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계재사 및 칠성루중수기[休溪齋舍及七星樓重修記]
서정계(徐庭桂)
단종(端宗) 임금이 계시던 때에 옛날 스스로 자정(自靖)하여 의를 지킨 신하 휴계(休溪) 전희철(全希哲) 선생은 벼슬을 버리고 남쪽으로 내려와 마침내 강주(剛州 : 영주(榮州))의 관아 남쪽 휴천리(休川里)에 은거하여 살다 그 생애를 마쳤고, 거처하던 곳 동쪽의 칠성산(七星山)에 묻혔다. 그곳은 선생이 살아생전에 이 산에 올라 영월(寧越)을 바라보며 통곡했던 곳이다. 그 덕을 세워 후손에게 물려주신 공로가 깊고 또 원대하였는데 대대로 어질고 밝은 자들이 잇고 이어서 그 선조를 드러낼 줄 알았으니 세상에 아름다운 일이다.
아! 선생의 손자 송파공(松坡공 : 전응두(全應斗))이 그 맏아들 망일당(望日堂)공에게 명하여 재사(齋舍)를 창건하도록 하여 제사를 올리는 장소로 삼았고 대를 이어 집을 수리하였다. 5대손 설월당(雪月堂)공이 전선생의 유적을 추모하여 또 칠성루(七星樓)를 창건하여 편액을 걸고 찬미하였다. 한 구역 용상동(龍上洞)에 바로 옥천(沃川) 전씨(全氏)의 대대로 전한 논밭과 집이 있어 세 분에게 이르기까지 주인이 바뀌지 않았다. 이 강산에는 용동(龍洞)의 구름이 깊고 박봉(璞峰)이 솟아 후손들이 널리 퍼져 고관들이 줄을 이어 수백 년 동안 끊이지 않아 그 유택이 자손에게 남긴 것이 무궁하였다.
재사가 이미 이루어지자 후손들이 여러 선조를 추모하여 참봉공(參奉公 : 전박(全珀))·송파공(松坡公 : 전응두(全應斗))·망일당공(望日堂公 : 전개(全漑))·설월당공(雪月堂公 : 전익희(全益禧))을 나란히 제사지내고 배향하였다. 무덤을 수리하는 도구와 향불을 피워 받듬이 이미 오래되었기에 더욱 갖추어졌다. 선생이 쌓은 덕과 깊은 사랑이 후손들에게 보살핌을 드리우고 복을 내려주신 것이 아니라면 어찌 끝없는 데까지 보답을 받을 수 있겠는가? 그러니 후손들의 어질고 효성스런 글이 있지 않다면 어찌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 처음으로 되돌려 그 근본인 조상에게 보답하는 정성을 다할 수 있겠는가?
대개 휴계재사에는 기문이 있고 칠성루에도 기문이 있는데 앞사람의 기록이 갖추어져 있다. 수백 년을 지나오면서 재사는 이미 오래되었고 다락도 또한 낡았다. 수리하여 꾸미고 보호하는 데에 오직 힘쓰는 사람은 그 후손 전하우(全河禹)·전상호(全祥鎬) 씨로 폐기된 것을 일으키고 피폐한 것을 보수하였고 더욱 영구한 계책을 시행하니, 휴계재사 및 칠성루가 이미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여러 분의 덕택인데 특히 고을 최상종(崔祥鍾) 군수의 힘이 아주 컸다. 전하우 군이 그의 사재를 기부하여 비용을 도와 그 모습을 일신하니 크고도 화려해졌다. 여기에 들인 힘도 컸었고, 정성된 뜻도 부지런하였다. 선조의 영령이 기꺼이 말하기를 “내 후손이 있도다.”라고 하리라. 아! 사람들이 선조에 대해 세대가 점차 멀어진다면 사랑하고 사모하는 뜻도 쉽게 쇠해진다. 그러므로 경전에 이르기를 “멀어지는 것은 사람들이 잊게 되는 바이다.”라고 하였는데 추모하고 두텁게 함이 지극한 것은 이 두 사람을 이름이도다!
지금 이 중수의 일이 아직 마치지 않았는데 전대하(全大河)·전하국(全河國) 씨가 찾아와 나 서정계(徐庭桂)에게 한 마디 기록해달라고 부탁하는데 내가 사양하였다. 날이 열흘이 못되어 이른 것이 두 세 번이라 그 뜻이 더욱 부지런하여 이에 그 뜻에 감동하였고 또 대대로 집안의 우의가 더욱 중하였다. 곰곰이 생각하니 휴계선생과 우리 돈암(遯菴) 선조가 같은 조정에서 의리를 함께 지켰고 일이 있던 날 남쪽으로 내려와 자정(自靖)하였으니 그들의 선조를 위하는 정성에 그지없는 부끄러움을 느낀다. 분수에 넘침을 무릅쓰고 글을 적어 보내면서 다음과 같이 이른다. “이곳에서 모이고, 이곳에서 노래하고, 이곳에서 놀이하니 군자가 거처하는 곳이다. 예로써 섬기고 예로써 접대하고, 예로써 제사 드리니 사람 도리가 마땅하도다.”
광복(光復)이 된 뒤 처음 정묘년(1985) 유화절(流火節 : 7월)에 달성(達成) 서정계(徐庭桂)가 짓다.
주석
▶전희철(全希哲) : 전희철(1425-1521). 본관은 옥천(沃川). 자는 원명(原明), 호는 휴계(休溪).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단종이 왕위를 빼앗기자 낙향하여 절개를 지켰다.
▶영월(寧越) : 조선의 제6대 왕 단종의 유배지. 단종이 상왕에서 노산군으로 강봉(降封)당한 뒤 영월의 청령포에 유배되었다가 관풍헌에서 사약을 받고 장릉에 묻혔다.
▶공로 : 본문의 유후(裕後)는 수유후곤(垂裕後昆)을 줄인 말로, 훌륭한 도(道)를 후손에게 물려줌을 뜻한다.
▶망일당(望日堂) : 전개(全漑). 본관은 옥천(沃川). 호는 망일당(望日堂). 휴계(休溪) 전희철(全希哲)의 증손이다.
▶설월당(雪月堂) : 전익희(全益禧). 본관은 옥천(沃川). 호인 설월당(雪月堂). 휴계(休溪) 전희철(全希哲)의 5세손.
▶칠성루(七星樓) : 전희철(全希哲)이 살아서는 단종(端宗)이 유배된 영월(寧越)을 생각하며 북극성을 중심으로 도는 북두칠성(北斗七星)을 받들고, 죽어서는 칠성산에 묻힌 그의 사적에서 5대손 전익희(全益禧)가 칠성루라 하였다.
▶보답 : 『예기』 『교특생(郊特牲)』 진씨(陳氏) 주에 “보본은 뿌리인 조상에게 제례(祭禮)로 보답하는 것이고, 반시는 마음으로 추모하는 것이다.” 하였다.
▶있도다.” : 선대에서 이루어놓은 업적을 잘 이어 나가기를 힘썼다는 뜻이다. 『서경』 『대고(大誥)』에 기를 “그 아버지로 일을 신중히 처리하는 이가 기꺼이 ‘내 후손이 있으니 기업을 버리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하겠는가.” 하였다.
▶돈암(遯菴) : 서한정(徐翰廷 1407-1490). 본관은 달성(達城). 호는 돈암(遯庵). 사마시에 합격하지만 단종(端宗)이 양위하고 세조가 즉위하자 가족을 이끌고 소백산(小白山)에 은둔(隱遁)하였다. 저서로 『돈암일집(遯庵逸集)』이 있다.
▶자정(自靖) : 어지러운 현실을 떠나 의(義)를 지켜 도학(道學)에 매진하는 일로 일종의 은거를 가리킨다.
休溪齋舍及七星樓重修記
當宁端宗朝。故靖義臣休溪先生。棄官南下。遂隱居于剛州治之南休川里。終其年而窆于居之東七星山。卽先生當日。登山望越而痛哭處也。其樹德裕後之功。深且遠矣。而世有仁明者。繼繼承承。知而能闡其先。世有美事也。噫。先生之孫。有松坡公。使其胤望日堂公 創建齋舍。以爲祭享之所。嗣而葺之。五代孫有雪月堂公。追慕先生遺蹟。又創建七星樓而扁美之。一區龍上洞。乃沃川氏之世庄而不換三公。此江山也。龍洞雲深璞峰毓。雲仍布濩。圭組蟬聯。累百載不絶。其流澤之在子孫者無窮也。齋舍旣成。後孫追慕列先祖。以參奉公松坡公望日堂公雪月堂公。並祭而享之。修墓之具。香火之奉。旣久而愈備。非先生之積德深仁。垂庥錫羨於後。曷足以食報於無極。而不有裔孫之賢孝文。烏能追遠反始。以盡報本之誠哉。盖有舍則記。有樓則記。前人之述備矣。歷年屢百。舍已舊矣。樓亦古矣。修飾保護之。惟勤者。其後孫。河禹祥鎬甫。起廢補弊。益爲永久之圖。以休溪齋舍。曁七星樓。已指定於文化財。而蒙其澤者。玆侯崔祥鍾之力亟多矣。河禹君損其私貲。以助用費。一新其制而輪焉奐然。此用力偉矣。誠意勤矣。祖先之靈。其肯曰。余有後乎。嗟夫。人之於祖先。世代漸遠。則愛慕之意易衰。故傳曰。遠者。人之所忘也。而能追之厚之至也。此二子者之謂哉。今玆重修未畢。大河河國甫。來囑庭桂一言記之。不佞辭之。日未浹旬。至者再三。其意益勤。乃感其意。而且世誼之彌重。窃念休溪先生與吾遯菴先祖。同朝秉義。卽日南下而自靖焉。其爲先之誠。感愧無已。蒙其僭越。書而歸之曰。聚於斯。歌於斯。遊於斯。君子之攸宇。事以禮。接以禮。祭以禮。人道當然。
光復後一丁卯流火節。達成徐庭桂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