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은 "무삼", 가운데는 빛내지 않은 "생냉이", 오른쪽은 빛낸 "생냉이" 입니다
예로부터 안동고을에서 나는 삼베로 "생냉이"인 것을
다른 지방 사람들이 안동포 라고 해 온 것입니다.
생냉이는 안동사람들이 그곳의 독특한 삼 곧 겉껍질은 훑어내고
속껍질만을 생으로 즉 날로 길쌈해서 짜맨 삼베를 말합니다.
또한 생으로 길쌈해서 생냉이가 나왔으니 익혀서 길쌈한 "익냉이"도 안동에 있습니다.
또 익냉이로도 거칠고 억센 삼으로 올이 굵게 길쌈한 "무삼"도 있습니다.

여기서 익힌다는 말은
삼의 섬유를 콩깍지나 서속대(기장이나 조의 대) 같은 것을 태워 낸 재와
그 잿물로나 사람 소변으로 또는 양잿물로
마전(표백)하여 빛깔을 밝게 하고 감촉을 부드럽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경상북도 안동 지방에서 생산하는 베를 안동포, 삼베, 계추리베, 생내기 라고한다
안동포의 특징은 올이 가늘고 고우며 빛깔이 붉고 누렇다.
조선 초기 이래 대표적인 서민용 옷감으로 조선시대에 궁중 진상품이기도 했다.
연한 황색의 극세포(極細布)이며 한여름의 남자옷인 고의·적삼 등에 쓰였다.

안동포 적삼

생산과정의 그림은... 다음과 같다.
--대마파종--

대마가 자라는 모습.



대마수확.

삼굿에서 삼찌기--

삼껍질 벗기기


계추리 바래기--계명성과 게밥바라기와 게밥--


삼째기--삼칠일과 세 이레.(공기:돌/공기돌 놀이)

삼삼기. 삼성기?

베날기--

|
▲ 할머니의 손삼베를 손질하는 할머니의 손
|
▲ 안동포한올 한올 할머니들의 손길이 있어야 포가 만들어진다.
| | |
그렇게 한올씩 정리된 삼베는 타래에 감기고, 이내 할머니들의 빠른 손놀림에 삼베를 감은 타래는 볼록해진다.
|
▲ 물레정성껏 손질된 삼베는 물레를 통해 거듭난다.
| | 그렇게 모여진 삼베타래는 물레를 통해서 씨줄과 날줄을 만들어갈 수있게 된다. 이런 한 과정 한 과정은 지난할 정도로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빠름의 시대에 이렇게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요하는 것들이 쇠퇴하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든다.
그러나 당장 빠르고, 좋은 것만 선택하다가 잃어버린 것들 중에서 그 빠름과 좋은 것보다 더 소중한 것들이 얼마나 많은가!
한번 잃어버리면 다시는 되찾을 수 없는 소중한 것들을 너무 쉽게 자본의 논리로 내쳐버리는 현실이 마음 아프다.
|
▲ 안동포용도에 따라 재단되어 사용될 것이다.
| | |
--베메기--



천년을 두어도 변질되지 않고 좀이 쓸지 않는다"
→ 땀을 빨리 흡수하고 빨리 건조시킨다.
→ 통풍이 잘되어 시원하다.
→ 마찰에 대한 내구성이 커서 질기고 수명이 길다.
→ 빛깔이 곱고 윤기가 있어 외관상 우아하다.
→ 열전도성이 커서 시원한 느낌이 좋다.
→ 물에 대한 강도가 커서 세탁시 손상이 적다.
→ 고밀도로 형태변화가 거의 없다.
→ 천년을 두어도 변질되지 않고 좀이 쓸지 않는다
예로부터 안동고을에서 나는 삼베로 "생냉이"인 것을 다른 지방 사람들이 안동포라고 해 온것입니다.
생냉이는 안동사람들이 그곳의 독특한 삼 곧 겉껍질은 훑어내고 속껍질만을 생으로 즉 날로 길쌈해서 짜맨 삼베를 말합니다. 또한 생으로 길쌈해서 생냉이가 나왔으니 익혀서 길쌈한 "익냉이"도 안동에 있습니다. 또 익냉이로도 거칠고 억센 삼으로 올이 굵게 길쌈한 "무삼"도 있습니다.
여기서 익힌다는 말은 삼의 섬유를 콩깍지나 서속대(기장이나 조의 대) 같은 것을 태워 낸 재와 그 잿물로나 사람 소변으로 또는 양잿물로 마전(표백)하여 빛깔을 밝게 하고 감촉을 부드럽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왼쪽은 삼꽃, 오른쪽은 삼씨입니다. 삼꽃은 숫그루에만 피고 열매는 암그루에만 맺힙니다

|

|
① 정선종 대마를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한다.
② 삼대를 물에 담그거나 쪄서 말린다.
말린 삼대를 필요에 따라 12시간 물에 불렸다가 껍질을 벗긴다.
③ 벗겨서 말린 삼껍질을 손톱으로 째는데 이때 안동포의 섬세함의 정도가 결정된다.
④ 삼을 삼은 다음 물레에 올려 날실다발을 만든다.
⑤ 날실에 좁쌀풀을 먹인다.
⑥ 베틀에 얹어 제직한다.
현재 안동포짜기는 경상북도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배분령(裵粉令)이 기능보유자이다

삼껍질을 톱판에 대고 삼톱으로 훑는 과정
왼쪽사진 : 삼굿에 쪄낸 삼대(왼쪽), 훑기 전의 삼껍질(가운데),
삼껍질을 벗겨내고 남은 겨릅대(오른쪽)입니다
가운데사진 : 겉껍질이 훑어지지 않고 그냥 말려지는 "무삼"이고
이것으로 길쌈하여 나오는 삼베도 "무삼"입니다.
삼베로 짜여지기까지 여러번 물속에 넣어야 하는 것이어서 무삼이라 부른다고 합니다.

삼올을 바디 구멍에 꿰어 도투마리에 연결 짚불을 피워 솔로 메고 있는 모습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할매
안녕하세요?
경상북도 안동 지방에서 생산하는 베를 안동포, 삼베, 계추리베, 생내기 라고한다
안동포의 특징은 올이 가늘고 고우며 빛깔이 붉고 누렇다.
조선 초기 이래 대표적인 서민용 옷감으로 조선시대에 궁중 진상품이기도 했다.
연한 황색의 극세포(極細布)이며 한여름의 남자옷인 고의·적삼 등에 쓰였다.
생산과정은 다음과 같다.






안동포 한 필이 짜여지기까지
학가산을 감돌던 소나기가
낙동강 강나루를 건너 서면
풍산 들 살찐 흙내가
물씬 피어오르고
그 짙은 흙내를 맡고
길 넘어 자란 삼밭이
파도처럼 설레인다
“어허, 벌써 삼을 쪄야 안 되겠나.”
“그렇지러, 하짓날도 낼 모레잉께.”
할아버지들은
강 너덜에 삼굿을 마련하고
푸나무를 태워 돌자갈을 달구었다
삼굿에 쪄낸 삼은
껍질을 벗겨서
가닥가닥 물에 적셔
삼톱으로 톺아 내면
살결 고운 지추리가
새하얗게 윤이 난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지
그야 다시 이를 말인가
어머니들은 두레를 시작한다
정월대보름날 은실 달빛 아래
놋다리 밟기하던
아래뜸 처녀들도
사월 초파일 부처님 오신 날
봉정사 대가람 찾아
탑돌이 하던 위뜸 할머니들도
마당에 멍석 펴고 지게뿔에 초롱 걸고
지금은 두레삼 삼기에
입술이 부르트고
무릎엔 피가 맺힌다
어느덧 밤은 삼경
서낭당 영마루에 북두성도 졸고
먹물 장삼 끌며 극락 정토 가는 길에
잠시 큰 걸음 멈추신
제비원 미륵불
그 어깨 높이
스무사흘 달은 뜨는데
삼 광주리는 언제 다 채워지나
두레꾼들은 길쌈 노래로 졸음을 잊는다
그래, 수많은 낮밤을 새운
삼 광주리는
모래를 쓰고 마당에 줄을 서고
날틀에 걸려 가닥가닥 합쳐지면
돌곶에 감아 베 날기를 마친다
새터 할매의 베 매시는 솜씨
된장과 조당수를 이겨 바르고
솔로 빗겨 벳불에 말려내면
눈부신 햇살이 올올이 스며들고
청량산 흘러내린 솔바람에 실려
도산 서원 전교당의
낭랑한 글소리도
모두 함께 와서 도투마리에 감긴다
도투마리가 베틀에 오르면
베틀은 온 몸이 살아서 움직인다
용두머리 고운 소리에 맞춰
눈썹대가 오르내리고
잉앗대가 갈라 주는 날실 사이로
북이 날고 바디집이 내리치고
한두실에서 대밭골에서
골골마다 집집마다
-- 딸그락 찰칵! 째그락 딸깍!
베 짜는 소리 그것은
-- 깡깡 쾡자작! 징징 쿵더쿵!
하회 탈춤의 정겨운 가락과 함께
굽이굽이 사랑을 다듬어 엮는 소리
뜨거운 소망을 끝없이 풀어 내는 소리
고을 전체가 하나의 공장이었다
안동 웅부 --크나큰 삼베 공장
다 짜낸 베는 상계를 내야 한다
겨릅이나 콩깍지 잿물에 적셔
가마에 쪄서
물에 헹궈 빨랫줄에 걸면
주름주름 황금빛이 눈부신
사십 자 안동포 한 필은
골 안에 가득 무지개가 된다
아! 얼마나 큰 정성인가
선녀님 날개옷인들 이보다 더할까?
안동포 삼베 한 필 그것은
영원한 안동의 서정이며
자랑스러운 우리 민족의 슬기였다
<’77. 9. 1. 소년한국일보> 에서 옮겨 옴. |
천년의 맥으로 만든 진품 『안동포 수의(壽衣)』 |
|
|
| -->
| |
|
|
수의(壽衣)시장에서 도처에 국내산 진품을 가장한 중국산 제품들의 난무로 소비자들이 혼란을 겪고 있는 이때에 복제방지택과 지리적표시등록 그리고 품질보증서로 무장한 진품 안동포를 원단으로 수의와 생활한복을 만드는 곳이 있어 진품을 찾는 소비자들에게 호평을 받아 전국에서 찾는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

|
|
동안동농협(조합장 심영한) 임하지점(지점장 이종원)에서는 관내 안동포의 본고장인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생산한 안동포를 위탁 수매해, 전국에서 유일하게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여 생산농가들에게는 생산의욕을 고취시켜 명맥을 유지시키고, 소비자들에게는 진품의 안동포를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판매함으로서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만족을 주고 있다.
특히 올해는 ‘윤달에는 송장을 거꾸로 세워도 탈이 안 난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집수리, 이사, 자녀 혼례 등 어떤 일을 해도 탈이 없으며, 특히 ‘부모의 수의를 만들어 두면 좋다’는 풍습이 있는 윤년이어서 고가의 진품 안동포로 만들어진 수의의 판매고가 급상승하고 있다.
|


|
|
안동시 관계자에 의하면 현재 안동에서는 평균 20여ha에서 안동포의 원료인 대마를 경작했으며, 안동포의 본고장인 임하면 금소리에서는 5ha에서 1,500여필 정도가 한해 생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동안동농협에서는 바로 이 ‘금소리’일대에서 생산되는 1500여필 가운데 1000여필을 위탁판매하고 있으며, 안동포 마을에서 생산되는 진품안동포임을 식별할 수 있게 복제방지 홀로그램과 지리적표시 특산품스티커를 함께 부착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농협이 종자 공급부터 전체 생산과정을 개별 관리함으로써 전통적으로 이어온 품질을 유지시키고, 안동포 생산 특성상 최종 생산자인 고령의 할머니들이 하기 어려운, 판매를 책임짐으로써 생산에만 전념할 수 있게 도와주고 있다.
안동포 구입 문의처 : 동안동농협 임하지점(www.imha.co.kr) 054)822-9991~3
<안동포에 대해>
안동포는 신라 선덕 여왕(632~646년)때 신라 6부 아낙네 들이 가배절 베짜기 경기에서 최우수품으로 뽑혔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일제시대에는 안동마포조합까지 설립돼 안동의 특산물로 명성을 떨치기도 했다. 안동포가 이처럼 천여년 동안 우리나라의 고유 옷감으로 인정을 받아 올 정도로 품질이 우수한 것은 낙동강유역의 안동지역 토양이 사질토로 배수가 잘되 대마재배에 알맞을 뿐 아니라 주변이 산으로 들러 싸여 강풍을 막아주기 때문에 질 좋은 대마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동포는 대마수확에서 색내기까지 모두 13가지의 공정을 거쳐 완성되며, 이모든 과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며, 종류는 6새에서 15새(보름새라고도 함)까지 나누어진다. 조선시대 진상품이었으며, 제일 가늘고(사람머리카락 굵기) 윤기 있는 것이 15새며, 이 보름새 안동포를 짜는 기술이 최고경지로 꼽히고 있다. ‘안동포 타운’ 관계자에 의하면 현재 11~12새 정도의 안동포는 한해 3필 정도만 생산되고 있으며 판매는 하지 않고 생산자가 전시용(展示用)이나 보관용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전했다.
◈ 필(筆) : 폭이 35~36cm, 길이가 40자(22m)인 안동포를 1필이라고 하며 보통 1자라고 하면 30.3cm이지만 삼베를 잴 때 쓰는 자는 55cm를 기준으로 사용함.
◈ 새(升) : 80가닥의 올로 올의 가늘고 굵음을 뜻하며 1새는 80가착의 올을 말한다. 즉 같은 폭에 들어가는 올의 개수를 의미함. 7새인 안동포의 경우 폭36cm안에 560올(7새*80올)이 들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함. 새가 클수록 시간과 정성이 많이 담겨 옷감은 더욱 부드럽고 고급스럽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