸茶葉委員會 會長인 채건명(蔡建明)씨, 武夷懸茶葉委員會 會長인 황현경(黃賢庚)씨와 1996년도 서울에서 개최한 제4회 국제 차문화 대회후 교분을 가진 고천 강육발님과의 여러번 의견을 교환하여 이루어졌다.
참고로 한중수교가 맺기전인 1989년에 학술행사차 중국에 들어간 어느 다인의 말에 의하면 차 행사장에 차를 우려 유리컵에 따라주더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이렇듯 중국의 다예는 공산화 기간에 사라졌다가 지금부터 불과 10여년 전부터 조금씩 복구되어가고 있는 중이다.
차를 우려내기 위한 용기이다. 불발효차(不醱酵茶)인 녹차를 마실 때에는 주로 자기(瓷器)종류를 사용하며, 발효차(醱酵茶)계열인 청차(靑茶)를 마실 때에는 자사호(紫砂壺)계통을 선호한다.
중국 복건성(福建省)의 하문(廈門), 장주(장州 ), 천주(泉州) 및 광동성(廣東省)의 조주(潮州),선두(仙頭)등 지방에서는 靑茶계열인 茶藝 즉 공부차(工夫茶)를 즐기는데, 여기에서 소위 工夫茶에 필요 하는 다방사보(茶房四寶)라는 것이 있다.
다방사보(茶房四寶)란 맹신호(孟臣壺), 약침배(若琛杯), 조선로(潮仙爐), 옥서위(玉書위)를 말한다.
▣ 다배(茶杯)
찻잔을 말한 것이며, 차를 담아 마실 때 쓰는 그릇이다. 불발효차(不醱酵茶 )인 녹차를 마실 때에는 주로 자기(瓷器)종류를 사용하며, 발효차(醱酵茶 )계열인 청차(靑茶)를 마실 때에는 자사배(紫砂杯)를 사용한다. 자사배(紫砂杯) 찻잔의 안쪽은 백유(白釉)를 칠한 것이 좋다.
다방사보(茶房四寶)중 약침배( 若琛杯 )이란 工夫茶 다예 행할 때 다배(茶杯)를 가리키는 말이다.
▣ 다충(茶충), 다해(茶海)
다호에서 우러나온 찻물을 골고루 혼합하기 위해 따로 마련된 다구이며, 여과망(濾過網)이 부착되어 있다.
▣ 다탁(茶托)
찻잔 받침이며 은(銀), 동(銅), 철(鐵), 자기(瓷器), 자사(紫砂), 나무 등 종류가 있다.
▣ 문향배(聞香杯)
감정배(鑑定杯)라 불려지기도 한다. 향기가 가득한 발효차(醱酵茶)계열인 청차(靑茶)를 마실 때 1차적으로 차향을 맡기 위해 만들어진 찻잔이며, 주로 다배(茶杯)와 짝을 이루어 함께 사용한다.
▣ 다지(茶池), 다선(茶船)
접시 및 그릇 등 2종류 형태가 있다. 주로 발효차(醱酵茶)계열인 청차(靑茶)를 마실 때 다호(茶壺), 다배(茶杯)를 예열(預熱)하기 위해 사용했던 물들을 담기 위한 용기이다.
한가지 혼돈하지 말아야 할 것은 근래 중국에서 靑茶계열인 공부차(工夫茶) 茶藝 행할 때 찻잎의 대소(大小)를 분리하기 위해 배 모양의 다구(茶具)를 사용하는데 이를 다선(茶船)이라고도 부른다.
▣ 다우(茶盂), 수우(水盂)
다예(茶藝)과정에 나오는 불필요한 물들을 담기 위한 용기이다.
▣ 다하(茶荷)
2종류가 필요하다. 하나는 차를 마시기 전에 필요한 것이 있으며 이는 건조된 찻잎의 형태 및 향기를 감상하기 위함이고, 또 하나는 차를 다 마시고 난 후, 다예의 마지막 코스인 우려낸 젖은 찻잎을 감상하기 위한 다구이다.
▣ 다불(茶拂)
다하(茶荷)를 청소하기 위한 기구이다.
▣ 다시, 차시(茶匙)
차를 떠서 다호(茶壺)에 넣는 용도의 찻숟가락이다.
▣ 사시(渣匙)
차를 나누기에도 사용하며 끝 쪽은 차의 찌꺼기를 청소하기 위한 기구이다.
▣ 다건(茶巾)
다예(茶藝)를 행할 때 사용하는 수건이다.
▣ 다건반(茶巾盤)
다하(茶荷), 다시(茶匙), 사시(渣匙), 다불(茶拂), 차건(茶巾), 다점(茶점) 등을 진열하기 위함 기구이다.
▣ 봉다반(奉茶盤)
다배(茶杯)를 놓는 다반이다.
▣ 다관(茶罐)
차를 담고 보관하는 용기이다. 중국 옛날 한때 다호(茶壺)를 다관(茶罐)을 칭할 때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아두자.
개치, 다건, 다점 들을 제위치에 놓는다. 영어 U자 형태 순서대로 봉다반에 있는 다배를 다반위에 왼쪽부터 놓는다. 다지(茶池) 위에는 다호를 놓고, 그 옆에는 다해를 놓는다.
● 제3순서- 맹신임림(孟臣淋霖)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다호의 온도를 높인다. 이것을 가리켜 통상적으로 온호(溫壺) 또는 열관(熱罐)이라고 한다. 이때 열탕기로 다호에 향해 물을 따를 때 봉황삼점두(鳳凰三點頭)방식을 이용한다.
봉황삼점두(鳳凰三點頭)이란 봉황새가 머리로 3 번 절을 한다는 뜻으로 팽주가 다객에게 환영을 표시하는 의미로 물을 부을 때 3번 정도 살짝 물의 높낮이를 절하듯이 조절한다.
● 제4순서- 엽가수빈(葉嘉酬賓)
온호하는 사이에 다하를 제위치에 놓는다. 마셔야 할 차를 찻상위 또는 상황을 따라 무릎 위에 놓는다. 다관의 뚜껑을 열고 관점위에 놓는다. 차시를 사용하여 차를 다하에 담는다.
이때 찻잎이 조형(條形)일 경우 차시과 사시를 함께 사용한다. 차시를 다건에 살짝 닦은 후 제자리에 놓는다. 다하에 담는 차를 팽주가 먼저 식차(識茶)를 한다. 팽주가 식차한 후 다객(茶客)에게 상차(賞茶)를 권한다. 다객들이 상차를 한 후 다하를 팽주에게 돌려준다.
● 제 5순서- 감천온해(甘泉溫海)
다호에 있는 열수를 다해로 옮겨 다해의 열을 높인다. 이것을 가리켜 온해(溫海)라고 한다.
● 제6순서- 오룡입궁(烏龍入宮)--관음입궁 (觀音入宮)
차시를 이용하여 다하에 준비했던 차를 다호에 담는다. 차시를 다건에 살짝 닦은 후 제자리에 놓는다.
● 제 7순서- 미인세진(美人洗塵)
물을 높은 곳에서 다호로 향해 가득 차게 담은 후 그 차탕을 마시지 않고 곧 바로 다우에 비운다.
이것을 가리켜 통상적으로 세차(洗茶) 혹은 개차(開茶)라고들 한다.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물을 따를 때 열탕기를 팽주 안쪽 방향으로 돌리면서 따른다. 이때 안쪽방향으로 돌린다는 것은 환영한다는 의미이다.
● 제8순서-약침출곡(若琛出谷)
다해에 있는 열수를 다배로 옮겨 다배의 온도를 높인다. 이것을 가리켜 온배(溫杯)라고 한다. 다해에 남은 물은 다우에 비운다.
● 제9순서- 현호고충(懸壺高沖)
본격적으로 차를 우린다. 중국에서 차를 우린다는 용어는 절차(절茶)라고 한다. 고충 방식을 이용하여 즉 물을 높은 곳에서 다호로 향해 넘지 않도록 가득 차게 담는다.
● 제10순서-춘풍불면(春風拂面)
이때 차탕위로 우러난 거품을 다호 뚜껑을 이용하여 밖으로 걷어 낸다. 이것을 가리켜 개말(蓋沫)이라고도 한다. 개말을 한 후 다호의 뚜껑을 닿는다.
● 제11순서- 중세선안(重洗仙顔)
탕수기의 열수를 이용하여 다호의 뚜껑을 향해 부린다. 이는 다시 다호를 예열하기 위함이다. 첫 번째 포차(泡茶-차우리기)는 1분 동안 차를 우린다.
● 제12순서-관공순성(關公巡城)....한신점병(韓信點兵)
포차(차우리기)하는 1분 동안 이용하여 다배에 있는 온수를 다우에 비운다. 우려낸 차탕을 오른쪽 다배으로 부터 따르는데 이때 찻물은 다배의 약 80정도 따른다. 따르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저작(低酌)방식을 따르는데 즉 다해를 낮게 다배로 향해 따른다. 이것이 가리켜 소위 고충저작(高沖低酌)이라고 한다. 즉 다호로 향한 물은 높게 부어야 하며, 다배로 향한 물은 낮게 부어야 한다는 말이다.
첫번째 다배에는 차탕을 약 20%정도 따르며, 두 번째 다배에는 40%정도 따르며, 세 번째 다배에는 60%정도 따르며, 네 번째 다배에는 80%전체를 따른 후 다시 세 번째 다배 향해20%, 두 번째 다배40%, 첫 번째 다배 60%을 채워운다.
이것을 가리켜 관공순성 또는 관공포성(關公포城)이라고 한다. 따른 차탕을 마지막 물방울들을 다배에 골고루 분배하는 것을 가리켜 한신점병(韓信點兵)이라고 한다.
● 제13순서 - 감상탕색(鑒賞湯色)
다객( 茶客 )들은 먼저 차의 탕색( 湯色 )을 감상한다.
● 제14순서 - 희문유향(喜聞幽香)
이어 다객( 茶客 )들은 차의 향을 감상한다.
● 제15순서 - 초품기명(初品奇茗)
다객(茶客)들은 차를 음미한 후 나름대로 차에 대해 예찬을 한다.
● 제16번 순서 - 재짐란지(再斟蘭芷), 삼짐감로(三斟甘露)
두 번째 차를 우리는 시간은 1분15초, 세 번째 차를 우리는 시간은 1분 40초, 네 번째 차를 우리는 시간은 2분 15초이다. 다섯 번째 우리는 시간은 3분이다. 이때 모든 과정은 필히 개말( 蓋沫 ) 및 임정(淋頂) 해야 하며 고충저작 방식을 택한다.
● 제17번순서-노산진면( 盧山眞面 )
차를 다 마신 후 다시 한 번 다객들에게 상차하는데 이때 감상해야 할 차는 젖은 찻잎이므로 접시 모양의 다하를 사용한다. 사시를 사용하여 다호에 있는 찻잎을 다하에 골고루 퍼지게 펼친 후 찻잎이 뜨일 정도로 약간의 물을 붓는다. 다객에게 상차를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