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집 안마당의 박태기꽃/유유
나무에 더덕더덕 붙은 밥풀떼기 닮아
이름을 밥티나무라 했던가
아무리 배가 고프다고 해도
먹겠다는 생각 한 번도 해 본 적 없는데
밥풀꽃은 팝콘 변신 늘 유혹하려 했다
새봄 돌아와 붉은 밥풀꽃 피우면
시골 살던 곳 그리워진다
비록 집은 사라지고
박태기나무만 남아서 빈터 지키지만
밤이 되면 옛 요정들 몰려 들겠지
가을철 밥풀떼기 연명 위해
이때쯤 볍씨 담가야 하고
상토 넣어 모판도 만들어야 했다
비록 그날 저녁은 한 그릇 수제비라도
내일의 흰 쌀밥 꿈 꾸게 하였다.
박태기나무
밥알 모양과 비슷한 꽃이 피기 때문에 박태기라 하는데, 일부 지방에서는 밥티나무라고도 한다. 북한에서는 꽃봉오리가 구슬 같다 하여 구슬꽃나무라 하고 그리스말로는 Cercis, 즉 칼처럼 생긴 꼬투리가 달린다 해서 칼집나무라고 부른다. 또한 예수를 배반한 유다가 이 나무에 목매어 죽은 나무라고 하여 유다 나무라고도 한다.
박태기나무는 아주 옛날 중국에서 들어온 낙엽활엽관목으로 키가 3~4m까지 자란다. 추위에도 잘 견디고 햇빛을 좋아하며, 특히 콩과식물이기 때문에 땅이 비옥하지 않은 곳에서도 뿌리로부터 질소를 고정하여 잘 살아갈 수 있다. 박태기나무가 절 주위에 많이 심겨져 있는 것은 옛날에 스님들이 중국을 왕래할 때 들여온 것으로 추정되나 지금은 시골 어느 곳에서도 흔하게 눈에 띄는 꽃나무다. 진홍빛 작은 꽃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어서 매우 화려하고 모양이 독특하여 정원이나 공원에 다양한 꽃 색을 갖추는데 훌륭한 소재가 된다. 또한 잎 모양도 둥글고 윤기가 나서 관상가치가 있고, 꽃이 지고 나면 10cm쯤 되는 꼬투리 모양의 열매 또한 보기가 좋다.
박태기나무 줄기나 뿌리껍질은 한약재로 쓰인다. 삶은 물을 먹으면 이뇨작용을 잘해 주어 소변이 안 나오는 사람한테 탁월한 효험이 있고, 중풍 · 고혈압 또는 대하증 등 부인병에도 효과가 있다. 목재 또한 소방목이라고 해서 약제로 쓰인다. 박태기나무 꽃에는 약간의 독성이 있어서 꽃잎을 따서 씹어보면 아린 맛이 나며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번식은 가을에 콩꼬투리 모양의 열매 속에 크기가 7~8mm 되는 황록색 종자를 채취해서 그대로 파종하거나 젖은 모래와 섞어서 물이 잘 빠지는 곳에 노천 매장했다 봄에 파종하면 되며, 포기나누기로 번식할 수도 있다. 특히 박태기나무는 실뿌리가 잘 나오지 않기 때문에 옮겨 심을 때 주의해야 하고, 가을에 낙엽이진 뒤에 전정을 해주면 이듬해 좋은 꽃을 볼 수 있다.
첫댓글 꽃 이름이 궁금했었는데 ㅎㅎ 박태기꽃이네요 정말 화려합니다 ㅎ
조금 지나면 떨어지기 시작할 것 같습니다.
아~~, 박태기꽃이 이름인가 보네요.
주인님, 안녕하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