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사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이다. 606년(백제 무왕 7) 신라의 승려 혜공(惠空)이 창건하여 상주사(上住寺)라 하였다고 하나 당시 이 지역은 백제 영토였으므로 확실하지는 않다. 1362년(고려 공민왕 11) 혜근(惠勤)이 중창하며 현재 이름으로 바꿨으며 고려말 공민왕이 이 절을 찾아 국가의 안녕을 기원했다고 전한다. 1641년(조선 인조 19) 취계(鷲溪)가 중수하고, 1762년(영조 38)에는 학봉(鶴峯)이 중수하였다. 오늘날에는 특히 나한 기도 도량으로 유명한데 그 유래가 전한다.
1834년(순조 34) 임피현(臨陂縣) 수령 민치록(閔致祿)이 꿈을 꾸기를 하얀 갓을 쓴 세 사람이 나타나 자신들을 높은 곳으로 안내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민치록은 세 번이나 같은 꿈을 꾸자 관리들에게 현에 특별한 일이 있으면 보고하라고 하였다. 며칠 뒤 서포(西浦)에 십육나한을 실은 배가 한 척 닿았다는 보고를 받았다. 이에 민치록은 십육나한을 높은 곳에 있는 이 절에 모셨고 이후 십육나한은 많은 영험을 보였다고 한다.

군산 상주사 일주문

상주사 입구 목장승

상주사 중건비

상주사 입구

상주사 관음전
앞면 3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서 이곳은 본래 요사가 있었던 자리다. 1996년에 요사를 헐어버리고 그 자리에 관음전을 새로 지었으며, 관음전 옆에는 옛 요사의 일부가 남아 있다.

상주사 역사상부조석주
지대석과 옥개석을 갖추고 주신부 세면에 역사상을 돋음새김한 특이한 형식의 석주로 뒷면에는 3행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지대성은 방형으로 주신부를 받치는 2단의 괴임이 조출되어 있다. 주신부 세면에 새겨진 역사상은 윗면을 두 손으로 받들고 있는 자세로, 특히 정면의 역사상은 나신에 배가 볼록하고 하체가 땅딸막한 형태이며 하단에는 연화문이 새겨져 있다. 정면 역사상의 왼쪽 모서리에는 특이한 모습의 동물 조각이 되어있다. 좌우 측면의 역사상은 양손을 들어 윗면을 받치는 자세는 정면과 같지만 하체 표면이 불분명하여 자세를 확인하기 어렵다. 몸에는 옷을 착용한 듯 몸 중앙에 좌우대칭적인 옷자락이 선각되어 있다. 얼굴에는 매부리코와 부릅뜬 듯한 눈매가 어느 정도 남아 있다. 하단에 각각 연꽃이 조각되었는데, 향좌측면의 조각이 더 선명하고 상세하다. 옥개석은 일부가 깨어졌지만 그 형태로 보아 원래는 팔각형으로 추정되는데, 하부는 곡면을 이루고 윗면은 2단의 턱이 져 있다. 아마도 이 옥개석 위에 무언가를 안치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까지 그 유례가 없는 특이한 형식이어서 이 석주의 정확한 용도는 알 수 없다. 상주사의 절의 명칭과도 어떤 연관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뒷면에 선각된 3행, 13자의 명문은 다음과 같다.(자경 약 4.0㎝)
申巳年四
月二十五日
化士德仁

상주사 대웅전
시도유형문화재 제37호
석가모니를 모신 대웅전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내부는 우물천장과 빗천장으로 되어 있으며, 단청을 하여 전체적으로 매우 화려하게 장식한 조선 중기의 건물이다.

상주사 대웅전 삼존불

대웅전내에 자리한 지장보살상

대웅전 동종

대웅전 벽화 십우도

상주사 범종각

상주사 관음전에 모셔논 육 관세음보살상

상주사 나한전
나한전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서 내부에는 중앙에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미륵보살과 제화갈라보살을 배치했으며, 그 좌우에 각각 8나한상과 직부사자상을 봉안하고 있다. 본존 뒤의 후불탱이 1916년에 조성된 영산회상탱이 걸려 있다.
나한전은 예부터 영험이 많기로 소문나 있었으며, 여기에 모셔진 16나한상은 그에 얽힌 일화도 간직하고 있다. 1834년에 상주사 주지와 임피 현감 민치록의 꿈에 갓을 쓰고 흰 옷을 입은 세 사람이 세 차례나 계속하여 나타나, '지금 나포 앞바다에 떠 있는 배에 존상이 있으니 그 존상을 가져다가 높은 절에 모시면 나라가 태평해질 것'이라고 하였다. 알아보니 과연 나포 앞바다에 주인 없는 빈 배가 있고 그 안에 꿈에서 들은 바와 같은 존상이 있어서 이를 모셔와 봉안한 것이 바로 나한전의 나한상이라고 한다.

나한전에 모셔놓은 16나한상

상주사 삼성각

상주사 수조
상주사 찾아가는 길
서해안고속도로 군산 톨케이트로 나와 톨케이트 삼거리에서 706번지 지방도 나포,강경 방면으로 우회전하여 서해안 고속도로 지하차도를 통과 한후 서왕 삼거리에서 직진하여 800m 주행하면 신성 삼거리에 도착 744번 지방도 대야 방면으로 우회전하여 2.8km 주행하면 대명 삼거리에 도착하게 된다. 삼거리에서 임피,나포 방면으로 좌회전하여 1km가면 부곡 사거리에 도착임피,성수 방면으로 우회전하여 2km 정도 주행하면 좌측으로 상주사 이정표가 되어있다.
이정표 방향으로 1.3km 주행하면 일주문을 지나 상주사에 도착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