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기간이란
피임약 복용 기간
임신 회수가 많을 수록
초경이 늦을 수록
폐경이 빠를수록
즉 배란이 안되는 무배란 기간이 길수록 난소암 발생율은 감소한다.
3. 환경적 요인
석면과 활석
고지방식사, 커피, 학령기(12∼18세)의 유행성 이하선염, 홍역, 풍진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력, stibestrol과 같은 여성호르몬제의 사용, 골반 부위의 방사선조사
4. 기타
A형의 혈액형을 가진 여성에서 상피성 난소암과 전이성 난소암의 높은 빈도를 보인다
난소암을 가진 여성에 있어서 흔히 유방암, 자궁내막암, 유방과 난소의 양성질환,
자궁경부의 용종, 담낭질환, 갑상선질환, 비만과 고혈압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