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극념(全克恬)
[진사시] 인조(仁祖) 11년(1633)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26위(56/100)
[인물요약]
※【補】: 원본에는 없지만, 참고할 수 있도록 다른 자료를 인용하여 보여주는 내용입니다.
자 유안(幼安)
생년 1597년(선조 30)
본인본관 옥천(沃川)
거주지 상주(尙州)
[관련정보]
[이력사항]
부모구존 엄시하(嚴侍下)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식(全湜)〔文〕(주1)
품계 : 절충장군(折衝將軍)
관직 : 지제교(知製敎)
[안항:형제]
형 : 전극항(全克恒)〔文〕(주2)
서제 : 전극침(全克忱)
서제 : 전극항(全克㤚)
서제 : 전극징(全克憕)
서제 : 전극칭(全克𢜻)
[출전]
『계유식년사마방목(癸酉式年司馬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想白古 351.306-B224s-1633])

(주1) 전식[ 全湜 ]
조선 중기 문신. 정경세 · 이준 등과 산수를 유력하여, ‘상사의 삼로’로 불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적을 방어하였다. 1642년 중추부지사 겸 경연동지사 · 춘추관동지사에 이어 대사헌에 보직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식 [全湜] (두산백과)
(주2) 전극항[ 全克恒 ]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병자호란 때 예조정랑으로 왕명을 받고 서울을 지키다가 순절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극항 [全克恒]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