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명(별명) |
작두콩, (협검두(挾劍豆)) |
학,과명 |
Canavalia gladiata, 콩과 |
생 약 명 |
도두(刀豆) |
설 명 |
♣ 콩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잎은 잎자루가 길고 3개의 작은잎으로 된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cm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꽃은 연한 홍자색 또는 흰색이고,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줄기가 자라서 총상으로 달린다. 꼬투리 끝이 굽어 있거나 갈고리 모양을 하고 있고 길이 20∼30cm, 나비 5cm 내외이며 10개 내외의 콩이 들어 있다. 콩은 3cm 정도이고 한쪽에 긴 좌(座)가 있으며 붉은색 또는 흰색이다. 적색종은 꼬투리를 이용하고, 백색종은 콩을 주로 이용한다. 열매가 작두같이 생겼으므로 작두콩이라고 한다.
|
분포와 생육지 |
열대 아시아 원산이며 식용으로 재배한다. |
약 효 |
소염, 건위, 항균, 항암.
|
적응증 |
♣ 치질, 치루, 축농증, 중이염, 위염, 대장염 등에 큰 효과가 있다.
♣ 소화기능이 약해서 일어나는 소화불량, 구토, 복통, 딸꾹질, 이질 등에 탁월한 효력을 보인다.
♣ 콩팥기능 항진으로 장복을 하면 정력에 도움이 되고, 소변에 힘이 있게된다.
♣ 작두콩깍지는 딸꾹질, 구토, 이질에 쓰며, 뿌리는 머리와 허리 아픈 데, 이질, 타박상에 쓴다.
♣ 항암 효과가 높다. 시험관 실험에서 작두콩 추출액이 암세포를 24시간 동안에 95퍼센트를 죽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
특기사항 |
작두콩은 축농증 치질 치조농루 중이염 종기등 화농성질병 즉 고름이 나 오는 병에 으뜸으로 꼽을만한 명약이다. 걸음도 걷기 어려울 만큼 심한 치질이 나 수십년을 앓은 축농증,중이염, 또는 잇몸에서 피와 고름이 나와 고생하던 환자가 작두콩을 먹고 깨끗하게 나은 보기가 적지 않다.
|
약용부위 |
열매. |
채취와 법제 |
가을(9~10월)에 채취한다. 서리를 맞으면 시들어 버리므로 서리가 내리기 전에 수확을 마쳐야 한다.
|
약 성 |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위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
사용법 |
종자 8 ~20g을 부스러뜨려 물 700ml에 넣고, 2 ~3시간 달여서 식후 1시간에 복하먹거나, 거뭇거뭇하게 볶아서 가루 내어 먹는다.
|
대증요법 |
♣ 치조농루, 구내염에 특효가 있다. 작두콩은 이 뿌리에서 고름이 나와서 칫솔질하기가 어렵고 입 안에서 냄새가 나는 증세에 효과가 좋다. 작두콩 차를 마시되 마시기 전에 입 속에서 입가심을 한 뒤에 삼키도록 한다. 심한 치조농루도 대개 10일 이내에 완치된다.
♣ 작두콩은 신장이 허약해서 생기는 허리아픔, 음위, 유정, 정력감퇴 등에 효과가 높다. 콩팥이 허약해서 생긴 요통에는 돼지콩팥에 작두콩을 넣고 푹 고아서 복용하면 요통도 낫고 정력도 강해진다. 돼지콩팥과 작두콩은 다같이 신장기능을 강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임신으로 인한 요통에도 작두콩을 넣어 달인 돼지콩팥을 먹으면 효과가 좋다.
♣ 작두콩을 오래 복용하면 살결이 고와지고 기미가 없어지며 몸속 지방질이 분해되어 빠져 나오므로 비만증이 낫는다. 오래되고 잘 낫지않는 변비에 효과가 크다. 변비가 없어지면서 변비로 인한 두통, 생리통, 피부병 등이 낫고 살결이 고와진다.
|
주의사항 |
위열이 성한 사람은 신중하게 복용해야 한다.
|
기 타 |
작두콩은 콩 종류 중에서 임금이다. 크기도 제일이고 약효도 으뜸이며 맛도 여느 콩에 뒤지지 않는다. 우리 나라는 콩의 원산지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많은 종류를 재배하거나, 야생 콩 종류가 자라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약효가 뛰어난 것이 작두콩과 쥐눈이콩이다.
|
조리법 |
작두콩은 맛이 담담하여 먹기 좋다. 차로 끓이면 구수한 맛이 난다. 특히 볶아서 끓이면 맛이 더욱 좋다. 중국 남부지방에서 작두콩으로 간장 된장을 담그고 풋것을 기름에 튀기거나 볶아서 먹는다.
|
사 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