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 2004년 2월 1일 (일) 누구와 ; 인터넷 동호회 대.충.산.사(대전 충남 산을 사랑하는 사람들)
장소 ; 향적산 - 계룡산
대.충.산.사 가입후 두번째 정기 산행겸 시산제를 지내는 날 어제 산행의 여독이 그리 문제는 되지 않았다. 마나님 눈치를 살피며 수봉님 전화를 받고 배낭을 쳉겨 수봉님과 함께 201번 좌석 버스에 올랐다. 우리의 목적지 엄사리에 도착 할때까지 손님을 달랑 3명 그 덕분에 좀은 빠른 시간에 엄사리에 도착해 10여분을 걸어 오늘 집결지 전주 대가 식당에 도착하니 거브기님하고 함께온 일행이 공사판 모닥불에 몸을 녹이고 있다.
오늘 집결기 전주 대가 식당

잠시 후 호남선 열차에서 두계역에서 하차한 일행을 태운 택시 4대가 도착 되면서 회원들 소개와 오늘 시산제를 지낼 고사 음식을 나눠 가진 후 곧바로 고사를 지낼 향적산으로 직행이다. 오늘 산행의 금남 정맥길을 따라 시작 한단다.
산행 시작 초입(금남 정맥길)

서울, 수원, 천안에서 이번 시산제에 참석하기 참석한 회원들과 함께 어우러져 8시 45분 산행을 시작한다. 청록님의 금남정맥 노란색 시그널이 선명하게 눈에 들어온다. 솔잎과 낙엽이 덮인 소나무 오솔길 무엇이 그리 급한지 줄다름이다.

평탄하고 한적한 산책로 같은 오솔길 등로를 따라 걷는다. 9시 갈림길에서 왼쪽 송전탑을 지나 국사봉 오르는 길은 약간 경사가 있고 이정표에는 향적산 3.7km 라고 쓰여있다. 봄 날씨처럼 포근하다. 벌써 이마와 등에 땀이 배기 시작하고 한 사람 한 사람 가던 길을 멈추고 쟈켓을 벗어 배낭에 쑤셔 넣거나 매단다. 9시 15분 330고지 0.5km 이정표가 보이고 청록님은 맨 뒤에 쳐진 홀대모 고문이신 박달령님 걱정에 잠시 산행을 멈추고 기다린다.

9시 25분 헬기장이 있는 넓은 공터에 도착한다. 시산제를 지낼 향적봉이 보이고 오른쪽으로 천황봉이 뿌연 시야에 들어온다. 오늘 첫번째 휴식처이다. 너무도 더워 겉옷을 벗어 배낭에 넣고 물 한모금으로 숨을 돌리고 후발 주자가 다 올라 올때까지 기다린다.
첫번째 휴식장소 헬기장

물 한 모금으로 가빠진 숨을 달래고 제물을 가진 회원님들이 먼저 출발하고 잠시 후에 다른 회원들이 뒤따른다. 5분 정도 오르자 향적산 2.3km 이정표가 서 있는 두 번째 헬기장이 나오고 내림길이다.
휴식 장소에서 바라본 계룡산 좌측 송신탑이 정상인 천황봉

휴식장소에서 바라본 오늘 시산제를 지낼 향적봉 정상 
눈이 있어 미끄러운데 아이젠을 꺼내 착용하기가 귀찮아 그냥 내려선다. 5분 정도 내려서면 사거리 갈림길이다. 왼쪽은 향한리(2.9km) 오른쪽은 부대로(0.4km) 직진하면 513고지(2.8km)로 향하는 길이다.

직진하여 5분 정도 오르면 다시 산허리에서 갈림길이 나타난다. 오른쪽으론 513고지로 가는 길이고 향적산(1.3km)은 계속 직진한다.

산 허리를 감싸고돌아 무속인의 집이 보이는 곳에서 간식을 먹으며 잠시 숨을 돌리고 오름길을 치고 오른다. 예전에 2번씩 오를때는 휴양림에서 출발해 그리 멀게 오르지 않은길을 오늘은 돌고 돌아서 왔다.
무속인의 집 한켠에 우리의 전통 화장실 모습

10시 10분 넓은 공터에 도착하여 사방을 조망한다. 향적봉 방송 중계탑이 손에 잡힐 듯하고 천황봉도 한 눈에 들어온다. 시산제에 쓰일 제수 음식중 돼지 머리가 제일 먼저 올라 가야 된다고 모두들 돼지 머리가 오기를 기다린다. 돼지 머리는 전전후님 배낭에 들어있음.
향적봉 바로 밑 헬기장 청록님, 황태자님, 수봉님

대간을 졸업하신 조진대님이 계룡산에 오르기 전에 닭고기를 먹거나 계란을 먹으면 꼭 탈이 난다며 그래서 오늘도 삶은 계란은 가져오지 않았다고 하신다. 맞는 이야기인가? 마지막으로 오르던 박달령님이 도착할 무렵 제물을 가진 청록님과 전천후님을 선두로 향적봉을 향해 오르기 시작하고. 지난밤에 과음하고 감기까지 겹쳐 힘들다고 하시던 뫼꿈님이 이제 좀 살 것 같다고 한다.
역시 산꾼은 산에 와야 기운을 얻는 모양이다. 가파른 오름길에서도 땀 한 방울 흘리지 않으며 가벼운 발걸음을 옮기는 뫼꿈님의 여유로운 산행 모습에 부러움을 느끼며 뒤따라 오른다. 10시 20분 향적봉 정상에 도착한다. 직육면체의 낡은 탑에는 동쪽에 천계황지(天鷄黃地) 서쪽에는 불(佛) 북쪽에는 북두칠성(北斗七星) 남쪽에는 남두육성(南斗六星)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향적산 정상의 제단 탑

제단 남,북에 세겨진 글들
 
북쪽인 천황봉을 향해 시산제 플랑카드가 걸리고 돼지머리를 비롯한 제물이 진설된다. 전천후 님이 낮침판을 꺼내 방향을 보니 이곳에서 계룡산의 정상 천황봉이 정북이란다.

회장님이신 뫼꿈님이 강신 잔을 올리고 3배(천제는 4배, 산신제는 3배를 올린다고 함)에 이어 청록님의 축문낭독 그리고 아헌관이신 박달령님, 종헌관이신 거브기님의 잔이 차례로 올라가고, 작년 시산제 때 장난을 쳐서 대간을 하시며 많은 비를 맞았다던 조진대님 부부가 올 산행에는 비 맞지 않게 해달라고 계룡산 산신님께 정성스레 3배를 올린다.


홀대모의 달님과 홍수염님, 참소리님이 합동으로 잔과 3배가 올려지고, 미소짓는 돼지머리 입과 코, 귀에까지 회원들의 정성이 모아진 배추잎을 꽂고 합동으로 절을 올린다. 
돼지머리를 안주 삼아 술 한잔씩 권하고 떡과 과일을 나누며 정겨운 대화가 오고간다. 1시간에 걸친 시산제를 마치고 본격적으로 산행은 시작된다. 11시 20분 눈 덮인 가파른 내림길을 밧줄에 의지하며 조심조심 내려선다. 오를 때 잠시 쉬었던 공터를 지나 숲 속 길을 1km쯤 지나자 사방으로 시야가 뚫린 곳이 나타난다. 오른쪽 아래로 미국의 펜타곤을 연상시키는 군사 건물이 보이고 왼쪽으로 상원들판이 시원하게 펼쳐지며 천황봉은 코앞으로 다가온다.
향적봉에서 바라본 천황봉 능선

삼군 본부가 위치한 계룡대 전경

11시 50분 출입통제지역으로 들어선다. 12시 10분 금남정맥 갈림길 조망이 좋은 바위에서 잠시 지나온 길을 뒤돌아본다. 멀어진 향적봉에서 굽이굽이 이어진 능선이 시야에 가득 들어오고 스쳐 지나가는 바람이 땀을 식혀주며 상쾌함까지 더해준다.
천황봉을 바라보면서 언제 저기까지....

곧이어 신원사 3.2km 이정표가 보이고 12시 30분 헬기장을 지나 12시 50분 쉬어가기 좋은 너른 바위에서 모두들 아이젠을 풀고 간식을 먹는다. 아직 정상에 도착하지도 않았는데 물통이 바닥이 보인다. 겨울산행이라 물을 작은것 한통 준비했는데 봄같은 날씨 때문에 다른때 산행보다 갈증을 더 많이 느낀다.

송신탑 천황봉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머리봉, 천왕봉, 황적봉.

송신탑 기준으로 좌측으로 쌀개봉, 관음봉, 문필봉, 연천봉

신도안으로 흐르는 숫 용추 계곡

오르락내리락하며 20분을 걷어 13시 10분 갈림길에 다다른다. 왼쪽으로 신원사로 가는 길이고 그 길 따라 10m 정도 내려가면 약수가 나온다. 거브기님 약수 한사발 하러 가신다 난 청록님을 앞지르려 하니 청녹님 여기서 우측으로 가면 머리봉으로 해서 천황봉을 오르는 길이란다.
천황봉 우측 봉이 머리봉

가파른 오름길이 이어지면서 청록님 먼저간 일행들 만나려고 앞서간다. 정말 날 다람쥐 같다. 내도 힘을 다해 보지만 도저히 따라 잡을수가 없어 숨고르기를 하면서 급경사길 피치를 더하니 내 뒤를 따르던 회원들의 모습이 하나, 둘 눈에서 멀어 지더니 말소리까지 들리지가 않는다.
그렇게 오르니 먼저 출발한 일행과 청록님 빵을 한개 건내 주신다. 난 빵과 귤로 목을 체우니 같은 아파트에 살면서 아침부터 동행한 수봉님이 올라 오면서 그 뒤를 따라 회원들의 모습이 하나,둘 보인다.
청록님 이 바위와 바위 사이가 무슨 문인지 아직 이름이 없는데 무어라 작명을 하면 좋을까 고심중이라신다.

일행들이 올라오면서 먼저 올라온 선발대가 자리를 뜰 즘 수봉님 우측 절벽을 따라 천황봉에 오른다고 한다. 아니 그럼 나라고 못 오를리 없지 하면서 수봉님 암벽에 오른다.
내 뒤를 따르던 거브기님이 찍어준 사진

내 뒤를 따르던 거브기님은 내를 보내고 여기서 하차하고 마셨단다.

두근 거리를 가슴을 쓸어내리고 오른 암봉 위 바로 천황봉이 내 눈앞에 있지않은가 발 아래 겹겹이 산허리를 감고 도는 계곡들 난 너무도 감격에 겨워 수봉님께 사진한장을 부탁한다.
천황봉 정상에 있던 군사 시설물을 이전하고 천황봉 주위를 석축으로 보강 하면서 생태계 복원공사 중 인듯 이쁘장한 소나무가 심어지고 있는 공사가 한창인듯 크레인이 위용을 과시한다. 
연천봉과 문필봉,쌀개봉 능선

14시 08분 천황봉에 도착한다. 출입통제 지역이어서 오지 못했던 천황봉과의 만남. 새로운 사물이나 그리워했던 것들과의 만남은 더 없는 청량제나 다름없다. 한국통신 계룡산 중계소 중계탑이 우뚝 솟아있고 천단(天壇)이라고 쓰여진 정상석이 산꾼들을 맞이한다.
천단아래 山祭壇

천단의 유래비

천황봉 정산 천단

연천봉, 문필봉, 쌀개봉, 관음봉, 자연성릉을 거쳐 삼불봉까지 능선이 장쾌하다. 푸른 하늘에 빛나는 눈들, 그리고 눈 덮인 암벽 위에 아슬아슬하게 버티고 선 소나무들이 그곳에 도착하기 전에 감싼다.

계룡산은 예로부터 풍수지리적으로 대길지(大吉地)로 여겨져 왔고 조선시대부터 지리산, 묘향산과 함께 우리나라 3악(嶽)으로 불려왔다. 특히 천황봉 정상은 통일신라시대 이래 제단을 설치하고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하기 위해 제사를 지냈던 곳이다. 나라에 환란이나 질병 등이 닥쳤을 때는 어김없이 이곳에서 제사를 올렸다고 한다. 천황봉 천단(높이 1백20㎝. 폭 70㎝)의 재질은 계룡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화강암으로 표지석에 새겨진 '天壇'이란 글씨의 서체는 조선시대 유학자인 동춘당 송준길 선생의 친필에서 집자(集字)했다고 한다.
천단에선 기쁨에 두근거리는 가슴으로 오늘 하루의 피로가 싹 가신다.

게룡산 정상 천황봉 천단에서 맛본 감격을 뒤로하고 내려오는 하산길을 찾으니 눈으로 뒤덮여 잘보이지를 않는다. 나랑 수봉님만 바위 능선을 타고 올라왔으니 다른 회원들의 모습은 아니 보인다. 어렵게 하신길을 찾아 천황봉을 내려오니 우회에서 돌아온 일행이 한두명 정상으로 향하는 모습을 뒤로하고 쌀개봉에 도착하니 금강홍수 통제소 철문않에서 거브님이 다방을 차리고 커피 한잔씩을 대접하고 있기에 정말 맛나는 커피한잔 어네지를 충전하고 ..앞서간 청록님을 뒤 따른다.
쌀개봉 능선에서 바라본 계룡산 "ㄷ"자 능선과 안개에 쌓인 동학사 전경.

쌀개봉 능선에 오르니 그간 쌓인 눈에 암으로 이루어진 굴곡이 심한 능선의 연속 안개만 끼지 않았다면 한마디로 죽여줄 조망인데 좀은 아쉽다.
쌀개봉에서 황적봉으로 향하는 자연석문 통천문

쌀개봉 암벽에 줄을 메고 일행을 기다리는 소유요님. 이 밧줄은 산꾼들을 위해 그 자리에 놓고왔는데 국립공원 관리공단 직원들 눈에띄면 다시 철거 되겠지? 
심우정사는 계룡산중의 가장 명당자리로 따끈한 두충차를 마실 수 있도록 산중 나그네들에게 배려를 아끼지 않았던 老스님으로 유명했으나 음기가 센 명당이어서 천수를 다하지 못했다고 한다. 눈으로 능선들을 이어가면서 계룡산 ㄷ자 종주 계획을 품는다.다.
출입통제 산길이라 사람이 많이 다니지 않아 발목까지 쌓인 눈이 그대로 남아있다. 뒤돌아보니 밧줄을 타고 조심조심 내려오는 허허자님의 모습이 보인다.

삼불봉에서 이어져 천황봉으로 이어지는 길 은선폭포에서 갑사로 이어지는 길 하지만 이곳에서 천황봉은 출입을 금지시켜 그동안 이 길을 들어가지 못했는데 드디어 오늘 천황봉에 오르고 이 길로 하산하니 감회가 세롭다.
여기서 은선폭포로 해서 동학사로 내려가는 길은 암 너덜지대로 계룡산의 음지에 속해 많은 산꾼들이 올라오면서 길이 반질반질하다. 난 아이젠을 차고 청록님과 맨 먼저 하신길을 제촉한다.

청록님은 하산하면서 뒷풀이 식당 차 대기 시키랴 일행 체크하려 핸드폰이 계속 울려된다. 하지만 돌로 이루어진 하산길은 짜증이 난다. 하지만 이 시간에도 가족을 동반한 산꾼들의 산행은 쉼없이 이어진다.
은선폭포 아래 쌀개봉 조망대에 도착하니 15시 40분 "v"이곳이 쌀개봉

동학사 전경 (계룡산의 유명세에 비해선 좀은 초라한 모습)

계룡산 초입에 세워진 계룡산 동학사 일주문

시끌시끌한 집단 시설지구를 지나고 16시 15분 동학사 주차장에 올라 뒷 풀이를 위해 먼저 도착해서 일행들을 기다릴 청록님께 미안한 마음에 말한마디 하지 못하고 집으로 오는 버스에 오르니 오늘 7시간 30분(시산제 1시간 포함) 동안의 대.충.산.사의 시산제 산행은 끝이난다.
회원중에 만보계(보문산-만인산-식장산-계족산)의 60km 능선을 22시간에 말아먹은 준족의 사나이 강산에님과 백두대간을 43일에 거쳐 연속으로 종주를 끝낸 경력의 소요유님, 발걸음이 가벼워 눈위에도 발자국이 남지 않는다는 뫼꿈이님, 나처럼 산행과 마라톤을 병행하는 서바위님과 근자님,그리고 강산에님의 제자를 자칭하는 근자님, 백두 대간을 이어가는 허허자님, 금남정맥을 이어가는 청록님, 초등 4,5학년 남매와 함께 가족동반 대간을 1년 8개월만에 완주한 수봉님 하나 하나 얼굴을 그미며 집으로 향하는 차안에서 내는 그냥 산이 좋아 오르는 뫼꿈이로 만족 하련다.
참으로 기억에 남을 만한 황적산 시산제 와 계룡산 산행을 마치면서 집에서 낼 기다리고 있을 가족에게 미안한 마음을 가져본다.

|
첫댓글 원본 게시글에 꼬리말 인사를 남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