兩
두(량)4 |
* 물지게 모양을 본뜬 글자 |
入 들(입) |
물지게의 양쪽 물통을 뜻하며
두(二) 개라는 뜻이 있음. |
兩家(양가) 兩分(양분)
兩班(양반) / 나눌(반) |
倆
재주(량)2 |
물 안흘리고 지게를(兩) 잘 지는 사람을( 亻) |
人( 亻) |
技倆(기량)이 뛰어난 사람,
즉 재주(倆)있는 사람이라 하였다. |
技術(기술) / 재주(기)
技藝(기예) / 재주(예) |
滿
찰(만)4 |
두(兩) 물통에 나란히(廾) 찰랑거리는
물을( 氵) 보고는 |
廾 손맞잡을(공)
스물(입) |
充滿(충만)하다.
또는 가득 채워져(滿) 있다고 표현하였다. |
充 찰(충) 不滿(불만)
滿足(만족) 滿喫(만끽) |
瞞
속일(만)2 |
간혹 물지게꾼은 수조를
가득 채웠노라며(滿) 눈금을(目) |
目 눈(목) |
속여(瞞) / 소비자를 欺滿(기만)하는 일도 발생하였다. |
詐欺(사기)
속일(사) / 속일(기) |
|
* 응용단계 * |
|
- 물지게의 물통이 양쪽으로(兩) 있듯 |
|
輛
수레(량)1 |
수레바퀴가(車) 양쪽으로 두(兩) 개씩 달린 |
車 수레(거) / 차(차) |
수레(輛)라는 뜻의,
車輛(차량)이라는 개념도 생겨났다. |
輪(車); 바퀴(륜) |
鏋
금(만)1 |
속이 꽉 찬(滿) 쇠(金),
또는 모든 사람들이 만족해(滿) 하는 쇳덩이(金), |
金 쇠(금) / 성(김) |
금(鏋)이라는 뜻의 새로운 글자가 파생되어졌다. |
派生(파생) / 갈래(파) |
도량과 아량 |
度量(도량)
- 너그러운 마음과 깊은 생각 |
高度(고도)
높을(고) / 법도(도) |
雅量(아량)
- 너그럽고 깊은 마음씨. |
優雅(우아)
넉넉할(우) / 바를(아) |
量
헤아릴(량)4 |
수확한 농산물을 저울(里) 위에 올려놓고(一)
그 수량을 밝게(日) /옳게/정확하게 |
釐 / 厘 / 里
다스릴(리)/저울의 개념 |
計量(계량)하다 / 헤아리다(量) |
數量(수량) / 셀(수)
測量(측량) / 헤아릴(측) |
糧
양식(량)4 |
(보릿고개/춘궁기 등 흉년을 대비하여)
그 수량을(量) 잘 비축해두어야 하는 쌀(米) 등의 |
米穀(미곡)
쌀(미) / 곡식(곡) |
糧食(양식) / (糧) |
食糧(식량) / 먹을(식)
糧穀(양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