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령포 가는 길
雪白/최영희
청령포 맑은 물
천 년을 돌고 돌아 흐르고 흐르건만
어린 왕의 천추에 恨
언제나 씻어 낼까
나룻배에 몸을 실어
세월을 건너가니
오백 년 열일곱 어린 왕의 한숨소리
우거진 솔숲 사이 떠나지를 못하고
망향루에 올라보니 한양 땅 두고 온 왕비를 그리는 그리움
하나, 하나 돌을 쌓고, 두 달여 쌓은 돌은
정한(精恨)의 탑이 되어 오백 년 비바람도 무너뜨리진 못했구나
御所에 걸려있는,
“ 천추에 원한을 가슴 깊이 묻은 채// 적막한 영월 땅 황량한 산속에서
만고의 외로운 혼이 홀로 헤매는데// 푸른 솔은 옛 동산에 우거졌구나
고개 위의 소나무는 삼계에 늙었고// 냇물은 돌에 부딪혀 소란도하다
산이 깊어 맹수도 득실거리니// 저물기 전에 사립문을 닫는다.”라는
御 製 詩는 내 가슴을 쓸어내고
돌아서는 이내 마음
어린 왕을 이곳까지 후송하고 차마 발길 돌리지 못해
강나루 홀로 앉아 통한의 詩를 읊은 왕방연의 충심에다 비할까만,
왕이시여!
왕위찬탈 1457년 6월 22일,
사약을 받으신 1457년 10월 24일,
17세의 어린 나이로 승하하신 그날의 恨
어느 세월 푸시리까
돌아서 오는 길
청령포 강물의 오백 년 울음소리
시린 귀가 젖는구나.//2007.10.7
제 2시집[또 하나의 섬이 된다] 중
그대는 내 사랑이었습니다// 최영희
사랑이여,
슬픈 내 사랑이여!
겨울 나무 숲을 걸어가는
쓸쓸해 보이는 당신
그대는 내 사랑이었습니다
오월 어느 날
푸른 잎 칭칭 감아올리는
등나무처럼
내 가슴은 당신의 그 푸른 기운에
사랑이란 이름으로
내 삶의 전부를
당신께 걸었습니다
마른 풀잎이 불러주는
전주곡이 슬픈
봄이 오는 길목
당신 어깨 위 시린 햇살
손이라도 얹고 싶은 내 마음인걸요
황혼 녘 우리 사랑인걸요.//2008.2.10
|
|
첫댓글 저도 청령포에서 긴 한숨을 내 쉬었습니다ㅜㅜ 가장 인상깊은 곳으로 지금도 자리하고 있지요 선생님의 애간장 끊는 글을 대하며 마음에 눈물로 접습니다(제 블로그로 이동합니다)
따움님 감사합니다,,좋은 하루 되세요,,^^
선생님, 대단히 죄송합니다 위의 영상으로 샌님의 사진이 있는데요 그만큼 크기로 어찌하여야 할 수있는지요? ㅎㅎㅎ
네, 따움님,,저번 논개시에 대한 질문도 답변을 빨리 하지 못 했습니다,,뭐가 그리 바쁜지,,,ㅎㅎ,,,먼저,,위 사진크기는 소스에 보면 사진크기를 결정하는 소스가 있습니다,,여기에서,,이미지 끝에있는,,, <width=460 height=345>이것이 사진 크기를 결정합니다,,앞의,,width=460 이 가로크기,,,뒤의,,height=345가 세로크기입니다,,숫자를 높이면 사진크기가 커지고 낮추면 사진크기가 작아 집니다,,내 사진 그기는,, <width=500 height=345>로 한 것입니다,,^^,,,그리고,,논개 시에서 강남콩보다 묽은의 세번 반복에 대해선,,,논개의 피끓는 애국정신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 하시면 됩니다,
논개시가 나올때 쯤엔 그러한 반복법을 많이들 사용하셨지요,,김소월님의 시라던가 한용운님의 시 등에서 많이 볼 수있지요?,,,시도 시대에따른 흐름이 있습니다.
복잡한 문제를 질문해서 대답하시느라 수고가 많으셧습니다 참고하여 배우겟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또한 요즘의 현대시에서도 그렇게 세번씩 반복해도 되나요? ^^
안될건 없지만,,,가능하면 중복되는 언어는 피하는것이 좋다 하시더군요,,제가 공부 할때 스승님의 말씀입니다,,
어린 왕이기 전에, 길 잃은 어린 양이 아니었을까 생각해 봅니다.
네, 청령포에서의 왕은 이미 왕이 아니라 숲속에 버려져 길잃은 양이 되셨겠지요?,,김영국시인님,,오랜만에 뵈니 무척 반갑습니다,,제주에는 이제 좀 안정을 찾으셨는지요?,,
한번쯤 가보고 싶은곳 ,,기회되면 꼭 가보고 싶습니다,
네, 그리 하세요,,,뱃길로 한 2.3분 거리의 청령포,,단종의 채취가 아직 그곳에 남아 있는듯,,,
저도 기회있으면 가보고 싶네요 좋은 시 감사히 머무릅니다 건안 행복 날 되세요 시인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