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의 옛 추억 <1920~1930년대) 1937년10월 어느날, 삼척 사직리에서 첫돌 맞이 아이를 위한 기념사진 <어머니가 안고 있는 잘생긴 애기가 Jong Y. Lee> 1890년대. 개화기의 강원도의 학교 교육 상투를 튼 학생이 많이 보인다. 1920년대. 강릉. 씨름경기 1920년대. 강릉읍 대정동 거리 1920년대. 강릉. 노점상 1920년대. 강릉. 옹기장수 옹기를 잘 묶었다. 어느 장터에서 떡매로 떡 반죽을 치는 모습 날품 파는 옛날 아낙네들이 젖(유방)을 내놓고 다녀도 흉이 아닌 시대였다. 1920년대. 강릉. 유치원 1929년 6.25 한국전쟁시 소실 되기전의 고성. 건봉사의 모습
<1940년대> 1940년 춘천. 지금의 의암댐 윗쪽에 있었던 신영강 다리 1940년 춘천 소양1교 부근의 소양강 땟목과 학생들 1940년. 일제 강점기시.원주 감영의 포정루-일본군인이 정문을 지키고 있다. 1940년. 일제 강점시 산림철도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마구잡이로 벌채한 강원도 소나무 1940년. 양양의 철광석이 일본군 무기를 만들려고 배로 반출되는 속초 대포항 1940년. 삼척 원덕 풍곡에서 호산항 까지 산림 철도를 이용하여 실려가는 소나무 1940년. 일제 강점시 강릉의 노천 서당 1945년. 강릉 주문진항 전경 1945년. 양양에 설치된 38선 푯말
<1950년대> 1950년9월. 6.25 한국전쟁시 국군 제3사단이 양양 38선 돌파 기념 1950년. 6.25 한국전쟁시 폭파되는 화천댐 1950년11월. 6.26 한국전쟁시 폐허가 된 춘천 죽림동 성당 주위 1951년. 6.25 한국전쟁 직후 춘천 서면 사람들이 나룻배를 타고 춘천으로 건너가는 모습 1950년 6.26 전쟁 직전 지금의 세종호텔 자리의 한옥 건물 1951년10월. 6.25 한국전쟁시 전투가 한창이던 철원 백마고지의 모습 1951년. 6.25 한국전쟁시 38선 이북을 수복한 직후 1군단장이 양양에서 구호미 배포 1952년. 노천 이발소 풍경 1952년. 빠빠머리 학생들이 그당시 쉽게 구할수 있었던 군용 도시락 그릇(항고)으로 점심 1955년. 강릉. 어구를 이고 가는 아낙네들 1956년. 삼척. 북평 북삼화학공장.-카바이트, 생석회, 석회질소를 생산하였다. 1956년 당시의 삼척시멘트공장 1957년. 삼척 정라진 삼척항 부근에 있다가 지금은 없어진 삼척화력발전소의 옛 모습 1957년. 영월 화력발전소의 옛 모습 1958년. 고성 간성시기지의 모습. 시가지 가운데 "북진통일(北進統一)"이란 이승만 대통령의 친필 돌탑이 서있다. 1958년. 춘천. 옛 명동거리 모습 1957년. 춘천 요선동 거리의 옛모습
<1960년대> 1960년대. 제방 뚝에서 봄나물 캐는 아낙네들 1966년. 춘천. 미스강원 선발대회 1966년도. 속초 대포항과 속초 시내 진입도로의 옛 모습 1967년도의 영월군청과 도로에 자갈 부설작업을 하는 광경 1967년. 철원 토교저수지의 통수식 행사 광경 1968년. 박정희 대통령이 북평 쌍용 양회공장 방문시. 거리의 환영 아취 1968년. 고성지구에 68해일이 강타한 토성면 아야진항 포구의 처참한 모습
<1970년대> 1970년대의 옛 춘천역 1970년대의 옛 남춘천역 1970년대의 옛 강촌역 1970년. 춘천 제5회 개나리호수제의 호수여왕 선발대회시 당선자들의 카퍼레이드 1970년대. 횡성극장 1970년대. 지금의 동해시. 옛 묵호 발한동의 어느 골목-오징어 말리는 것이 보인다. 1970년대. 고성. 거진 해변가의 명태덕장 1971년. 춘천. 국회의원 선거 벽보 1971년. 춘천시 중앙로 광장에서 강원도청으로 오르는 거리의 야경 1971년3월. 서울~강릉간 중 원주 까지의 영동고속도로 공사의 기공식 광경 1973년. 서울~원주간 고속도로 개통식 행사시 참석자들을 운송한 버스 1973년. 고성. 진부령 정상의 당시 모습 1972년. 횡성 안흥국교의 가을 운동회 1972년4월. 새마을운동이 한창일때 주민들이 마을길 넓이기 작업에 참여하는 모습. 1972년. 춘천시가지에 10월유신 결단 환영 프랑카드가 일색이다. 1972년. 소양강댐 하류에서 다슬기와 고기를 잡고 있는 주민들. 1973년. 원주 지하상가 공사 광경 1973년. 농촌지역 무료이동 진료차 1975년. 춘천. 쥐 잡기운동 독려 시가지 행진과 선전 차량 1975년6월. 한해대책으로 관정에서 양수기로 물을 퍼올리고 있는 광경 1975년6월. 한해시 온국민이 총동원되여 물푸기 작업을 하고 있는 광경 1976년. 춘천. 가족계획을 위한 중앙로 시가지 행진-"둘 만 낳아 잘 기르자"의 구호 1976년. 고성군청의 옛 모습 1976년. 고성. 간성읍 시가지의 모습 1976년. 도청을 견학온 학생들 1977년. 어느 농촌의 주택개량 하기 전의 초가집 모습 1977년. 동해(옛 삼척). 북평역사의 모습 1977년. 영월 단종제 행사 광경 1978년10월. 설악산 대청봉의 옛 모습 1979년10월26일. 박정희대통령의 서거후 양양군청에 설치되었던 조문객을 위한 분향소
<1980년대> 1980년.강릉 해수욕장 1973년에 건설하여 1985년에 철거한 국내 최초의 헌수교인 춘천 강촌의 등선교(출렁다리) 1980년. 인제. 시가지 조기청소 1980년. 동해. 북괴규탄 동해시민 궐기대회장 광경 1980년6월. 제9회 전국 소년체육대회 개막식 광경 1981년. 고성. 거진항 명태풍어 광경 겨울이면 장관을 이루던 평창 횡계의 명태덕장-지금은 도시화되여 볼수 없다. 동해안의 명물인 오징어 건조 광경-요즘은 어획량이 많지 않아 보기 힘들다. 1983년. 춘천. 세계청소년축구 4강 달성 환영 행사-박종환 감독. 이주일 코미디언의 모습 1984년. 동해. 제ㅣ회 무릉제 광경 1985년10월. 제66회 전국체육대회 개막식 광경 춘천시내 중고등학생들의 마스개임과 카드셋션이 돋보인다. 1985년10월. 66회 전국체육대회 자전거경기장의 모습 1988년12월. 1단계 평화의 댐 완공 현제는 이보다 45m더 높여 2단계 댐을 2006년6월에 완공하였다.
<현대> 1991년8월. 고성군 토성면 신평들에서 개최한 "91세계잼버리대회"의 광경 세계잼버리대회에 참가한 각국의 청소년들이 국경을 초월한 우정을 나누는 모습 현제도 해마다 열리고 있는 "강릉 단오제" 강릉 단오제의 관노 가면극 강릉 율곡제 춘천 소양제의 옛 땟목 재연 속초 설악제의 폭죽놀이 삼척 죽서제 영월 단종제 정선 아리랑제 1999년9월11일~10월30일 까지 개최한 속초의 "99강원국제관광액스포" 대회장 2001년12월. 1989년10월에 착공한 중앙고속도로 개통식 광경 2002년11월. 대관령 풍력발전단지 기공식 광경 2009년7월. 춘천~서울간 고속도로 개통식 광경 2010년12월. 경춘선 복선전철 개통식 광경 2011년7월6일 남아프카공화국 더반에서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가 결정되었다. IOC총회에서 자크 로게위원장이 평창을 발표하는 순간 얼사안고 기뻐하는 이명박대통령 강원도내 곳곳에 모여 발표를 기다리던 도민들이 발표 순간 환호하는 모습 평창 알펜시아 스키 활강장에서 정치권도 여야 없이 한마음으로 환호하고 있다.
<옛 행정사무용 기구와 도구> 1960년대에 사용한 주판 1960년대 이후 사용한 수동식 계산기, 전자식 계산기, 소형 3선 주판 1970년대. 수동식 계산기 1960년대의 등사판 1970년대의 등시기와 가리방(철필판) 1970년대의 등시기 1960년대 이후 사용한 영시기와 환등기 1960년대 이후 마을 주민 대상 반공 영화 상영용 영사기 1950년대의 수동식 전화기 1960년대. 군용전화기. 다이얼전화기. 수동식전화기 1960년대 이후의 전화기. 카메라. 당직 순찰용 시계 1970년대 사용. 당직 순찰시계와 사진기 1970년대 이후 사용한 수표발급기와 철압인 도장 수표발급기. 압인기 1950년대 이후 사용한 공병우식 타자기 1960년 이후 사용한 타자기 1970년대 이후 사용한 4벌식 수동 타자기 1980년대 이후 사용한 전동 타자기
<강원도청의 변천> 1938년. 일제 강점기시의 강원도청과 조양루 1940년대~1950년 6.25 한국전쟁 직전 까지의 강원도청 1951년. 6.25 한국전쟁으로 원주 감영(선화당)으로 이전한 피난 강원도청 1957년10월. 새로 신축한 강원도청 2008년의 강원도청 현제의 강원도청
<춘천 시가지의 변화> 1944년. 해방전 춘천시내 1951년. 6.25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된 춘천 1960년. 춘천시가지 2007년. 춘천시가지 현제의 춘천시가지
Jong Y. Lee |
첫댓글 야 !!! 대단한 자료네요. 그 중요한 곳곳에 이종영회장님 모습도 보이고요.
일생의 좋은 기록물을 남기시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