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전은 당나라 재상 두우가 편찬한 사서로 25사에 속하지는 않지만 그내용은 저자의 직위만큼이나 신뢰성을 갖고있다.
통전변방전 권186 동이2
自東晉以後, 其王所居平壤城, 卽漢樂浪郡王險城. 自爲慕容皝來伐, 後徙國內城, 移都此城. 亦曰長安城, 隨山屈曲, 南臨浿水, 在遼東南千餘里. 城內唯積倉儲器械, 寇賊至, 方入同守. 王別爲宅於其側. 其外有國內城及漢城, 亦別都也. 復有遼東·玄菟等數十城, 皆置官司以相統攝焉. 其地後漢時方二千里. 至魏南北漸狹, 纔千餘里. 至隋漸大, 東西六千里. 其國中書籍, 有五經·三史·三國志·晉陽秋·玉篇·字統·字林.
서진말 8왕의난이후 어지러워진 중원의 세력판도를 틈타 백제는 요서를 고구려는 요동을 경략하여 백제는 중원지역까지 진출하였다.장수왕때에는 한낙랑군 평양성인 현 하북영평부에 기거하였으며 동쪽으로 영역을 넓이기 시작해서 한반도전체를 영향권에 넣고 수나라때인 영양왕때 가장 큰 영토를 확보하였다고 하였다.
두우는 후한때 사방2천여리의 영토를 보유하였다가 북위때 동서가 좁아졌다가 수나라때 동서6천리의 대국이 되었다고 기록하고있다. 이를 현재 거리수로 환산하면 러시아극동해변에서부터 오르도스 포두시까지의 거리이다.

심제.
첫댓글 아참~조금더 욕심부리자면..요하면 요서보이고 요서보이면 저 빠오토우보 그 다음이 은천(銀川)..저 빠오토우의
사정거리엔 꼭 은천이 들어감. 곤륜신의 땅~ 서역서 동으로 오는 대상의 요충지..좌우는 사막 현재는 관개로 개발
되었지만 일부..통행세수입도 상당한 땅 은천서 밑으로 가면 중원이라 위험하여..요동무역 길목이라 은천, 빠오토
우는 무역중요거점 세관등 고구려라면 아니 요동,요서 정복한자 반드시 저곳, 그리고 은천의 중요성 알기에 국가
세수목적으로도 반드시 은천까지는 갔을것..방어도 유리한 지형~저곳은 겨울에 황하가 얼면 상류에 홍수가 나기
에 인민해방군 포병부대가 대포 포격으로 황하 얼음을 께는 장관도
그래서 국경의 선을 좀더 좌로 밑으로 은천까지 그러면 하서회랑을 자주 침범하게 되겠죠!! 곽거병 위청, 그리고
휴도왕 김일제 등이 왜 저곳 저변에서 역사에 등장하나를 알게 되는 국경선입니다. 좌로 좀더 은천까지 그려주세
요~~ 은천, 그리고 포두시가 중요한 진짜 이유는 바로 서역의 대상들의 東으로 향한 출발지라는 것. 은천을 내려
가서 난주,롱서의 하서회랑을 한번씩 건들면 당이 얼마나 긴장할지..대상들의 서역무역로불안이란 정신적 타격..
국가재정불확실..또한 당대 놀고먹던 수많은 황족들 뒷거래 밀수비자금 경로 불안등 주요인..돌궐땅이라고 가르키
죠!! 곤륜신이시여~~흉노들이 출정전에 곤륜신께 하던 의식~
맞습니다. 고구려가 서안을 공격했다는 고구려 사초사략의 기록이 맞을듯...
@心濟 예~이전 읽은 중국판 한무제책보면 한무제는 저 은천서 오는 흉노침공을 제일겁내 저곳에 한나라 고위
관료자제로 구성된부대와 흉노서 정치적인 이유로 투항한 흉노병들 저 지역 동심(同心),고원(固原)에 주둔시
키는..地名 뜻를 想一想. 위청이 흉노평정시 투항한 흉노가 한군의 차별에 흉노로 역투항해 서안으로 유철을
잡기위해 저 협곡을 통해 기습하다 한관료자제병에게 제지당하는..그일로 위청은 유철의 의심을 사게되고 곽
거병이 부상하는..암튼 적극 공세가 수비기에 包斗가면 은천밑까지 가야 함. 저 지역은 서안 최단거리기습로..
현재는 은천좌우로 사막지형에 길들이 많지만 고대엔 은천 좌우 10km 내만 이동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