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쪽 지방에서 자생하는 멀구슬나무가 있을 겁니다.
일본에서는 이것을 전단나무라고 하는데 가구 만들 때 많이 써요....특히 불단 만들 때 최고급으로..
그런데 인도 멀구슬나무를 neem tree라고 하여 지금 전 세계에서 난리가 나고 있습니다.
생물농약으로 사람이나 동물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해충을 방제하는 성분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방충제로 각광을 받고 있고....
뿐만 아니라 이 인도멀구슬나무(전단나무)는 유엔에서 지정한 21세기 구원의 나무라고 합니다.
인도, 인도네시아 등 서남아시아는 물론이고 중국은 운남성에, 일본은 필리핀에 대단위 재배를 하고 있으며, 미국은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에 몇백만 그루를 식재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쿠바는 가로수로 대량 식재하고 있으며, 브라질에서도 재배 중입니다.
어떻게 보면 인도멀구슬나무를 두고 세계가 소리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다는 인상입니다.
인도멀구슬나무는 비단 방충제뿐 아니라 피부병, 암, 에이즈, 건선, 당뇨병, 심장병, 헤르페스, 치주병, 알레르기, 피임, 간염, 진균 등 전방위로 약효가 듣는 구원의 나무라고 합니다.
20년 동안 각국의 학자들이 학술적으로 연구한 결과들이랍니다.
이 정보는 어제, 오늘 제가 단순히 웹서핑해서 얻은 정보입니다.
현재 인도멀구슬나무를 한국, 일본 등에서 자생하는 일본멀구슬나무(학명이 그렇게 되어 있어요)에 접목하여 내한성을 높이는 실험을 성공했답니다.
우리 나라에선 걍 자생목으로 내팽개치거나 베어내버린다고 하더군요.
산림조합분이 그래요.
인도멀구슬과 일본멀구슬 성분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지만.....
뭐, 광주시에서도 이 점에 주목하여 대대적으로 식수했다는 기사도 얼마 전에 떴지만서도요....
암튼 주변에 멀구슬나무 보이시거든 하다못해 씨앗이라도 확보해서 개체수를 늘려야 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21세기의 나무라고 하는 멀구슬나무....
이거로 사막녹화도 가능하고...말로는 빈국이나 부국 모두 부유해질 수도 있는 나무라고도 하고...
얼마 전에 님트리 성분에 대해 유럽특허를 낸 미국회사가 인도와 엔지오의 거센 항의에 특허취소된 사건도 있었다고 합니다.
사진은 일본에서 묘목으로 분양하여 순전히 가정에서 키우는 6년생 인도 님트리와 님오일로 만든 비누입니다. 비누는 방글라데시 비누회사에서 일본 내수용으로 님오일 13% 최대한 섞은 겁니다. 님으로 만든 샴푸, 비누, 크림, 화장품, 농약, 비료 등등 개발상품이 엄청 쏟아지고 있습니다.
현재 님트리 묘목 분양이 일본에서 크게 유행하고 있습니다.
3년 정도 키우면 집안의 방충을 할 수 있다더군요.
우리 멀구슬나무도 이거 가능하지 않을까요?
자
생멀구슬나무도 방충제 능력도 있고....목재로서도 훌륭히 쓰인다고 하고...

첫댓글 멀구슬나무 21세기의 나무라 우리도 빨리 성분 연구하여 종을 늘려야겠습니다. 좋은 정보 잘 보았습니다.
멀구슬... 기청산마당에서 보고는 첫눈에 반하여 찜해뒀으며, 가까이 두길 소망하는데~~ 저렇게 뜨고 있으면 제게서는 더 멀어지는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그것은 제 욕심일지구, 멀구슬이 히트친다면 ~인간의 눈이 아닌 걔들의 눈으로 봤을때는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ㅎㅎㅎ
꽃이 특이하네요....참 이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