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양무리마을
 
 
 
 
 
카페 게시글
성경과신학 질문코너 Re:아주 먼 옛날 권정희님이 올리셨던 한 견해도 참고를...
holyjoy 추천 0 조회 179 07.02.02 00:36 댓글 14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07.02.02 00:38

    첫댓글 본게시판의 60번에 실려있군요~

  • 07.02.02 08:20

    창세기 1장을 보다보면, 늘 부딪히는 부분이 네째날의 큰광명, 작은 광명, 별들입니다. 지구적인 촛점으로 내려오다가 네째날에 오면 흐름이 갑자기 흐트러지는 것을 느끼곤 합니다. 아마도 많은 분들도 그러했을 것이라 여겨집니다. 헌데, 오랫동안 상고해온 저로서는 창1:14절에서 다시 하나님이 태양과 달을 창조하신 것이 아니라는 것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미, 대부분의 우주창조는 창1:1에서 창조되었으며, 창1:14절에서의 광명은 빛을 비추도록 만드시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 07.02.02 08:20

    대부분 큰광명을 태양 , 작은 광명을 달이라고 생각하시는 것 같고, 다만, 행성의 창조는 아닌, 광명한 빛을 '물의 흑암'인 지구에 비취게 하는 자전과 공전등의 운행에 관한 궤도를 정밀하게 다듬는 과정으로 이해를 해보면 창세기 1장이 좀더 세밀하게 다듬어 지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07.02.02 08:12

    그러다가, 다시 14절에서 갑자기 "별을 만드시고" 라고 나옵니다. 별을 만드는 것은 행성을 창조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또 흐름이 깨지는 것이라고 생각을 해왔습니다. 허나, 이제 생각해보면, 우주에서 별들은 지금도 만들어지고 있으니, 태양,달,별을 동시적으로 생각을 하는 것에 머무를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 07.02.02 08:16

    대부분 위의 도표로 창조에 대해 가르치고 있습니다. 참고 하시면 좋습니다.

  • 07.02.02 08:19

    네째날을 태양,달의 창조가 아닌, <<큰광명,작은 광명을 만드심>>으로 하는 것이 어떨까요?

  • 07.02.02 13:01

    제가 쓴 글이 아니라서.. ㅎㅎ

  • 07.02.02 08:16

    결론은 창1:1의 우주창조의 사역시 대부분의 태양계가 창조되었을 것이며(태양,지구,달 포함) 그외 태양계의 일부 별들과 태양계 밖의 별들을 계속해서 만드시는 우주창조의 법칙을 계속하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결국 별들의 빛(광명)까지도 지구의 궁창에 도달시킴으로 <<징조와 사시와 일자와 연한>>을 이룰수가 있었을 것입니다.

  • 07.02.02 08:17

    창1:14절이 매우 중요한 키인 것 같습니다.

  • 07.02.02 08:25

    만일, 위의 권정희님의 흐름과 제가 생각하는 흐름을 일치 시킬려면, 태양계가 지구가 먼저 창조되고, 나중에 태양,달이 창조되었다면 비슷한 흐름이 만들어 지는데, 글쎄요.....오늘날 과학을 100% 믿을수는 없지만, 지구보다 태양이 먼저 만들어 졌다고 보아야 할것 같은데,,,

  • 07.02.02 08:41

    참고로, 지구가 태양을 1회 도는데 1년인데 , 태양이 은하계를 1회 도는데 2억년이 걸린다고 하네요. 태양의 입장에서 보면 우리의 1년이 2억년이 되는 셈이네요...시간의 상대성을 비교하기 위해 자료삼아 메모해둡니다.

  • 07.02.02 12:18

    저도 하나로님과 같이 네째날의 큰 광명, 작은 광명, 별이 네째날에서 비로소 창조된 것이 아니라 창1:1절에서 창조된 것에 빛을 투영하도록 하여 지구에 비치게 한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것은 총신신대원의 히브리어 교수인 유지원교수의 견해이기도 합니다. 창1:1의 하늘은 지구를 포함한 우주 전체이며 땅은 지구자체를 의미하는데 이것이 2절부터는 지구자체를 중심으로 해서 창조사역의 기사가 진행된다는 것이죠.

  • 07.02.02 13:08

    뭐.. 요한계시록만 자꾸 생각나는게.. 좀.. /계 21:23 그 성은 해나 달의 비췸이 쓸데 없으니 이는 하나님의 영광이 비취고 어린 양이 그 등이 되심이라/ - -;

  • 작성자 07.02.03 06:40

    아예, 이집트의 신화들, 바벨론의 신화들과 이 창세기의 기록을 비교해 보는 것이 좀 더 많은 시삿점들을 가져오지 않을까요? 그런 신화들 속의 창조기록들에 대해서 일종의 아폴로제틱스로서의 창세기1장을 궁구해 보면 어떨지 싶은데...신화들을 모두 찾아봐야겠군요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