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1. 발간사 | 003 |
02. 족보수단 후기 | 004 |
03. 정선전씨 필구공 문중 장학회 취지문 | 006 |
04. 고려사에 등재된 선조(先祖) | 007 |
05.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 명부 | 016 |
06. 정선전씨 필구공 문중 세계도(世系圖) | 023 |
07. 정선전씨 필구공 문중 족보수단 자료 | 036 |
08. 족보수단 작성 연수 자료 | 225 |
09. 족보수단 작업 시 알게 된 연락처(2017년) | 237 |
10. 정선전씨 필구공 문중 명부(2012년) | 238 |
발 간 사
1990년 경오보 이후 30여년이 흘러서 새로운 대동보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2016년 05월 26일에 정선전씨 임하군파족보 수단 공고가 1차로 발표되었으며, 2017년 03월 26일에 정선전씨 임하군파 족보 수단 공고가 2차로 발표되었습니다.
2017년 05월에 문중이사회에 전국 임하군파 회장 전영래씨가 참석하여 족보 편찬 작업에 필구공 문중의 적극적인 참여를 권유하였습니다.
이에 우리 문중에서도 2017년 05월 29일부터 족보 수단 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족보수단 초안을 작성하여 2017년 07월 30일에 우리문중 화수회 및 장학금수여식에서 족보수단 연수를 진행하였습니다.
초안을 배부하고 교정하는 작업을 걸쳐서 마침내 전국 임하군파 종중에 제출할 족보수단을 완성하였습니다.
이는 우리 종인들의 적극적인 협조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우리 문중의 역사를 우리가 기록한다는 생각으로 학력이나 사회 경력을 기록하는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미래의 후손들이 우리 선대에는 사회에 어떻게 공헌하였는지 궁금해 할 때 떳떳하게 보여줄 수 있는 역사책이 완성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문중은 49세 필구公께서 3분의 형제를 두었습니다.
첫째 석모公에서는 2가구, 둘째 익모公 27가구, 셋째 학모公 49가구가 있고, 총인구수는 395명이고 강릉에 46.8% 경기에 22.8% ...분포되어 있음이 2012년도 총조사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번에는 약 160가구를 족보에 등재할 예정입니다. 정치인등 유명인물은 관보나 신문 등에 기록되지만, 보통 사람들은 기록이 남지 않는 현실입니다. 호랑이가 가죽을 남기 듯 2017년을 살아간 발자취를 족보에 남기는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번 2017년 족보수단 자료 작성을 계기로 우리 문중 종인간의 우의를 증진하고 종인들의 사업이 번영하기를 바랍니다.
2017년 10월 01일
정선전씨 임하군파 필구공문중 회장 전 우 찬
2017년도 필구공 문중 족보 수단 자료를 마감하면서
휴대폰으로 화상통화하고 서울 강릉 고속철도가 1시간 정도 걸리는 현시대입니다. 4차 산업혁명이 진행 중인 시대에 족보를 만드는 것이 시대를 역행하는 것이 아닌지 회의가 들기도 하였습니다.
종이 문서에서 usb 등 컴퓨터 저장매체로 변하였지만, 역사를 기록하는 중요성은 변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이 번 족보수단 업무를 보면서 기억나는 장면들이 있습니다.
핵가족화로 인하여 문중과 족보 관념이 희박해져서 꼭 참여해야 된다는 의식이 많이 옅어졌으므로, 참여 열기가 저조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남녀 구분하지 않고 1명 내지 2명을 낳으므로 더욱 기록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같은 고민을 안고 있는 서양에서도 족보 관념이 살아 있으므로, 우리도 아름다운 미풍양속을 계속 이어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광부로 독일에 가서 정착한 전찬광씨와 통화하고 E-mail로 족보수단참여를 권유하였고, 성덕동사무소와 한전, 이발소, 목욕탕 등을 방문한 것도 기억에 남습니다.
정선전씨 임하군파가 강릉에 크게 3문중이 있습니다.
강릉 필구공 문중[1990년 발간 경오보 331page 46세 時建 47세 楹 48세 矩黙 49세 弼龜] 강릉 병산 문중[1990년 발간 경오보 283page 46세 時萬 47세 德基 48세 天賚] 강릉 왕산 문중[1990년 발간 경오보 181page 46세 守春 47세 愛善 48세 繼洪]입니다.
강릉 병산문중에서는 「전상진」씨가 주로 족보수단 업무를 담당하였습니다. 강릉왕산문중에서는 「전상국」씨가 주로 족보수단 업무를 맡았으며, 우리 필구공 문중중심으로 왕산문중과 병산문중 족보수단업무를 함께 제출하자고 권유하고, 우리 문중 사무실을 중심으로 긴밀한 협조를 하였습니다.
우리 필구공 문중과 바로 윗대[46세, 47세]에서 연결된 왕산집들은 족보수단에 함께할 것을 권유하였으나[전찬복, 전찬각], 사정상 참여하지 못하였습니다.
또한 「전원표」씨가 선대를 찾지 못해서 우리 문중 사무실에 왔었습니다.
제적등본과 가족관계증명서 등 공부(公簿) A4 용지 약 30매와 수기로 작성된 가승((家乘)을 가지고 왔었습니다.
처음에는 잘 찾지를 못 했는데, 포기하려는 순간 1990년 발간 경오보 62쪽을 우연히 펴는 순간 이번에 가져온 수기로 작성된 가승(家乘)과 관련된 인물을 발견하였습니다.
이 순간이 기억에 남습니다.
족보 수단 업무를 추진함에 있어 교실 크기만 한 큰 사무실이 있어서 업무 추진하는데 궁색하지 않고 안락하게 사무를 볼 수 있었습니다.
이런 반듯한 회관을 쓸 수 있게 기반을 마련해 준 조상님들께 감사함을 꼭 표하고 싶습니다.
여러 가지로 바쁜 가운데 족보 수단에 협조해 주시고 따뜻한 격려해 주신 여러 종인들께 감사드립니다.
1. 족보수단 기간 2017년 05월 29일~ 2017년 09월 30일까지
2. 족보수단 장소 강릉시 남구길10번길 10
3. 실제 족보 수단 업무 시간 실제근무일자 60일×평균 3시간 근무= 180시간
4. 족보수단 사무인원 1명 [전과웅]
5. 재정투자 : 0원 [수단비를 받지 않았습니다. 참고로 석릉군파는 성인20,000원 미출가 아들 10,000원입니다.]
2017년 10월 01일
정선전씨 임하군파 필구공 문중 족보 편찬 위원 전과웅
‘정선전씨 임하군파 필구공 문중 장학복지회’ 설립 취지
우리 정선전씨 문중은 2000여년의 오랜 역사를 지내고 있습니다. 정직과 성실성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역사 발전에 참여해 왔습니다.
사회에서는 인재 중시의 철학을 근거로 미래 인재 양성에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우리 정선전씨 임하군파 필구公 문중에서도 인재가 사회발전을 선도하는 시대가 될 것을 대비하여 인재를 발굴하여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해 왔습니다.
문중의 번성과 사회 발전에 기여할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 우리 문중에 사회에 기여할 책무로 생각하고 장학복지회를 설립하기로 하였습니다.
본 장학회는 대상자 개개인의 발전을 도모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사회발전에 기여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종인들이 사회에서 봉사활동과 선행을 쌓아 우리 문중의 명예를 빛나게 할 때 우리 모든 종인들은 뿌듯한 자부심이 생길 것입니다.
자녀들에게 미래의 꿈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사회의 미래를 짊어질 인재를 육성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1990년족보[경오보] 356 page
세 순 | 입 력 내 용 | ||
54세 | 子 斗杓 두표 호적이름: 成洙 호: 承雩 생년월일: 1937년 11월 18일 강릉 生 성균관 전교 역임 配 密陽朴氏新惠 부: 朴炳夏 생년월일: 1942년 08월 09일 有 남2 여1 [燦亨 燦由 素映 ] | ||
55세 | 子 燦亨 찬형 호적이름: 允鎬 생년월일:1968년 07월 25일 강릉 生 고려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 전무이사 配 慶州金氏珉喜 부: 金敬勳 생년월일: 1971년 02월 23일 강릉生 연세대학교졸업 중·고등학교 교사 역임 有 남 1 여2 [ 永宰 志潤 洧娜 ]
| 子 燦由 찬유 생년월일:1970년 05월 12일 강릉 生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외교관 역임 配 全州李氏英恩 부: 李炳潤 생년월일: 1972년 12월 12일 진주生 서울대학교 영어영문과 문학박사 有 남1 여1 [ 承宰, 承熙 ] | 女 素映 소영 생년월일:1973년 07월 23일 강릉 生 서울대학교 졸업 치과의사 夫 配 安東金氏命鎬 부: 金基文 생년월일 1975년 04월 15일 창원生 서울대학교 졸업 有 여 1 [ 김선빈 ] |
56세 | 子 永宰 영재 생년월일: 1995년 02월 27일 분당 生 서강대학교 졸업
| 女 志潤 지윤 생년월일: 1993년 05월 28일 분당 生 연세대학교 졸업 | 女 洧娜 유나 생년월일: 1997년 11월 26일 분당 生 숙명여자대학교 재학
|
[경오보] 356 page
公簿에 의거한 2012年度
旌善全氏 臨河君派 弼龜公 門中 宗人 名簿
Q & A
[질문]
1990년 경오보 족보가 큰집에만 있어 보기 어려워 초안과 대조하기 힘듭니다. 어떻게 하면 경오보를 볼 수 있겠습니까?
[답변]
① 포남동 종친회 사무실에 14:00--17:00까지 방문하시면 볼 수 있습니다.
(2017.08.01.부터 08.15까지 월, 화, 수, 목, 금) 토요일 일요일은 근무 하지 않습니다. 08월 15일 이후에는 사전에 전화로 약속하면 열람 가능합니다.
② 인터넷 이용
정선전씨 다음카페 뿌리를 찾아서 [ cafe.daum.net/jeungseunjeun ]에 로그인하여서 검색창에 이름을 기재하여 검색하면 경오보를 볼 수 있습니다.
(예시: ‘전과웅’인 경우 이름만 기재하여 검색하여야 합니다. 『과웅』이라고 검색하면 족보를 볼 수 있습니다. 족보와 호적이름이 다를 경우에도 호적이름을 검색하면 찾을 수 있습니다. 호적이름이 ‘字’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질문]
초안에 이름이 한글로 된 경우 어떻게 하면 됩니까?
[답변]
한자와 한글을 병용할 예정이므로 한자를 넣어야 합니다. 순수한 한글로 된 이름은 한자를 넣지 않아도 됩니다.
[질문]
초안을 검토하고 제출하지 않으면 어떻게 됩니까?
[답변]
초안에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제출하여야 합니다. 만약 제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초안이 원본으로 확정되어 족보에 반영됩니다.
족보가 30년 주기이기 때문에 2050년경이 되어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질문]
족보수단에는 한 명도 빠지지 않고 반영되어야 합니다. 그 동안 홍보활동은 어떻게 하고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가. 인터넷 홈 페이지를 통한 홍보를 하였습니다.
(2016년 07월부터 현재까지)
① 네이버 (NAVER)
㉮ 정선전씨 양양댁 역사이야기
[ cafe.naver.com/jeon3 ]
② 다음 (DAUM)
㉮ 전씨광장
[ cafe.daum.net/alljeonc ]
㉯ 사회에 공헌하는 인재육성, 정선전씨 임하군파 필구공 종중
[ cafe.daum.net/pilgoo ]
㉰ 정선전씨 다음카페 뿌리를 찾아서
[ cafe.daum.net/jeungseunjeun ]
[질문]
족보수단비는 받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원칙적으로 족보수단비는 받지 않습니다.
다만 임하군파 족보 편찬위원회(전국)에서 단체나 개인의 찬조금은 받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 수단자료 기재 요령
총 론
① 1990년도에 만든 경오보 족보에서 변경된 부분만 기록해주시면 됩니다.
② 경오보(1990년 제작)에 누락된 곳도 함께 기록해주세요
본인기재방법
① 아들은 子, 딸은 女 글자아래 항렬명(行列名)을 큰 글자로 쓴다. 그 아래 항렬명(족보명)을 漢字와 한글을 같이 쓴다.
② 항렬이름과 호적이 다를 경우에는 字(자)라고 하지 않고 호적명(戶籍名)이라 쓰고 호적이름을 쓴다. 또는 一名(일명), 舊名(구명), 兒名(아명)이나 字(자), 號(호), 法名(법명), 세례명, 領洗名(영세명), 道名(도명), 筆名(필명), 藝名(예명)도 있으면 기재한다.
③ 태어난 연월일은 호적과 관계없이 실제대로 적어야 하며, 태어난 해의 서기를 쓰되 西紀(서기)라는 표시는 하지 않는다.(예시: 1982년)
④ 태어난 실제의 생일을 기재하되 음력으로 하고, 음력이라는 글을 기재하지 않고 다만 양력으로 생일을 기념할 경우에는 몇 월 앞에 “陽”자를 기록한다.
⑤ 생년월일 뒤에 태어난 시, 군을 기재하고 날生자를 쓴다. 강릉 출생이면 江陵生, 서울 출생이면 서울生 등
⑥ 학력은 대학교 졸업 이상을 기록한다. 대학교의 이름 학과를 기재하고 입학, 재학, 중퇴, 휴학, 졸업, 수료 등 해당사항을 기재한다.
⑦ 경력은 필요한 1가지 또는 2가지를 기록할 수 있으나 위원회의 승인하에 몇 가지 기록할 수 있다
[옛날에는 관존민비 사상과 직업이 농업 외에 관청 공무원이 주된 분야이어서 관청직책(벼슬)만 적었으나 오늘날은 각 분야별로 다양한 직업이 있으므로 회사 및 직위 또는 종사하는 직업의 분야를 적는다.]
--- 예 시;
농업, 상업, 공업, 건축, 무역, 연예인, 회사원 또는 ○○기업(주) 대표이사, 상무이사, ○○회사 총무과장, 대리, 사원, ○○단체 사무총장 ○○부 사무관, 서기관 등
⑧ 훈장, 상장을 기록하되 상장은 지방장관(행정부 기준으로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급 이상으로 사법부와 입법부도 같다.)이상으로 하고 국제적인 상장과 메달도 기록한다.
⑨ 본인이 저술한 책명, 공동저술책명, 논문명, 국가자격증 또는 공공자격증(운전면허증은 제외)등을 기록하고 특히 종친회직책이나 특이한 분야의 내용을 적을 수 있다.
⑩ 현직을 기록하되 어떠한 직업이나 명칭도 허용한다. 다만 명예를 높이는 명칭은 허용하되 명예를 낮추는 명칭은 불허한다.
⑪ 사망한 음력 월일을 기록하되 양력일 경우에는 몇 월 앞에 陽(양)자를 쓴다.
⑫ 사망한 시, 군의 이름을 쓰고 卒(졸)자를 쓴다.
⑬ 묘소의 주소를 정확하게 산 몇 번지, 무슨 공원묘원 제 몇 호까지 기록한다.
⑭ 상석이나 비석이 있는 경우, 有床石(유상석), 有碑石(유비석)이라 쓴다.
배우자 기재방법
① 결혼한 경우 부인은 모든 수단내용보다 한자 위에 配(배)라 쓴다.
② 본관과 씨를 쓰고 이름을 쓴다. 일명, 아명, 법명 등은 남자와 같다. 慶州金氏貞華(김정화)
③ 친정아버지 이름을 쓰되 父姓名을 쓴다. 예: 父金守浩(부 김수호)
④ 생년월일, 출생지, 사망 등 모든 사항은 남자와 똑 같이 기록한다.
⑤ ‘유 몇남 몇녀’라고 부부 사이의 자녀를 기록한다.
[예시; 有一男一女 子 全商佑(전상우) 女 全由程(전유정)]
자녀 기재방법
① 아들도 아버지와 동일한 기준으로 쓴다.
② 딸도 아버지와 동일한 기준으로 쓴다.
③ 아들딸의 순서는 아들을 모두 순차적으로 기록한 다음, 딸은 결혼여부와 관계없이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출가한 딸 기재방법
① 출가한 딸은 본인의 행장 다음에 夫라고 쓰고 남편의 본관과 씨 그리고 이름을 쓴다.
옛날식으로 딸 이름은 기록하지 않고 女다음에 사위 성명을 쓰고 본관을 따라서 ‘김해인, 밀양인’이라고 기록해서는 아니 된다.
(바른 예: 夫 密陽朴氏德萬 틀린 예; 女 朴德萬 密陽人)
② 남편의 이름 다음에 남편의 아버지(시아버지) 성명을 쓰면 남편에 대한 내용은 종결된다. 父 朴允鎬(부 박윤호)
③ 생년월일, 출생지, 사망 등 모든 사항은 남자와 똑 같이 기록한다.
④ ‘유 몇남 몇녀’라고 쓰고 子다음에 아들들 성명, 女다음에 딸들의 성명을 기록한다.
(예시; 有 一男一女 子 朴珉永 女 朴知喜)
⑤ 女가 사별하였을 때에는 改嫁(개가) 안 하였을 경우는 夫名(부명)을 그대로 쓰고, 改嫁(개가)하였을 때에는 개가한 사위이름(夫名)을 기재한다. 이로 인하여 舊譜(구보)와 相違(상위)해도 무방하다.
상대 기재방법
① 상대의 祖上(조상)은 구보 그대로 제자리에 기입한다. 구보를 複寫(복사)하여 붙여도 된다. 수정할 내용이 있을 때는 수정부분을 표시하여야 한다.
4. 문의처
우편 : 우편번호 25546 강릉시 남구길10번길 10 정선전씨 임하군파 필구공문중
|
첫댓글 향후 다른 문중의 족보 제작에 많이 도움될 걸로 생각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