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유교문화길 2코스(하회마을길) 도보기행
2015.4.18(토)
![](https://t1.daumcdn.net/cfile/cafe/250A824B553455832F)
안동 유교문화길 2코스(하회마을길)는 안동시 풍산읍 나바우길13 안동한지전시체험관에서 병산서원과
하회마을을 거쳐 현외삼거리 유교문화길 안내센터까지 총거리 13.7km입니다.
우리는 안동한지전시체험관에서 병산서원까지는 생략하고 병산서원에서 하회마을을 거쳐 현외삼거리까지
걷기로 했습니다. 현회마을에 있는 안동세계인형박물관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하회마을입구 버스정류장에서
08시40분 시내버스를 타고 병산서원으로 갔습니다. 참고로 현외삼거리는 네비검색이 되지 않습니다.
네비검색은 안동세계인형박물관 으로 설정하면 될 것 같습니다. 하회마을입구(종합안내소)에서 현외삼거리를 거쳐
병산서원으로 가는 시내버스는 하루 3회 ((08시40분(08시25분에서 변경되었음), 11시40분, 15시10분))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0CBE3E5534686204)
버스시간표에 대한 보충설명을 하자면,
하회마을입구(하회장터) 종합안내소에서 08시40분 출발하는 버스가 병산서원으로 갔다가
09시10분에 병산서원을 출발하여 09시 20분 하회마을을 경유하여 안동으로 나갑니다.
하회마을입구(하회장터) 종합안내소에서 11시40분 출발하는 버스가 병산서원으로 갔다가
12시10분에 병산서원을 출발하여 12시 20분 하회마을을 경유하여 안동으로 나갑니다.
하회마을입구(하회장터) 종합안내소에서 15시10분 출발하는 버스가 병산서원으로 갔다가
15시40분에 병산서원을 출발하여 15시 50분 하회마을을 경유하여 안동으로 나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22D4C3E5534686439)
하회마을입구 버스정류장은 안동세계인형박물관에서 현외삼거리 방향으로 조금 가면 있습니다.
효부골마을을 지나면 버스는 병산서원까지 좁은 비포장도로를 덩컬거리면서 달립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210BD3E5534686602)
병산서원은 사적 제260호로 지정된 서원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10DA3E5534686802)
![](https://t1.daumcdn.net/cfile/cafe/256E783E5534686B13)
<병산서원 - 복례문>
![](https://t1.daumcdn.net/cfile/cafe/220F2E3E5534686D03)
<병산서원 - 만대루>
![](https://t1.daumcdn.net/cfile/cafe/2309C73E5534686E06)
![](https://t1.daumcdn.net/cfile/cafe/210E713D5534687003)
![](https://t1.daumcdn.net/cfile/cafe/2507CE3D5534687307)
<병산서원 - 광영지>
![](https://t1.daumcdn.net/cfile/cafe/276D3D3D5534687613)
병산서원의 박태기나무에 꽃이 피었는데 가지뿐만 아니라 줄기에도 피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4DC33D5534687827)
<병산서원>
![](https://t1.daumcdn.net/cfile/cafe/22736C3D5534687B10)
<병산서원 앞에서 바라보는 만대루와 병산풍경>
![](https://t1.daumcdn.net/cfile/cafe/24724E3D5534687D11)
<만대루>
![](https://t1.daumcdn.net/cfile/cafe/260BDE3D5534687F05)
만대루에 올라 낙동강과 병산을 바라보는 풍경이 으뜸인데 만대루는 올라갈 수 없는 통제구역이라는게 아쉽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7AAD3D553468810D)
만대루 앞에서 바라다본 복례문과 병산풍경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779A3D553468830F)
복례문 입구에서 병산과 낙동강 풍경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63CC3D553468861A)
병산서원앞 낙동강변 의자에 앉아 차 한잔의 여유와 담소를 즐기고 히회마을로 이어지는 유교문화길을 따라 걷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0FFB3D5534688A03)
하회마을길은 느티나무가로수길로부터 시작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53EC415534970C05)
![](https://t1.daumcdn.net/cfile/cafe/2402D5415534970F36)
화악서당입니다. 문이 잠겨 있어 겉모습만 보고 되돌아 나왔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2AF141553497111F)
병산서원에서 하회마을까지 가는 동안 자연스럽게 핀 복사꽃이 함께 했습니다. 봄길은 꽃길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01D6415534971335)
길은 화산자락의 비탈길로 이어집니다. 그야말로 토끼비리길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1BD4415534971527)
데크계단길을 내려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24FB415534971722)
병산서원 1.3km지점의 쉼터입니다. 병산서원에서 이 지점까지는 그냥 강변길을 따라 걸을 수도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0EED415534971931)
임도를 따라 걸으면서 조망되는 낙동강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53983E5534971B0A)
화산의 중턱을 넘는 임도길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2FB13E5534971D20)
거묵재쉼터(정자)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42EE3E5534971F13)
거묵재쉼터에서 낙동강 조망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56D83E5534972108)
<분꽃>
![](https://t1.daumcdn.net/cfile/cafe/2739513E553497231B)
![](https://t1.daumcdn.net/cfile/cafe/2232EA3E553497241F)
낙동강 둑방길을 걷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2FCB3E553497261E)
하회마을에 왔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5386425534972813)
<고사목>
![](https://t1.daumcdn.net/cfile/cafe/22258D42553497292E)
<달봉이네 카페>
![](https://t1.daumcdn.net/cfile/cafe/21367A425534973227)
<충효당>
보물 제414호. 조선 선조 때의 문신 유성룡(柳成龍)의 고택으로 비교적 원래의 모습을 잘 남기고 있다.
묘좌유향(卯坐酉向)으로 자리잡은 이 주택은 서향 전면으로 줄행랑채를 두고
그 안쪽으로 ㅁ자모양의 안채와 一자모양의 사랑채를 연이어 건축하였다.
하회마을은 북촌과 남촌으로 나뉘는데 북촌에는 양진당, 남촌에는 충효당권역입니다.
충효당 글씨는 전서체라고 합니다.
전서체 충(忠)자는 임금이 단상에 앉아 있고, 단상아래에 신하(양반)들이 도열해 있고,
그 아래에 승지가 사초를 기록하는 형상이라고 합니다.
전서체 효(孝)자는 허리가 굽은 부모를 자식이 업고 있는 형상이라고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28A6425534972D2E)
고택에는 온갖 꽃들로 치장을 하고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2803425534973030)
<충효당에 있는 만지송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2455425534973432)
<안동 양진당>
보물 제306호. 계좌정향(癸坐丁向)으로 배치된 이 집은 풍천 유씨의 큰 종가로
행랑채ㆍ사랑채ㆍ안채가 연속되어 건축되어 있으며, 사당만이 따로 독립되어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5732425534973912)
하회마을길은 아름답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5E05425534973A0F)
<삼신당>
하회마을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600년 느티나무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227D425534973C33)
어린시절 농촌에서 늘상 보았던 것들인데 지금은 희귀한 풍경이 되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5577425534973E12)
마을안길을 이리저리 발길 닿는대로 걸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52853F55349EF221)
하회마을버정류장은 하회마을안에 있습니다.(하회종가길40-1번)
병산서원으로 가는 버스를 타려면 하회마을입구 하회장터까지 가야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5AD5425534974110)
낙동강변에서 바라보는 부용대 전경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35EB3E553497441E)
천연기념물 제473호로 지정된 만송정숲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400D3E5534974516)
나룻배를 타고 강을 건너 부용대로 가기위해 나룻터로 갔습니다.
그런데 이게 왠일입니까? 나룻배를 운항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로인해 여행계획이 완전히 뒤틀리고 말았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4565425534974014)
하회장터로 가는 길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48483E5534974812)
하회마을에서 하회장터까지 무료셔틀버스가 운행되기때문에 걷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관광객들로 붐비는 하회마을에서 유일하게 호젖하게 걸을 수 있는 길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4C7A3E5534974A10)
물돌이교를 건넙니다.
하회장터에서 도로를 따라 걷습니다. 큰고개당을 넘어 현외마을에서 안동유교문화길 2코스(하회마을길)도보를 마칩니다.
(14시에 현외마을 안동세계인형박물관에 도착하여 곧바로 3코스(구담습지길)도보를 시작합니다.)
첫댓글 와~~진심 멋진곳 많이 다니시네요~~정말 멋집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 좋은 길 함께 걸을 수 있기를 기대하겠습니다.
박태기나무에 핀꽃이 이색적이네요...
나룻배를 타지못해 일정이 여의치 않으셨음에도 멋지게 다녀 오셨습니다
네. 저도 박태기 줄기에 핀 꽃을 눈여겨 본 건 처음이었는데 아름답고 신기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