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며칠 너무 늦게 자는 것 같아서, 오늘은 좀 일찍 자려 했더니 잠이 안 온다. 늦게 자는 습관이 벌써 든건가.
잠자는 걸 포기하고 책상에 앉아 <외쪽이> 이야기를 찾아 읽어보았다. 반쪽이 이야기라고도 부르는 이 이야기가 상징하는 의미는 도대체 무엇일까. 여러 이야기가 있는데 같이 읽어볼 겸 여기 가장 짧은 내용을 옮겨본다.
넷날에 어드런 낸이 아를 낳디 못해서 아 낳게 해달라구 부테한테 늘 빌었다. 그랬더니 어느 날 쌔한 넝감이 와서 고기 세 마리를 주면서 이걸 먹으문 아덜 셋을 낳는다구 했다. 낸은 너머너머 기뻐서 그 고기를 받아서 학갑에 낳두구 먹을라구 했다. 그랬더니 광이레 그 고기 세 마리 둥 한 마리를 절반채 먹었다. 낸은 그 고기 온근 거 두 마리와 반 마리를 먹었더니 아를 개저서 삼형제를 났넌데 아덜 들은 온근 아인데 하나는 반편을 났다.
아들 삼형제는 잘 자라고 공부두 잘해서 과개보레 가게 됐다. 두 형은 반편을 데리구 가기가 싫어서 따라오디 못하게 하는데두 반편은 따라가갔다구 뒤를 쫒아갔다. 형들은 반편을 큰 파우에다 꽁제(묶어) 놓구 갔다. 반편은 힘이 여간만 세딜 안아서 낑 하구 힘을 줘서 뽑아서 짊어지구 집이루 와서 뜰막에다 네레놨다. 오마니가 보구 "그건 무엇 할라구 개오네?" 하느꺼니 "내 잔체할 때 떡 받을 떡돌 할라구 개왔다"구 했다. 그리구 또 뛔서 형들을 딸라잡았다. 형들은 저그니를 큰 나무에다 꽁제 매놓구 갔다. 반편은 또 끼잉하구 그 나무를 뽑아서 짊어지구 집으루 와서 뜰악에 내리놨다. 오마니가 그건 뭐하레 갲다 논 능가 하느꺼니 내 잔체할 때 만들 거라구 했다. 그러구 또 뛔가서 형들을 딸아잡았다. 형들은 저근이를 칡이루 꽁꽁 꽁제서 범 앞에 던져 주구 다라났다. 반편은 힘을 내서 꽁젰던 칡이를 끊구 일어서니까 범들은 이 사람은 신신녕인가 하구 잡아먹디 않구 내기 하자구 했다. 반편은 범들보구 우리 다같이 칡이루 몸을 꽁제 개지구 칡이를 끊구 니러서면 날 잡아먹구 그렇디 않으문 나는 너덜 깍대기를 모주리 베끼갔다구 했다. 범들은 그렇가자 하구 칡이루 몸을 꽁제 놓구 범덜은 끊을러구 하는데 끊디 못했다. 그래서 반편은 범에 가죽을 다 베께서 그걸 짊어지구 갔다.
가다가 날이 저물어서 어떤 집에 들게 됐다. 쥔은 반편이 범에 가죽을 많이 가진 걸 보구 구미가 나서 장기 두기 내기 해서 내레 지문 내 딸을 주구 님제레 지문 그 가죽을 다 달라구 했다. 반편은 인차 그카자 하구 장기를 두었다. 그런데 쥔은 세 번 두었는데 세 번 다 졌다. 그래서 아무 날 딸을 데레가라구 날자를 덩해 주었다.
그런데 쥔은 딸을 주기가 싫어서 딸을 데레가디 못하게 하누라구 지붕에두 사람을 두구 넌지간(연자방아간)에두 사람을 두구 딸이 있는 방 앞에두 사람을 두구 해서 지키구 있었다. 반편은 이걸 알구 그날은 우덩 가디 않구 다음날 농이(노끈)와 북과 베루디와 빈대를 재지구 갔다. 그 집에서는 어느 나즈 밤새두록 한잠두 자디 못하고 지키구 있어서 이날에는 사람덜이 모두 다 자구 있었다. 반편은 지붕에 있는 사람에 상투를 서루 매놓구 넌지간에 있는 사람들은 넌지돌에다 상투를 매놓고 집안에 있는 사람한테는 북을 달아 매놓구 체네 있는 방에다 베루디와 빈대를 뿌레놨다. 그랬더니 체네는 머이 문다 머이 문다 하멘 방에서 나왔다. 반편은 이 체네를 얼릉 업구서 처녀 잡아간다구 과티면서 다라뛨다. 그러느꺼니 지붕에 있던 사람은 내 상투 놔라 내 상투 놔라 하멘 고기만 하구 쫒아오디 못하고 넌자간에 있는 사람은 내 상투놔라 내 상투 놔라 하구만 있구, 집안에서는 북을 치면서 고구만 있었다.
이렇게 해서 반편은 그 체네를 채다가 잘 살았다구 한다. (임석재전집1 한국구전설화. 평안북도편1. 114~115쪽)
저 반쪽이의 힘과 지혜는 어디에서 나오는 걸까. 이게 궁금하다.
반쪽이는 눈도 하나고 모두가 반쪽이다. 그렇다면 그 나머지 보이지 않는 반쪽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봐야 하는가. 이게 문제다.
우리는 보이지 않는 것을 단순히 없다는 의미로 해석을 하기 쉽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반쪽을 이런 의미로만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보이지 않는 반쪽을 우리는 느낄 수는 있어야 하는 것이다. 눈에 보이는 저 반쪽은 외부 현실을 살아가는 의식의 마음이 만들어내는 세상으로 통해 있는 목숨이다. 한편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느낄 수는 있는 '없으면서 분명 존재하는 ' 다른 말로 '없이 계시는' 또 다른 반쪽은 신의 영역에 존재하는 목숨이라 보면 좋겠다.
힘과 지혜는 저 눈에 보이는 반쪽과 없이 계시는 신의 영역인 반쪽이 하나로 통합될 때 생겨나는 것이다.
우리들은 두 눈을 뜨고 산다. 두 눈을 뜨고 마음 밖 세상을 보면서 산다. 초기 성인기를 거칠 때까지 사람들은 이 두 눈에 의존해서 지식을 쌓아가고 개념을 쌓아가고 감정을 쌓아간다. 그러나 오히려 이 보는 눈에만 의존해 살아가면서 사람들은 감각과 직관을 잃어버리는 것이 아닌가. 초기 성인기를 거치면서 반환점을 돌아 이제 태어난 영혼의 고향으로 돌아가는 나이가 되면 보는 눈을 감고 안으로 열린 눈을 떠야 한다. 밖으로 열린 눈은 감고 안으로 통하는 눈을 떠야 하는 것이다.
내가 꾼 꿈에서 나는 물속 나라로 퇴행해 들어갔는데 거기에서 나는 한 쪽 눈만을 뜨고 있었다. 한 쪽 눈은 감고 있었던 것이다. 이건 반환점을 돌아 영혼의 고향으로 떠나는 여행을 시작한 사람에게는 한편으로는 새롭게 진화된 모습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껍데기 현실을 보는데만 사용하던 두 눈 가운데 하나라도 감아서 그 감은 눈 만큼 정신의 에너지가 안으로 열리게 된 것이다. 내면을 향한 영적인 여행을 떠나는데 필요한 눈이 거꾸로 하나가 뜨이게 된 것이다. 감긴 눈이 곧 내면의 자리에서 볼 때는 새로 뜬 눈이 되는 것이다.
한 눈은 밖으로 떠 있고, 한 눈은 안으로 뜨는 싯점에 서 있게 된 것이다. 이런 사유를 해 본다면, 반쪽이의 눈은 한 쪽은 밖으로 열려 있고, 보이지 않는 또 다른 반쪽의 눈은 태생적으로 안으로 열려 있는 것이다. 그래서 영적인 정신의 고향과 늘 열러있는 존재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정과 신이 합쳐진 온전한 정신의 소유자로 서 있는 것이다.
꿈을 기록하면서 내 마음 속 우주의 선생님은 자꾸만 나로 하여금 내면으로 열린 존재를 보라고 이런 장면을 올려보내 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안과 밖이 소통하는 존재로 살아가라고 경고도 하고 보상도 하는 꿈 장면을 계속 올려보내준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나는 이런 생각을 하면서 반쪽이 이야기도 내 나름대로 이렇게 해석을 해 보는 것이다. 이 꿈을 꾸면서 반쪽이도 내 몸에 살고 있는 나의 분신이며, 영혼의 친구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댓글 반쪽이 책에 나와 있는 반신모습에 너무 놀랐더랬습니다. 그림에 놀라 책을 아이에게 읽어주는 내내 많이 불편했습니다.
그리 생각하셨군요. 고맙습니다.
여러가지 의미가 있을 것 같아요. 그 상징의 의미를 머리로 이해를 하고 탐구를 해서는 다 알 기가 힘들겠지요. 꿈처럼 어떤 무의식을 만나는 체험을 통해서 저절로 느껴지는 그 어떤 계기가 있어야 할 것 같더라구요. 신화 공부가 그래서 참 어려운 거지요. 이게 머리로만 되는 문제가 아니에요. 그래서 또 신화니 꿈이니 하는 공부가 재미있는 것 같아요. 어떤 도식이나 틀에 걸려들지 않는 무궁무진한 여백의 의미가 있으니까요.
얼마 전에 본 영화 '위대한 침묵'에선 이런 말이 나옵니다. "상징들을 무시한다면 방향을 읽게 돼. 상징에게 물을 게 아니라 내 자신에게 물어야 해." 현대인들은 상징을 무시하고 억압하며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야기밥에 오시는 분들은 상징을 무시하지는 않겠지요. 상징이 주는 의미를 알려면 내면으로 들어가서 무의식을 이끌어내야 합니다. 그럴 때 필요한 것이 명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영화는 2시간 45분 동안 침묵 수행하는 수도사들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입니다. 그곳에서 맹인 수도사가 하는 말이 가슴을 콕콕 찌르더이다. "자신이 맹인인 것은 자기 영혼에 이롭다고 주님이 배려한 것"이란 말씀이요.
맹인들이 수행 한다면 일반인보단 혜안이 먼저 뚫릴 거란 생각을 해봤어요. 인도사람들이 이마에 붙이는 점 말예요. 그것은 깨달았 거나 현재 깨달음 중이라는 사실을 표현하는 거랍니다. 점 붙은 그곳이 제3의 눈을 나타내는 혜안이자 영안이 열리는 차크라가 있는 곳이라고 해요. 영적인 삶을 갈고 다듬다 보면 그 쪽으로 가겠지요. 다만, 꾸준히 정진해야 반쪽이의 지혜를 얻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군요. 그게 제3의 눈을 상징하는 거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