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하늘지기(Fimbristylis miliacea (L.) Vahl)
잎은 실같이 가늘고 좌우 2줄로 배열하며 폭 0.3mm정도이다. 엽초는 길이 1-2cm이다.수과는 도란형이며 흰빛이 돌고 길이 0.6mm로서 둔한 삼각형이며 표면에 돌기가 있다. 꽃은 8-10월에 피고 화서에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가지끝이나 포액에 소수가 달린다. 포은 2-4개로서 침형이고 짧다. 소수는 난상 원형이며 길이 2.5-4mm, 지름 1.5-2mm로서 원두 또는 둔두이고 적갈색이다. 인편은 난형이며 나선상으로 배열하고 길이 1mm이며 끝이 둔하고 뒷면이 튀어나온다. 암술대는 길이 1.5mm로서 가늘고 털이 없으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
[해열 해독 이뇨 부종에 효험]
▶ 해열, 이뇨, 해독, 부종, 서열소뇨, 붉은색의 소변, 위장염, 노상으로 인한 소퇴의 부종과 동통을 다스리는 바람하늘지기
바람하늘지기(Fimbristylis millacea (L.) Vahl.)는 사초과(방동사니과) 하늘지기속에 속하는 1년생 풀이다.
하늘지기속은 전세계에 약 200종이 있으며 온대와 열대에 나며 우리나라에는 약 9종이 분포하고 있다.
하늘지기속에는 애기하늘지기, 들하늘지기, 하늘지기, 남하늘지기, 갯하늘지기, 큰하늘지기, 바람하늘지기, 민하늘지기(논뚝하늘지기), 밭하늘지기, 꼴하늘지기(골하늘지기)가 우리나라에 자라고 있다.
주로 논밭이나 강가에 자라며 키는 15~20cm이다. 줄기는 납작하고 밀생하며 밑동에 엽초가 있다. 잎은 2줄로 마주나며 실 모양이다. 앞뒤가 납작하고 연하며 너비는 1.5~2.5cm이다. 엽초는 용골판이 있고, 자녹색 및 갈색이다. 작은 이삭은 난상 원형이다. 길이는 2~4mm이고 너비는 1~2mm이다. 흑갈색이고 포는 2~4개이며 짧다. 비늘조각은 난형에 길이 2mm가량이다. 투명하고 암술머리는 3갈래이이고 열매는 수과이다. 둔하게 세모진 난형이며 길이 0.5mm 가량이다. 흰색에 광택이나며 그물무늬가 있다. 개화기는 8~10월이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 일본, 타이완, 중국, 인도, 말레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자란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baromi-/8xJ0/3096?docid=1GjGA|8xJ0|3096|20090910231518]
바람하늘지기에 대해 중국에서 펴낸 <중약대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일조표불초[日照飄拂草: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이명: 선추초(先帚草), 아초(鵝草)
기원: 방동사니과 식물 일조표불초(日照飄拂草)의 전초이다.
원식물: 일조표불초[日照飄拂草: Fimbristylis millacea (L.) Vahl.]
일년생 초본 식물로 뿌리 형태의 줄기는 없다. 줄기는 뭉쳐나는데 높이는 10~60cm이고 편평한 사각기둥 모양이며 세로홈이 있다. 기부는 잎이 없는 1~3개의 잎집에 싸여 있다. 잎은 줄기보다 길거나 짧으며 측면이 편평하고 검 모양이며 선단은 뻣뻣한 털 모양이다. 잎집은 편평하고 배면(背面)은 용골판(龍骨瓣)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막질이고 녹색이며 잎집은 비스듬히 벌어지고 엽설(葉舌)은 없다. 꽃떡잎은 2~4개이고 뻣뻣한 털 모양이며 기부는 약간 넓다. 취산 화서는 복출(複出)이거나 여러번 복출한다. 복사지(輻射枝)는 3~6개이다. 소수(小穗)는 복사지의 정단에 단일하게 나며 구형으로 되었다. 비늘은 막질이고 달걀 모양이고 짙은 갈색이거나 밤색의 좁은 가장자리가 있으며 배면에는 용골판 모양의 돌기가 있고 세 갈래의 맥이 있다. 수술은 두 개이고 암술대는 삼각 기둥 모양이고 기부는 조금 팽대되었다. 암술머리는 3개이다. 작은 견과(堅果)는 거꿀달걀꼴로 밀짚과 같은 황색이며 혹 같은 돌기와 둥근 그물 모양 무늬가 있다.
습한지대나 논에서 자란다.
중국 동북(東北), 서북(西北) 지역 외에는 모두 분포되어 있다.
채취: 여름, 가을에 전초를 거두어 햇볕에 말린다.
성미: 맛은 달고 담담하며 성질은 차다.
약의 효능과 주된 치료: 열을 내리고 이뇨하며 해독하고 부기를 가라앉힌다. 서열소뇨(暑熱少尿), 요적(尿赤), 위장염, 노상(勞傷)으로 인한 소퇴의 부종과 동통을 치료한다.
사용 방법과 용량: 내복: 신선한 것을 1~2냥 물로 달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붙인다.
처방예: 노상(勞傷)으로 인한 소퇴(小腿: 하지의 무릎아래에서 복사뼈까지의 부위)의 부종과 동통
일조표불초(日照飄拂草), 장수피(樟樹皮: 녹나무껍질), 도수(桃樹: 복숭아나무)의 여린 가지, 주조(酒糟: 술지게미)를 짓찧어 붙인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dkclatkfkd/H2We/53?docid=lWal|H2We|53|20080914164743]
그렇다. 바람하늘지기는 논밭이나 강가에서 자생하는 습지식물 가운데 하나이다.
늪이나 습지에서 자생하는 생물의 종류는 엄청 광범위하기 때문에 생태계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늪이나 습지를 보존하기 위해서 환경전문가들이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일례로 경남 창녕군의 우포늪은 약 1억 4000만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창녕군 유어, 이방, 대합, 대지면 등 231만㎡에 걸쳐 있고, 둘레는 7.5㎞에 전체 면적은 70만여 평, 가로 2.5㎞, 세로 1.6㎞이다. 대한민국 최대의 내륙 습지로 꼽히는 이곳에는 환경부가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는 가시연꽃 등 340여 종의 식물과 62종의 조류, 28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다고 한다.
우포늪의 서식 생물을 보면 식물류에는 가시연꽃, 생이가래, 부들, 줄, 갈대, 골풀 등 480 여종이 분포되어 있고, 조류에는 논병아리, 쇠백로, 중대백로, 왜가리, 큰고니, 청둥오리 등 62종, 어류에는 뱀장어, 피라미, 잉어, 붕어, 메기, 가물치 등 28종, 수서곤충류에는 연못하루살이, 왕잠자리, 장구애비, 소금쟁이 등 55종, 포유류에는 두더지, 족제비, 너구리 등 12종, 파충류에는 남생이, 자라, 줄장지뱀, 유혈목이 등 7종, 양서류에는 무당개구리, 두꺼비, 청개구리, 참개구리, 황소개구리 등 5종, 패류에는 논우렁이, 물달팽이, 말조개 등 5종이 서식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 조일리 정족산에 있는 국내 최고(最古)의 산지습지 가운데 하나인 무제치늪이 있다. 1998년 환경부로부터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 2007년 12월 람사르습지로 지정, 등록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의 대암산에 있는 용늪은 4000여년 전에 형성된 고층습원으로 순수습원식물 등이 서식하는 자연생태계의 보고이다. 1997년 국내에서는 최초로 국제습지조약(람사조약)의 습지보호지역으로 등록되었다. 그 외에도 태안 두웅습지, 강원도의 질뫼늪과 소황병산늪, 조개동늪 등이 있다. 이러한 습지를 잘 보존하여 자손대대로 물려줌으로써 사람은 자연과 더불어 영원히 함께 할 수 있을 것이다.
(글/ 약초연구가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mynamdo/18296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