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정원일기 1책 (탈초본 18책) 인조 5년 6월 24일 기미 3/7 기사 1627년 天啓(明/熹宗)7년
李睟光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同知李睟光, 慶尙左兵使李榏, 兵曹參判崔鳴吉, 弼善韓必遠, 校理李行遠·全一維, 都事李耆, 禮曹佐郞柳景緝, 工曹佐郞李惟聖, 副修撰李省身, 刑曹佐郞黃時幹, 工曹佐郞李勸, 兵曹正郞宋時吉, 刑曹參判南以恭, 佐郞金迪, 右尹李時昉, 戶曹佐郞安獻德, 刑曹正郞全尊性, 高山縣監南銑, 義城縣令韓必厚, 長水察訪尹熻, 陽川縣監尹衡覺, 恩津縣監任俊伯, 金郊察訪李民寏, 溫陽郡守黃瀡, 槐山郡守趙亨道, 利川府使申垓, 利城縣監宋復立, 熊川縣監張遠, 固城縣監徐弼文, 谷山府使趙元弼, 定平府使朴由憲, 靈山縣監姜煒, 鎭海縣監李行, 漆原縣監李忠顯, 平安都事李之華, 盈德縣監李安眞, 副摠管金壽賢。
---------------------------------------------------------------------------------------
승정원일기 1책 (탈초본 19책) 인조 5년 10월 16일 기유 3/10 기사 1627년 天啓(明/熹宗)7년
金壽賢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以金壽賢爲都承旨, 鄭弘溟爲舍人, 李景義爲持平, 李行遠爲修撰, 鄭鳳壽爲龜城府使, 李之薰爲龍川府使, 金汝水爲黃州判官, 全尊性爲固城縣監, 安伸爲鎭海縣令。
---------------------------------------------------------------------------------------
승정원일기 5책 (탈초본 84책) 인조 21년 2월 4일 무진 2/22 기사 1643년 崇禎(明/毅宗)16년
全尊性이 하직함
○ 下直, 穩城府使全尊性。
---------------------------------------------------------------------------------------
승정원일기 5책 (탈초본 84책) 인조 21년 2월 4일 무진 12/22 기사 1643년 崇禎(明/毅宗)16년
全尊性에게 弓矢를 給送하라는 전교
○ 傳曰, 今下弓矢, 穩城府使全尊性給送。
---------------------------------------------------------------------------------------
승정원일기 5책 (탈초본 89책) 인조 22년 11월 8일 임진 3/6 기사 1644년 順治(淸/世祖)1년
全尊性이 하직함
○ 下直, 公洪水使(주1)全尊性。
---------------------------------------------------------------------------------------
승정원일기 5책 (탈초본 98책) 인조 25년 8월 11일 기묘 2/10 기사 1647년 順治(淸/世祖)4년
吏批와 兵批의 관원 현황
○ 有政。吏批, 判書趙絅式暇, 參判韓興一進, 參議趙錫胤病, 左副承旨安獻徵進。兵批, 判書李行遠都監, 參判李時昉都監, 參議丁彦璜進, 參知柳碩病, 右副承旨柳景緝進。吏批啓曰, 判書臣趙絅式暇, 參議臣趙錫胤病不來, 小臣獨政未安, 何以爲之? 敢啓。傳曰, 只出緊任。又啓曰, 會寧府使, 今當差出, 而擬望可合之人, 絶乏, 本道虞候·守令, 竝擬, 何如? 傳曰, 依啓。以柳淰爲楊州牧使, 成震丙爲注書, 吳熽爲直講, 邊麟吉爲刑曹正郞, 洪琂爲工曹佐郞, 李□爲刑曹佐郞, 朴廷龍爲軍資判官, 全尊性爲會寧府使, 孫處愼兼春秋館記事官, 李景奭爲領中樞府事, 嚴鼎耉爲副司果, 安處儉爲副司勇。
---------------------------------------------------------------------------------------
승정원일기 6책 (탈초본 118책) 효종 2년 1월 10일 무자 30/30 기사 1651년 順治(淸/世祖)8년
晝講에 韓興一 등이 입시하여 褒貶都目을 시행하는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함
○ 晝講入侍, 知事韓興一, 特進官鄭良弼, 參贊官蔡裕後, 侍讀官洪處大, 檢討官張次周, 假注書鄭晳, 記事官趙嗣基·李端相, 武臣宣傳官全尊性。上讀前受荊岐旣旅, 止蘇氏之說爲然, 音一遍。處大進講, 導岍止北境之山也, 音釋各一遍, 上受而讀之。處大曰, 九州, 各言其境山川, 而不爲明白, 故於此詳記之也。導字, 蓋流導之意也, 天下山川之勢, 皆自北而南, 自東而西, 非如後世論山之比也。上曰, 本意, 只論山川而已, 非有意於脈絡也。處大曰, 及至逾等字, 皆言禹所至也, 此導山導水者, 禹貢之妙處也。桑乾豳冀, 似皆水名, 而不可詳也。上曰, 豳冀之水, 未聞也。興一曰, 桑乾豳冀, 似是地名也。處大曰, 於此, 見禹勤勞之至也。上曰, 禹之勤勞, 與身經百戰創業之主, 何如? 次周對曰, 缺二行此爲難也。左右皆曰, 然。上曰, 北諸山根本, 自代北來云者, 專指山脈而言耶? 處大曰, 此則似指山脈也。裕後曰, 雖以我東山川言之, 山勢皆自北而南, 蓋河決之患, 歷代往往有之, 而治水之功費至大, 至於禹之治水, 不言其功勞, 是未可知也。上曰, 河水自古及今, 每有泛濫之患, 河水在於平地, 故然歟? 興一曰, 天下地勢, 東南卑下, 故水患如此也。興一進曰, 褒貶都目, 前有定限, 而連以事故, 尙未爲之, 歲後則小臣有狗馬之疾, 亦未爲之, 近日參判, 重患唇瘇, 又未果焉, 聞參判明將出仕, 褒貶欲於明日爲之矣。上曰, 事勢雖或然矣, 守令窠闕甚多, 須速爲之, 可也。興一曰, 都目, 以欲於十六日爲之耳。上曰, 前有人才薦擧之規, 須擇而用之, 毋爲休紙也, 爲可。興一曰, 臣雖藻鑑不明, 敢不盡心擇用乎。上曰, 薦擧中, 又有多被薦者, 此類先爲擇用。興一曰, 京中則果有多被薦者, 而至於外方, 各薦其邑之人, 勢不得多薦矣。上曰, 守令除拜最重, 準期等事, 宜更申明, 十考十上之類, 亦爲用之, 可也。遂罷出
---------------------------------------------------------------------------------------
승정원일기 7책 (탈초본 129책) 효종 4년 10월 24일 병술 14/26 기사 1653년 順治(淸/世祖)10년
鄭世規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鄭世規爲大司憲, 宋國澤爲禮曹參議, 權大運爲副修撰, 柳東發爲巨濟縣令, 崔惠吉爲江原監司, 李萬雄爲副修撰, 鄭基豐爲輔德, 洪處大爲兼文學, 郭瀜爲典籍, 吳挺垣爲修撰, 趙晉錫爲正言, 李會原爲端川郡守, 李浣爲判尹, 李元鎭爲刑曹參議, 尹珹爲掌樂正, 李殷相爲文學, 李正英爲副校理, 尹杭爲平康縣監, 李志賤爲寧海府使, 沈KC02474爲直講, 李䆄爲刑曹正郞, 金壽恒爲直講, 申埈爲副摠管, 閔晉亮爲五衛將, 韓相爲武兼, 閔恒爲武兼, 朴世枚爲鷹牌, 南宮忠爲僉知中樞, 李文偉爲慶尙左水使, 閔震益爲宣傳官, 元相爲都摠都事, 承文副提調金佐明, 副護軍閔應亨·鄭基豐·全尊性, 副司果李殷相。
---------------------------------------------------------------------------------------
승정원일기 7책 (탈초본 131책) 효종 5년 6월 4일 임술 13/16 기사 1654년 順治(淸/世祖)11년
李時楷 등을 敍用하고 李端相 등의 職牒을 還給하라는 전교
○ 傳, 前護軍李時楷, 別將徐碩身, 僉知盧協, 司直鄭斗卿·洪憲, 司果陳克一, 部將朴絪·尹時達·金震龜, 僉使朴思銓·李忠儒·趙鉉·全英發, 萬戶崔元立, 守直官辛塾郁, 水使李晦·李尙敬, 中軍全尊性, 哨官趙聖和·金斗興·柳時省, 宣傳官盧益堅, 司果崔栶等, 敍用。司直李端相, 部將崔造漢, 忠義金玧, 水使具義俊, 別將尹天䝴[尹天賚]等, 職牒還給。前大司憲李一相, 監司宋時吉·李後山, 府尹李時楳, 府使尹衡覺, 牧使金壽恒, 府使申濩, 縣監李忻, 府使梁有仁·朴安仁·朴希閔·李東星·李松岭, 牧使金壽恒·鄭頀, 郡守尹天䝴[尹天賚]·趙潝·李興孫·李頤基·姜說·李斗陽·金成一·朴日省·黃道亨·朴建蓍·鄭善興, 縣監具鋈·邊命益·尹世獻·南重晦·安廷煜·朴□·權以亮·朴由常·洪南立·趙休·金壂·鄭百順·羅襻·車有時·權大恒, 判書洪茂績, 察訪李惇·李尙達, 司成趙復陽, 都事李雲根·呂曾齊·安汝稷·趙嗣基·李益培, 縣令李惟源, 校理趙龜錫·沈世鼎, 修撰李萬雄, 僉正朴由寬·趙胤錫·尹誠·柳道三, 著作金夏鉉, 正字張鍵, 學正權碖, 兼引儀劉勳, 典籍郭瀜·趙裕善, 佐郞李燦潗, 博士洪聖龜, 司書李程, 正郞金善英, 掌令沈儒行, 耽溪守冕, 耽陵守KS01609[㝸], 判官盧文漢, 監察宋榑·沈□, 執義成台耉, 持平盧亨夏, 副正安□, 正字尹棐殷, 主簿李文會等, 敍用。判書尹履之, 留守吳挺一, 監司閔光勳, 司成趙復陽, 郡守成震熻·廉友爀·金時貞·李興祿·崔健勳, 主簿洪溥, 縣監李弘箕·徐□履·崔起宗·柳□炯·李翂, 輔德成夏明, 弼善李俊耉, 判官柳坦然, 縣監尹榰, 參奉金世弼, 庶尹洪興祉等, 職牒還給, 下吏·兵曹。
---------------------------------------------------------------------------------------
승정원일기 7책 (탈초본 136책) 효종 6년 7월 15일 정유 23/25 기사 1655년 順治(淸/世祖)12년
李箕徵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吏批, 以李箕徵爲司贍主簿, 金湍爲長興直長, 尹宗之爲刑曹正郞, 吳竣爲知經筵, 徐必遠爲吏曹佐郞, 李星徵爲司宰僉正, 權碖爲典籍, 崔寬爲工曹佐郞, 朴榥爲內贍直長, 金庭謹爲西部主簿, 郭齊華爲持平, 尹以宣爲司贍直長, 林一儒爲司饔主簿, 柳益三爲內資奉事, 都愼與爲典籍, 具鋈爲司僕判官, 鄭東燁爲監察, 李材吉爲監察, 南老星爲冬至正朝聖節副使, 安後稷爲書狀官, 李時術爲司書, 田乃績爲內贍主簿, 許憲爲右水運判官, 閔偉爲濟用直長, 趙漢叟爲軍資奉事, 尹弼殷爲戶曹佐郞, 李克泰爲典籍, 成晩達爲監察, 白瑞翰爲軍器僉正, 安應昌爲軍資判官, 李梓爲輔德, 金時𦛋爲瓦署別提, 李齊衡爲濟用正, 成雲翰爲掌樂直長, 趙錫祿爲司宰主簿, 金麟錫爲引儀, 李愼爲活人別提, 鄭采和爲司僕主簿, 李斗長爲尙衣別提, 李秞爲工曹正郞, 安後說爲正言, 李松老爲典獄主簿, 安弘毅爲北部主簿, 沈廷老爲義盈直長, 李尙淵爲長興主簿, 李邦鎭爲監察, 崔時卨爲引儀兼參軍, 宋儒韓爲繕工監役, 柳斗章爲引儀, 安宗遇爲禮賓奉事, 李稹爲禁府都事, 金佐明爲兵曹參議, 姜頊爲戶曹佐郞, 吳斗寅爲海運判官, 鄭伯基爲尙瑞直長, 尹長卿爲義盈奉事, 沈之瀗爲繕工假監役, 金益廉爲兵曹佐郞, 李經爲甑山縣令, 李后白爲松禾縣監, 具義俊爲濟州牧使, 金重明爲甲山府使, 金益厚爲鐵山府使, 申時豪爲龜城縣監, 權以明爲渭原郡守, 崔克寯爲博川郡守, 都汝恒爲幽谷察訪, 盧世珍爲碧沙察訪, 具崟爲黃州判官, 朴尙質爲康津縣監, 權穆爲咸興判官, 李必馨爲慈山郡守, 金徽爲義州府尹, 李汝發爲永興府使, 黃埏爲明川府使, 權衍爲三和縣令, 任重爲慶尙都事, 尹塏爲咸鏡都事, 李禮男爲大靜縣監, 李積爲德源府使, 洪天龜爲金溝縣令, 鄭尙古爲平海郡守, 邊義一爲KC00032波知僉使, 金素爲五衛將, 黃士誠爲所斤僉使, 李仁慶爲高山里僉使, 李大仁爲潼關僉使, 吳達尊爲宣傳官, 李枝遠爲安興僉使, 李萬齡爲永宗萬戶, 鄭秀男爲舒川萬戶, 全尊性爲五衛將(주2), 朴時雨爲忠翊將, 金壽增爲衛率, 李垕爲文兼, 姜弼文爲神方仇非萬戶, 李時靖爲阿吾地萬戶, 薛觀徵爲忠淸水虞候, 徐挺然爲文兼, 尹思智爲森森坡萬戶, 文尙周爲玉連萬戶, 李賢爲豐山萬戶, 閔繼逸爲包伊萬戶, 南宮奕爲蛇梁萬戶, 金伸先爲景福假衛將, 閔錡爲宣傳官, 梁應涵爲兼司僕將, 朴長卿爲宣傳官, 鄭傅賢爲慶尙右兵使, 金樑國爲武兼, 黃埏爲訓鍊副正, 崔徽之爲副率, 元相爲兼內乘, 尹思晟武兼, 海原君暎爲副摠管, 申壕爲同中樞, 李汝博爲內禁將, 黃應吉爲忠壯將, 南澳爲訓鍊主簿, 趙義敏爲僉知, 李公望爲都摠經歷, 成釴爲忠淸水使, 鄭就道爲羽林將, 李碩老爲守門將, 任翊夏爲都摠都事, 洪受九爲部將, 李東顯爲順天營將, 崔廷顯爲羅州營將, 兪益聖爲武兼, 鄭倜爲滿浦僉使, 尹時建爲守門將, 趙安孝爲宣傳官, 趙猷爲淸州營將, 安忠益爲武兼, 沈承亨爲玉浦萬戶, 閔昇爲訓鍊副正, 柳泰陽爲守門將, 權勛爲五衛將, 禹濟民爲越松萬戶, 朴鳴漢爲洪州營將, 元萬石爲副司果, 李基定爲摠摠[都摠]經歷, 劉屹爲訓鍊主簿, 具元弼爲兼內乘。
(주1)수사[ 水使 ]
조선 시대 주진(主鎭)에 주둔하며 거진(巨鎭)•제진(諸鎭) 등을 총괄하여 지휘하던 정3품 외관직 무관.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의 약칭임. 조선 건국 직후인 태조 2년(1393) 수군도절제사(水軍都節制使)가 설치되었으며, 이 관직은 이후 증감과 혁파의 과정을 거치면서 세종 2년(1420)부터는 병마절도사가 수군절도사를 겸임하다가 다음 해인 세종 3년(1421)에 수군도안무처치사(水軍都安撫處置使)를 별도로 설치하게 되면서 병사(兵使)와는 별도로 수군의 독립적인 지휘계통이 확립됨. 수군도안무처치사는 세조 2년(1456년) 수군절도사로 개칭되었으며, 이후 진관체제 하에서 수군절도사는 경기 1인, 충청도 1인, 경상좌도 1인, 경상우도 1인, 전라좌도 1인, 전라우도 1인 등 모두 6인의 전임 수군절도사가 있었고, 경기・충청도•경상도•전라도•강원도•황해도•함경도•평안도 등지에 각 1인씩은 관찰사가 겸임하였으며, 이외에 평안도 1인과 함경도의 2인은 병사(兵使)가 각각 겸임함. 수사는 병사와는 별개로 수군의 업무와 해상방어의 총괄을 하는 최고책임 지휘자로, 조선 후기에도 계속 존속되었으며, 수군통어사(水軍統禦使)나 수군통제사(水軍統制使) 등이 설치되면서 이들이 수군절도사를 겸직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여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다가 고종 32년(1895) 수령의 혁파와 함께 페지되었음. [유사어]수곤(水閫).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네이버 지식백과] 수사 [水使]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公洪水使」에서 ‘公洪’은 지금의 충청남북도를 합한 충청도를 이름
(주2)오위장[ 五衛將 ]
요약 조선시대의 군직(軍職).
오위의 으뜸 벼슬로, 초기에는 종2품관 12명을 두어 그때 그때 각 위를 나누어 맡아 통솔하게 하였으며, 모두 타관(他官)이 이를 겸직하였다.
5위가 평상시에는 주로 입직(入直)과 행순(行巡:도성 내외를 순찰하는 일) 및 시위(侍衛)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5위장들은 외소(外所) ·남소(南所) ·서소(西所) ·동소(東所) ·북소(北所) 등 다섯 위장소(衛將所)에 번을 갈아 각각 1명씩 입직하여 왕의 지명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였다. 또한 순행에 있어서는 5위장이 군사 10명을 인솔하고 시간을 나누어 순찰한 뒤 이상 유무를 직접 왕에게 보고하였다.
나라에 경사가 있어 국왕에게 축하를 드리는 조하(朝賀)가 있을 때에는 위장이 그 군사를 이끌고 궁정에 정렬, 시위하였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5위의 기능이 대폭 축소되어 궁성 숙위(宿衛)만을 맡게 되자 5위장의 기능도 이것에 한정되어 품계를 종2품에서 정3품으로 내리고 3명을 증원하되 2명을 문관으로 충당하여 위장소의 사무를 맡아보게 하였는데 이를 조사오위장(曹司五衛將)이라고 하였다. 오위장은 1882년(고종 19) 군제개혁 때 5위와 함께 폐지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오위장 [五衛將] (두산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