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의 증상
디스크의 초기에는 직경이 정상보다 부풀게 되면서 후방 척수쪽으로 팽윤 되어 나온다. 이것은 수핵이 어느 정도 약해진 윤상 인대를 밀거나 그사이 균열을 통해 나오는 것인데 이 경우 모두 심한 요통을 느끼게 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크성 통증은 그 감각 경로에 교감신경이 관여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마치 배탈 시 배가 둔하게 아픈 것처럼 아픈 것이 특징이며 개인마다 차이가 있어 요통을 크게 호소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다리의 방사통이 디스크의 전형적인 증세로서 이것은 돌출된 디스크가 직접적으로 신경근을 자극하여 발생되는 것이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들은 허리 통증만을 호소하는 경우와 요통과 다리의 방사통을 동시에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다리의 방사통은 압박된 신경근의 자극에 의하여 그 신경근이 지배하는 다리의 피부감각영역에 대퇴신경이나 좌골신경을 통하여 통증이 전달되는 것을 말하며 그 통증의 특징은 다리의 국한된 부위에 예리하고 땡기는 듯한 증상을 보이며, 특히 무릎을 편 상태에서 들어올리는 직거상 검사 시 다리에 땡기는 듯한 통증과 함께 다리를 더 올릴 수 없이 심한 통증이 유발된다. 디스크 돌출 상태가 아직 신경근을 압박하지 않았다 해도 허리 통증외에 다리 통증을 연관통으로 느낄수 있다. 연관통은 척추의 구조물 중 섬유륜 인대나 관절낭 골막 등을 자극에 의해 엉덩이나 다리의 무릎 상부에 통증이 나타나는 것으로써 통증의 특징은 둔하고 경계가 불명확하며 허벅지나 엉덩이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흔하다.
이 통증은 같은 사람이라도 시간에 따라 통증부위가 다르게 나타나고, 이 때문에 요통 환자들이 흔히 통증이 돌아다닌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요추 디스크의 부위에 따른 증세도 차이가 있는데 흔히 많이 생기는 하부 요추의 디스크 경우 다리 뒤와 바깥쪽이 아픈 좌골 신경통으로 나타나며 상부 디스크의 경우에는 주로 넙적다리 앞으로 통증이 오는 넙다리 신경통의 양상으로도 올 수 있다. 디스크는 그 구조상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한쪽 다리에만 통증이 오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디스크의 탈출이 중신에서 일어나면 양쪽 다리가 동시에 불편하거나 혹은 번갈아 가면서 아플 수 있다. 이 경우 마미(말꼬리)신경(다발)을 모두 누르게 되어 엉덩이 감각이 없어지고 대소변의 장애가 생기면서 하반신의 마비가 올 수 있다.
허리디스크의 진단
전체적인 뼈 구조와 요추 불안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일반 X-선 촬영이 가장 기본적인 검사이지만, 신경의 압박여부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서는 MRI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퇴행성 변화에 따른 신경관이나 신경공협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CT검사가 추가적으로 필요합니다
이런 검사들로도 확진이 힘들 경우에는 신경을 싸고있는 막 안에 약물을 투입한 후 일반 X-선 촬영과 CT검사를 시행하는 신경조영술이 필요합니다. 신경자체의 병이나 손상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신경 생리검사인 근전도검사와 유발전위검사가 필요하며, 염증이나 전신성질환 여부를 밝히기 위한 피검사도 필요합니다. 자율신경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적외선조영술이 시행됩니다.
일반X-선 검사
심한 퇴행성변화를 동반한 경우에는 척추뼈가 어긋나고, 주저앉고, 가장자리에서 가시뼈가 자라나오는 등의 이상 소견을 보이지만, 특히 젊은층의 연성디스크 파열인 경우에는 정상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뼈 조직만 확인 할 수 있는 뼈검사 이므로, 전체적인 척추의 구조를 파악 할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디스크나 신경조직은 확인되지 않으므로 병을 확진할 수 있는 검사는 아닙니다.
 |
정면 |
앞으로 굽힐때 |
뒤로젖힐때 |
측면 |
[그림1] 일반 X-선 검사상 정상소견을 보이나 연성디스크 파열로 확인된 환자의 사진입니다. | 자가진단법
천정을 보고 누워 무릎을 편채 한쪽 다리를 들어보면 엉치에서 무릎이나 장단지, 발등 쪽으로 뻗치는 통증 때문에, 한쪽다리를 들어 올릴수 있는 각도가 반대쪽 보다 현저히 차이가 나는 경우는 허리디스크병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