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기 이야기를 하다가 잠시 옆길로 들어서서 오늘은 송서(誦書)율창(律唱)에 관한 이야기를 잠시 해 보도록 하겠다. 2012년 9월 25(화) 13;00부터 서울 삼성동 소재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에서는 이름도 낯설은 “송서(誦書)율창(律唱)의 재조명”이라는 주제로 전국학술대회가 열린다.
송서(誦書)란 무엇이고 율창(律唱)이란 무엇인가? 송서란 주로 고문(古文)이나 옛 소설과 같은 글을 읽을 때에 밋밋하게 읽는 것이 아니라, 높낮이를 조화롭게 연결하며 구성지게 낭송하는 것을 말한다. 조선시대 말엽까지도 글공부하던 선비들은 책을 읽을 때, 고저를 살려 노래하듯 책을 읽었기에 옆에서 듣던 사람도 재미있게 들을 수 있었고, 본인도 글 읽는 것이 싫증나지 않아 계속 읽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율창, 혹은 시창이란 말은 한시(漢詩)를 긴 가락에 올려 부르는 노래를 말한다. 여기 율창의 율(律)은 음(音)이다. 곧 율려(律呂)이다. 율려는 음의 높고 낮은 고저를 구별하는 음이다. 서양음악의 12반음이 있듯이, 전통국악에도 황(黃), 태(太) 중(仲)등 12음이 쓰이는데, 이를 12율려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시창이란 말은 시(詩)를 노래한다는 말이기에 일반적인 노래의 의미이다.
이러한 송서, 혹은 율창이나 시창은 큰 소리로 책을 읽어 나가는 독서성이나 시낭송에서 출발한 음악 양식이라 하겠다. 그런데 송서나 시창을 들어보면 그 창법이나 가락이 마치 시조창을 비롯한 가곡이나 가사와 같은 점잖은 정가의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그래서 음악적 요소들이 상호 동질성을 지니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이다.
다만, 시창은 한글로 된 시형을 노래하는 것이 아니고 반드시 한시(漢詩)를 일정한 장단 없이 긴 가락에 올려 부르는 노래인 것이다. 시를 노래하는 것은 일반 다른 노래와 별반 차이가 없으나 시의 형태가 한문으로 된 것이 다르며, 그 시의 형태도 대부분 7언이나 5언으로 짜인 한문시에 고저를 넣어 부르고 있는 독특한 장르인 것이다.
본 학술대회의 개회사에서 필자는“송서 율창의 확산운동이야말로 건전한 문화생활의 시작”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우리가 공감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송서나 시창은 국문학적으로, 또는 음악학적으로 선비문화의 대표적 유산임은 재론할 여지가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자가 극히 적고, 문헌 및 음반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아직 그 실체에 관한 접근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상황은 국악계나 음악교육계에도 그 영향을 미쳐 전문가의 양성과정은 전무한 상태이며, 국악애호가나 일반인의 관심 밖 장르로 남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이 종합적으로 장애가 되고 있어서 송서나 율창이 오늘날 한국의 전통음악으로 자리매김하는데 있어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다행히 이문원(李文源)의 삼설기(三說記)나 짝타령 등의 송서가 묵계월 명창에게 전해졌고, 이와 함께 여러 편의 시창이나 율창이 김월하, 묵계월, 김여란 등 당대 최고의 정가, 민요, 판소리의 명창들을 통해 그들의 제자와 일부 한학자들에게 전해져 오고 있기 때문에 오늘 우리는 송서가 무엇이고 시창이 어떤 형태로 불러나가는가 하는 점을 이해하게 된 것이다. 참으로 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또 하나 다행인 점은 서울시가 송서 및 율창을 <서울시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유창씨를 예능보유자로 인정하여 그 보존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명맥을 이어가는 것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는 일이고, 송서나 시창과 같은 멋있고 격조 있는 소리들을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이고도 유연한 확산방안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러한 분위기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국문학자와 국악학자, 관련 대학의 교수, 실기전문가, 애호가 그리고 관련분야의 구성원들이 보급이나 확산운동에 동참해야 될 것이다.
송서나 시창을 들어보면 정가의 깊은 창법을 요하고 있고 느긋한 한배로 이어가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또한 부분적으로는 가곡의 긴 호흡으로 이어가는 장인굴곡의 가락이 들려지기도 하고, 가사나 시조창에서 흔히 들을 수 있던 유사한 선율구조와 요성, 시김새 등을 느끼게 된다.
책읽기를 게을리 하는 현대인들에게 송서나 시창의 멋을 알리고 이 운동이 확산되도록 우리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시점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송서나 시창은 가사(歌辭)나 시(詩) 자체도 좋지만, 여기에 가락을 얹는다면 금상첨화가 되는 것이다.
덧붙인다면 송서나 시창은 오랜 전통을 지니고 전승되어 오는 정가의 창법이나 호흡법을 익히지 않고는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노래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단순히 타인의 소리를 듣고 따라 부르기만 하면 되는 단순한 가락이 아니기 때문에 시조 한수라도 배운다면 쉽게 접근이 용이하다.
본 학회는 우리나라에 전해오는 송서 및 율창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특징적 의미를 되새겨 생활 속의 건전한 음악문화로 다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그 기초 작업에 앞장서 보고자 하는 것이다. 관련분야의 전문가, 명인명창, 그리고 애호가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에 감사를 드리는 바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