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선화에게
정호승 . 낭송 박운초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
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
눈이 오면 눈길을 걸어가고
비가 오면 빗길을 걸어가라
갈대숲에서 가슴검은도요새도 너를 보고 있다
가끔은 하느님도 외로워서 눈물을 흘리신다
새들이 나뭇가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움 때문이고
네가 물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움 때문이다
산 그림자도 외로워서 하루에 한 번씩 마을로 내려온다
종소리도 외로워서 울려퍼진다
정호승 시인
정호승 시인은 1950년 1월 3일 대구에서 태어났습니다.
대구계성중학교와 대륜고등학교를 나왔으며,
경희대 국문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했습니다.
1972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동시 <석굴암에 오르는 영희>,
1973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시 <첨성대>,
1982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위령제>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습니다.
[ 시집 ]
『슬픔이 기쁨에게』 『서울의 예수』 『새벽편지』
『별들은 따뜻하다』 『사랑하다가 죽어버려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눈물이 나면 기차를 타라』 『이 짧은 시간 동안』 등과
시선집 『흔들리지 않는 갈대』 『내가 사랑하는 사람』등을 내었으며,
산문집 『위안』『너를 위하여 나는 무엇이 될까』,
어른을 위한 동화집 『항아리』 『연인』 『기차 이야기』 『비목어』,
어른을 위한 동시집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어린이를 위한 동화집『바다로 날아간 까치』 『슬픈 에밀레종』
『산소처럼 소중한 정호승 동화집』 『물처럼 소중한 정호승 동화집』
등을 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