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일본 도쿄의 빈민가에서 태어난 권정생은 광복
직후인 1946년 외가가 있는 경상북도 청송으로 귀국했지
만 빈곤으로 가족들과 헤어져 어렸을 때부터 나무장수,
고구마장수, 담배장수와 가게의 점원 등을 하였다.
결핵에 걸려 늑막염, 폐결핵, 방광결핵, 신장결핵 등을
앓으며 대구, 김천, 상주, 문경을 떠돌며 걸식을 하다가,
1967년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조탑동에 정착하여 그
마을의 교회 문간방에서 살며 종지기가 되었다.
1969년 단편동화 《강아지 똥》을 발표하여 월간
"기독교 교육"의 제1회 아동문학상을 받으며 동화작가로서의 삶을 시작하였다. 1973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동화부문에 《무명저고리와 엄마》가 당선되었고, 1975년 제1회 한국아동문학상을 받았다. 1980년대 초
교회 뒤 빌뱅이 언덕 밑에 작은 흙집을 짓고 살며 작품을
쓰고 있다. 2007년 5월 17일 세상을 떠났다.
선생이 돌아가신 다음에 마을 사람들은 그저 가난에
찌들어 사는 시골 노인인 줄 알았는데 그렇게 많은 사람
들이 문상을 오는데 놀랐고 그렇게 책을 많이 낸 분인 줄
알고 놀랐으며 그 책의 인세로 선생의 재산이 10억이
넘는데 놀랐다고 한다. 무소유로 살다간 선생은 유언도 미리 써놓았다고 하는데 그 유언은 다음과 같다.
“재산은 000목사님과 000신부님께 부탁합니다.
재산은 모두 굶주리는 북한 어린이들과 중동, 티벳, 아프리
카 어린이들에게 전달해 주십시오.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일은 이제 그만해야 합니다. 그 곳에 있는 아이들은
어떻게 합니까? 기도 많이 해주세요. 안녕히 계세요”
평생 아이들을 생각하며 무소유의 삶을 살다간
권정생 선생의 흔적이 묻어 있는 곳이다.

묵계서원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705
묵계리 100m쯤 구 고갯길을 올라 왼쪽에 서원이 자리
잡고 있다. 이 건물은 보백당 김계행(1431~1517) 선생
과 응계 옥고(1382~1436)선생을 봉향하는 서원으로 숙종
13년(1687) 에 창건되었다. 보백당 선생은 조선초기
성종때 대사성을 역임, 이조판서 양관대 제학으로 추증
되었고 시호는 정헌공인 명헌이며 응계 선생은 세종때
사헌부 장령을 지낸 바 있다. 고종 6년(1869)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고 뒤에 강당과 문루인 읍청루
과 진덕문, 동재 건물 등을 복원하였다. 또한 서원 옆에
보백당 선생 신도비와 비각을 건립했다.
강당은 정면 5간 축면 2간의 팔작기와 지붕건물로
가운데 3간을 마루로 꾸미고, 좌우에 온돌을 들인 일반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서원 좌측에는 이를 관리하는
정면 6간 축면 5간의 ′ㅁ′자형 주사 가 있다.
서원에서 멀지않은 마을 한가운데에 묵계종택이 자리
잡고 있다. 종택내에는 보백당이 있는데 조상의 제사를
받드는 제청으로 사용되고 있다. 묵계리에서 ′
묵계새마을교′ 를 건너 하리 골짜기길을 따라 500m
쯤 가면 자연과 조화를 이룬 만휴정이 있는데 그 아래로
떨어지는 폭포가 장관이다. 정자에는 만후정 현판외에
"오가무보물 보물유청백" 이란 선생의 유훈 및 류도원,
김굉, 김도행, 정박 , 이돈우, 김양근공 등 명망이 있는
분들의 시판과 김양근공의 중수기가 게판되어 있다.

고산서원(高山書院)
시 대 : 조선시대
소재지 :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 산10
소유자 : 고산서원
수 량 : 1곽8정
이 서원은 18세기 유학자인 문경공 대산 이상정(文敬公 大山 李象靖)선생을 추모하는 고산서원이다.
1789년(정조 13)에 사림의 공의로 건립되었다.
선생은 25세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공조참의에
제수되었으나 사퇴하고 퇴계의 학통을 계승하여 성리학
을 연구하는 한편 후진을 양성하였으며 선생의 문인록에
등재된 제자만도 273인이나 된다. 1882년(고종 19) 이조
판서에 증직되고 1910년 문경공이란 시호가 내려졌다.
문집 27책이 있고 이기휘편, 제양록, 퇴계서절요, 사례상
변통고, 병명발휘 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전체적으로
규모가 크고 격식을 갖추었으며. 특히 앙지재와 백승각의
양 끝은 개방된 마루를 두어 주변 경관을 음미하도록
꾸며져 있다.
사당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동·서쪽에 3단으로 설치되
어 있으며 뜰에는 정요대가 2기 설치되어 있다.
이 정요대는 일명 불받침대라고도 하며 서원행사 때
그 위에 관솔불을 지폈다.
- 규모 : 수 량 : 1곽8정, 면 적 : 12,365㎡.
- 시대구분 : 조선시대
첫댓글 아제,
이 자료 참 잘되어 있네...
내 블로그로 빌려가도 괘안켔나?
요새 하도 저작권이니 뭐니 말들이 많아서....
우쨋거나 자네만 믿고 빌려감세,
늘 고마우이.... 福 많이 받으시게...^^
안동시에서 내온 홍보자료일쎄



우리가 상업적으로 하는게 아이쟈나

책음은 임자 가 지것소
안동사람이 안동을 홍보 하는데 쓰는데...저작권은 무신
걱정 마시고 맘껏 퍼 옮겨 주시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