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왕조 족보와 역사상식>
![]() ![]() ![]() ![]() ![]() ![]() ![]() ![]() ![]() ![]() ![]() ![]() ![]() ![]() ![]()
![]()
|
高麗 - 朝鮮- 대한민국 = 資料考證
<고려>
|
< 조선 왕실 연대표 >
조선시대(朝鮮, 1392~1910, 518년간, 총 27대)
代 |
왕명 |
재위기간 |
약사 |
1 |
태조(太祖단旦,1335~1408) |
1392~1398 |
휘는 성계(成桂). 고려말 무신으로 왜구를 물리쳐 공을 세우고, 1388년 위화도 회군으로 고려를 멸망시키고 92년 조선왕조를 세움. |
2 |
정종(定宗, 방과芳果1357~1419) |
1398~1400 |
휘는 방과(芳果). 사병을 삼군부에 편입시킴. 즉위 2년만에 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이 되었음. |
3 |
태종(太宗, 방원芳遠1369~1422) |
1400~1418 |
휘는 방원(芳遠). 태조가 조선을 세우는데 공헌하였으며, 왕자들의 왕위 다툼(왕자의 난)에서 이겨 왕위에 오름. 여러 가지 정책으로 조선왕조의 기틀을 세움. |
4 |
세종(世宗,도 1397~1450) |
1418~1450 |
휘는 도. 태종의 셋째아들. 집현전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측우기, 해시계 등의 과학기구를 창제케함. 외치에도 힘을써 북쪽에 사군과 육진, 남쪽에 삼포를 두었음. |
5 |
문종(文宗, 향(珦). 1414~1452) |
1450~1452 |
휘는 향(珦). 학문에 밝고 인품이 좋았으며, 세종의 뒤를 이어 유교적 이상 정치를 베풀고 문화를 발달 시켰음. |
6 |
단종(端宗, 위暐1441~1457) |
1452~1455 |
12살에 왕위에 올랐으나 계유사화로 영월에 유배되었다가 죽임을 당함. 200년후인 숙종때 왕위를 다시 찾아 단종이라 하였음. |
7 |
세조(世祖, 유1417~1468) |
1455~1468 |
휘는 유. 국조보감(國朝寶鑑), 경국대전(經國大典) 등을 편찬하고 관제의 개혁으로 괄목할만한 치적을 남김. 수양대군(首陽大君). |
8 |
예종(睿宗, 광(胱). 1441~1469) |
1468~1469 |
휘는 광(胱). 세조의 둘째 아들. 세조때부터 시작한 경국대전을 완성 시켰음. |
9 |
성종(成宗혈,.1457~94) |
1469~1494 |
휘는 혈. 학문을 좋아하고 숭유억불, 인재등용 등 조선초기의 문물 제도를 완성함. 경국대전을 편찬함. |
10 |
연산군(燕山君,융隆 1476~1506) |
1494~1506 |
|
11 |
중종(中宗, 역1488~1544) |
1506~1544 |
|
12 |
인종(仁宗, 호皓1515~1545) |
1544~1545 |
장경왕후의 소생. 기묘사화로 없어진 현량과를 부활함. |
13 |
명종(明宗, 환1534~1567) |
1545~1567 |
|
14 |
선조(宣祖, 1552~1608) |
1567~1608 |
명종이 후사없이 승하하자 16세에 즉위. 이이, 이황 등의 인재를 등용하여 선정에 힘썼으나 당쟁과 임진왜란으로 시련을 격음. |
15 |
광해군(光海君혼琿.1575~1641) |
1608~1623 |
휘는 혼. 당쟁으로 임해군, 영창대군을 역모로 죽이고(계축사화), 인목대비를 유폐하는 등 패륜을 많이 저질렀으며 한편 서적편찬 등 내치에 힘쓰고 명나라와 후금에 대한 양면 정책으로 난국에 대처함. 인조반정으로 폐위됨. |
16 |
인조(仁祖, 1595~1649) |
1623~1649 |
|
17 |
효종(孝宗, 호淏.호.1619~1659) |
1649~1659 |
휘는 호. 인조의 둘째 아들. 병자호란으로 형인 소현세자와 함께 청나라에 볼모로 8년간 잡혀 갔다 돌아와 즉위후 이를 설욕하고자 국력을 양성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 |
18 |
현종(顯宗, 연.연.1641~1674) |
1659~1674 |
휘는 연. 즉위 초부터 남인과 서인의 당쟁에 의해 많은 유신들이 희생됨. 대동법을 전라도에 실시하고, 동철제 활자 10만여 글자를 주조함. |
19 |
숙종(肅宗, 1661~1720) |
1674~1720 |
남인, 서인의 당파싸움(기사사화)과 장희빈으로 인한 내환이 잦음. 대동법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백두산 정계비를 세워 국경을 확정함. |
20 |
경종(景宗, 윤윤1688~1724) |
1720~1724 |
휘는 윤. 숙종의 아들로 장희빈 소생. 신임사화 등 당쟁이 절정에 이름. |
21 |
영조(英祖, 1694~1776) |
1724~1776 |
탕평책을 써서 당쟁을 제거에 힘썼으며, 균역법 시행, 신문고 부활, 동국문헌비고 발간 등 부흥의 기틀을 만듬. 말년에 사도세자의 비극이 벌어짐. |
22 |
정조(正祖, 산蒜1752~1800) |
1776~1800 |
휘는 산. 탕평책에 의거하여 인재를 등용하고, 서적보관 및 간행을 위한 규장각을 설치함. 임진자, 정유자 등의 새활자를 만들고 실학을 발전시키는 등 문화적 황금 시대를 이룩함. |
23 |
순조(純祖, 공1790~1834) |
1800~1834 |
휘는 공. 김조순(金組淳) 등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시대. 신유사옥을 비롯한 세차레의 천주교 대탄압이 있었음. 1811년 홍경래의 난이 일어남. |
24 |
헌종(憲宗, 환(奐1827~1849) |
1834~1849 |
휘는 환(奐). 8세에 즉위하여 왕5년에 천주교를 탄압하는 기해사옥이 일어났음. |
25 |
철종(哲宗, 昇.변.1831~1863) |
1849~1863 |
휘는 변. 헌종이 후사없이 죽자 대왕대비 순원황후의 명으로 즉위함. 왕2년 김문근(金汶根)의 딸을 왕비로 맞아들여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가 시작됨. 진주민란 등 민란이 많았음. 병사함. |
26 |
고종(高宗, 희(熙). 1852~1919) |
1863~1907 |
휘는 희(熙).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 대원군과 민비의 세력다툼, 구미열강의 문호개방 압력에 시달림. 1907년 헤이그 밀사사건으로 퇴위함. 임오군란이일어남. |
27 |
순종(純宗, 작(坧). 1874~1926) |
1907~1910 |
이름은 작(坧). 고종의 둘째 아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겨 35년간 치욕의 일제시대를 보내게됨. 이왕(李王)으로 불림. |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 고조선 | 기자조선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락 | 발해 | 고려 | 조선 | 대한민국 |
대한민국(大韓民國, 1945 ~ )
代 |
대통령 |
재임기간 |
본관 |
약사 |
초대 |
이승만(李承晩, 1875~1965) |
1948. 7~1952. 8 |
전주 |
|
2 |
1952. 8~1956. 8 |
| ||
3 |
1956. 8~1960. 4 |
|||
과도내각 |
허정(許政, 1896~1988) |
1960. 4~1960. 8 |
김해 |
|
4 |
윤보선(尹潽善, 1897~1990) |
1960. 8~1963.12 |
해평 |
|
5 |
박정희(朴正熙, 1917~1979.10.26) |
1963.12~1967. 6 |
고령 |
|
6 |
1967. 7~1971. 6 |
| ||
7 |
1971. 6~1972.12 |
| ||
8 |
1972.12~1978.12 |
| ||
9 |
1978.12~1979.10 |
| ||
10 |
최규하(崔圭夏, 1919.7.16~2006.10.22) |
1979.12~1980. 8 |
강릉 |
|
11 |
전두환(全斗煥, 1931.1.18~ 生存 ) |
1980. 8~1988. 2 |
정선 |
|
12 |
| |||
13 |
노태우(盧泰愚, 1932.12.4~ 生存 ) |
1988. 2~1993. 2 |
교하 |
|
14 |
김영삼(金泳三, 1927.12.20~ 生存 ) |
1993. 2~1998. 2 |
김녕 |
|
15 |
김대중(金大中, 1924.1.6~2009.8.18) |
1998. 2~2003. 2 |
김해(가락) |
|
16 17 18 |
노무현(盧武鉉, 1946.8.6~2009.5.23) 이명박(李明博, 1941.12.19~ 生存 ) 박근혜(朴槿惠. 1952, 2, 2~ |
2003. 2~2008. 2 2008. 2~2013. 2 2013.2.25~ |
광주 경주 고령 |
|
고구려-대진국(大震國=발해;渤海)~백제- 신라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 | ||||||
| ||||||
※ 고구려 시조 주몽은 동부여 해부루와, 옥저 고모수(불리지)의 딸 유화와의 사이에서 태어낫으며, 주몽의 처인 소서노는 주몽이 배다른 큰아들을 태자로 세우자 두아들 온조와 비류를 데리고 백제를 건국 | ||||||
※ 참고문헌 : 고동영<단군조선 47대사>p.283~284 참조 햇다고 올린 글임.선광 | ||||||
| ||||||
| ||||||
|
이상 까지는 인터넷에서 발췌하여 고증되지 않은것으로 연구해 보아야할 자료임.
2012년 12월 26일 =카페지기 善光=
고구려 역대왕
왕 명 |
재 위 |
약 사 | |
1 |
동명성왕 |
B.C 37 |
성은 고(高), 원래 성은 해(解). 휘는 주몽(朱蒙). 해모수의 아들 해부루와배다른 형제라고도 한다. 동부여(동부여)의 금와의 아들 대소의 모해를 피하여 압록강 연안인 졸본천에 이르러 나라를 세우고 고구려(졸본부여)라 함. |
2 |
유리왕(榴璃, ?~18) |
B.C 19 |
성은 해(解). 휘는 유리(榴璃). 동명성왕 아들. 왕22년에 도읍을 국내성으로 옮기고 왕33년에 한(漢)나라의 고구려현을 빼앗음. 유리명왕(榴璃明) |
3 |
대무신왕(大武神, 4~44) |
18~44 |
성은 해(解). 유리왕 셋째아들. 휘는 무휼(無恤). 동부여, 개마국을 쳐서 병합하고, 국토를 살수 이북까지 넓혔음. 낙랑군을 정벌함. |
4 |
민중왕(閔中, ?~48) |
44~48 |
성은 해(解). 휘는 색주(色朱). 대무신왕의 동생. 대무신왕의 태자가 나이가 어려 대신 즉위함. |
5 |
모본왕(慕本, ?~53) |
48~53 |
이름은 해우(解憂),해애루(解愛婁). 민중왕의 형. 성품이 사납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신하 두노(杜魯)에게 피살됨. |
6 |
태조왕(太祖王, 47~165) |
53~146 |
휘는宮7살의 나이로 즉위. 영토를 확장하고 부족국가의 틀을 벗어나 중앙 집권적 국가의 기틀을 마련함. 태조왕(太祖王) |
7 |
차대왕(次大, 71~165) |
146~165 |
휘는 수성(遂成). 국조왕 동생. 태조로 부터 왕위 계승을 반대한 우보(右輔), 고복장(高福章)을 살해하고 왕위에 올랐으나 학정과 횡포를 일삼다가 신대왕에게 시해됨. |
8 |
신대왕(新大, 89~179) |
165~179 |
휘는 백고(伯固). 국조왕의 막내동생. 차대왕의 횡포로 산에 숨어지 내다가 차대왕이 시해된 후 왕위에 오름. |
9 |
고국천왕(故國川, ?~197) |
179~197 |
휘는 남무(南武). 빈민 구제책으로 진대법을 실시함. 국양왕(國壤) |
10 |
산상왕(山上, ?) |
197~229 |
휘는 연우(延優), 위궁(位宮). 고국천왕의 아우. 고국천왕이 아들없이 죽자 즉위함. |
11 |
동천왕(東川, ?~248) |
227~247 |
휘는 우입거(憂입居). 산상왕의 아들. 248년에 신라와 화친함. 동양왕(東襄) |
12 |
중천왕(中川, ?~270) |
247~270 |
연불(然弗)동천왕의 아들 |
13 |
서천왕(西川, ?~292) |
270~292 |
휘는 약로(藥盧), 약우(藥友) |
14 |
봉상왕(烽上, ?~300) |
292~300 |
휘는 상부(相夫), 삽시루. 왕2년과 5년에 연나라 의 침입을 격퇴했으나 사치와 방탕에 빠져 국상(國相) 창조리(倉助利)에게 폐위되자 자살함. |
15 |
미천왕(美川, ?~331) |
300~330 |
휘는 을불(乙弗), 우불(憂弗). 현도군을 공격하고 낙랑군을 점령하는 등 영토확장에 공을 세웠음. 호양왕(好讓) |
16 |
고국원왕(故國原, ?~371) |
331~371 |
휘는 사유(斯由), 쇠(釗). 백제 근초고왕과 평양에서 싸우다 전사함. |
17 |
소수림왕(小獸林, ?) |
371~384 |
휘는 구부(丘夫). 고국원왕 아들. 왕2년에 중국 전진(前秦)으로 부터 순도(順道)가 불상과 경문을 가져오자 이를 받아들여 최초로 불교를 수입함 |
18 |
고국양왕(故國壤, ?~391) |
384~391 |
휘는 이련(伊連). 요동과 백제를 정벌하여 국토를 넓혔음 |
19 |
광개토대왕(廣開土, 374~413) |
391~413 |
휘는 담덕(談德). 불교를 신봉하였고, 영토를 만주와 한강 이북을 차지하는 등 고구려의 전성시대를 이룩함. 호태왕(好太),영락대왕(永樂) |
20 |
장수왕(長壽, 394~490) |
413~490 |
성은 고씨, 휘는 거련(巨連),연(璉). 광개토대왕 맏아들. 남하 정책을 착수 하여 왕 63년에 백제의 한성을 함락하고 개로왕을 죽였음. 왕 68년에 신라의 7개성을 함락시킴. |
21 |
문자명왕(文咨明, ?~519) |
491~519 |
휘는 나운(羅雲) 장수왕의 손자. 왕3년에 부여를 멸망 시키고, 신라와 백제를 여러차례 침공하여 영토를 넓혔음. 명치호왕(明治好). 문자왕. |
22 |
안장왕(安藏, ?~531) |
519~531 |
휘는 흥안(興安) 문자왕의 맏아들. 백제와 두차례 싸움. |
23 |
안원왕(安原, ?) |
531~545 |
휘는 보연(寶延). 안장왕의 아우. 양(梁)나라, 동위(東魏)와 수교 하였음. |
24 |
양원왕(陽原, ?~559) |
545~559 |
휘는 평성(平成). 돌궐의 침입을 격퇴 하였으나 신라, 백제의 침공을 많이 받았음. |
25 |
평원왕(平原, ?~590) |
559~590 |
휘는 양성(陽城). 중국의 진(陣), 수(隨), 북제(北齊) 등과 수교함. |
26 |
영양왕(瓔陽, ?~618) |
590~618 |
휘는 원(元). 왕9년에 수나라 문제의 30만 대군을 격퇴. 왕23년에 수양제가 113만 대군으로 침입하자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섬멸 하였음.평양왕(平陽) |
27 |
영류왕(榮留, ?~641) |
618~641 |
휘는 건무(建武). 외교를 잘하여 수양제에게 잡혀간 포로를 찾아왔으며, 도교(道敎)를 처음으로 받아들임. 연개소문(淵蓋蘇文)에게 살해당함. |
28 |
보장왕(寶藏, ~681) |
642~668 |
휘는 장(藏). 연개소문에 의하여 왕위에 오름. 당의 고종이 이세적(李世勣)을 보내 쳐들어오고 신라가 쳐들어와 고구려는 망하였음 |
고구려 왕조실록(高句麗 王朝實錄)
◎ 고구려왕조실록(高句麗王朝實錄) 간단정리 ◎
동명성왕 [東明聖王] - 시조. 25년(BC37~19년). 39세 死亡 ▷성은 고(高)씨, 이름은 주몽(朱蒙), 추모(皺牟), 상해(象解) ▷건국설화 - 북부여 천제 해모수(解慕漱)와 유화(柳花) 사이에 알을 낳고, 그 알에서 주몽 이 태어남. 7세부터 재능이 뛰어나고 활을 잘 쏘아 백발백중하니 활을 잘 쏘는 사람이라 는 뜻으로 주몽이라 했다. 22세에 비류수 상류에 고구려를 건국하고 高를 성씨로 삼았다. ▷부족연합체로 시작하여 비류국, 행인국(荇人國), 북옥저(北沃沮) 등 소국을 병합
유리명왕 [瑠璃明王] - 2대. 37년(BC19~AC18년). 미상 ▷이름은 유리(琉璃), 유류(孺留), 누리(累利). 주몽의 장남. 어머니는 주몽의 첫째부인 예씨. 아내는 다물도주(주몽이 정복한 비류국) 송양의 딸 송씨 ▷이복동생 비류와 온조는 유리왕 즉위에 반기를 들고 탈출하여 백제를 건국 ▷황조가(黃鳥歌) - 왕후 화희(禾姬)의 질투로 치희(稚姬)가 떠나자, 유리왕이 뒤를 쫓아 설 득하나 눈물 흘리며 그냥 떠나자 그 뒷모습이 너무 슬퍼 하늘을 쳐다보니 한 쌍의 꾀꼬 리가 부리를 맞대고 날갯짓을 하니 처량한 목소리로 시를 지었다. 편편황조(扁扁黃鳥) 자웅상의(雌雄相依), 염아지독(念我之獨) 수기여귀(誰其與歸) 펄펄 나는 저 꾀꼬리 암수 서로 노니는데, 외로울 사 이 내 몸은 뉘와 함께 돌아갈까 ▷선비족 정벌 - 부분노(扶芬奴) 장군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 - 내성(內城)인 위나암성 축성 ▷태자 해명을 자결시킴 ▷왕망과의 싸움
대무신왕 [大武神王] - 3대. 26년(AC18~44년). 40세 ▷이름은 무휼, 유리왕의 3남, 어머니는 다물도주 송야의 딸 송씨 ▷영토 확장 - 동부여 병합, 후한 요동태수의 침략 격퇴, 낙랑국 공격 ▷후한의 광무제에게 정식 사신 파견 - 국제무대에서 처음으로 국가 인정받음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 기초 세움 ▷낙랑공주와 호동왕자 - 호동왕자와 약혼한 낙랑공주가 적의 공격을 알리는 신비한 낙랑 의 자명고를 찢어 이적행위로 낙랑국왕 최리에게 죽임을 당하고, 호동왕자는 첫째왕비의 참소를 받아 비참하게 자결한다. ▷부사취모제(父死娶母制) 풍속
민중왕 [閔中王] - 4대. 4년(44~48년). 미상 ▷이름은 해색주(解色朱), 대무신왕의 동생 ▷태자 해우가 어려서 부족장들이 동생을 추대 - 최초의 왕위 형제상속, 삼국유사는 아들? ▷고구려인 1만명 한나라 지배의 낙랑군으로 도피
모본왕 [慕本王] - 5대. 5년(48~53년). 미상 ▷이름은 해우(解憂), 해애루(解愛婁). 대무신왕의 장남. 어머니는 첫째왕비 ▷포악하여 국사를 돌보지 않고 백성들의 원망을 듣다가, 시종 두로(杜魯)에게 살해됨
태조대왕 [太祖大王] - 6대. 93년(53~146년). 100세 ▷이름은 宮, 어수於漱. 유리왕의 아들 고추가(古鄒加) 재사의 아들. 어머니는 부여 사람 ▷별칭 국조왕(國祖王). 고구려의 실질적 건국자 역할 ▷중앙집권 강화 - 각 부족의 무역권, 외교권, 전쟁권을 박탈 ▷요서지방에 10개성 축조 - 한나라군 침입 대비 ▷동옥저 등 주변 소국 병합. 갈사국 병합. 조나국 공격. 주나국 공격 ▷한나라와 전쟁 - 수차례의 폐전과 승전으로 후한의 한반도 진출 저지 ▷아우 수성에게 왕위를 물려줌 - 요동태수, 유주자사의 침입 때 공으로 군권 장악
차대왕 [次大王] - 7대. 19년(146~165년). 94세 ▷이름은 수성(遂成). 태조대왕의 아우. 75세 즉위 ▷정적인 우보 고복장과 태조대왕의 장남 막근을 죽임. 막근 동생 막덕은 자결 ▷잦은 천재지변, 민심이반 -> 하급관리 조의(?衣) 명림답부(明臨答夫)에게 살해됨
신대왕 [新大王] - 8대. 14년(165~179년). 90세 ▷이름은 백고(伯固), 백구(伯句). 태조대왕의 아우 ▷국상 명림답부가 권력 장악 - 허수아비 왕 ▷한나라 대군 침입에 농성전과 기습전으로 전멸시킴 - 명림답부 활약
고국천왕 [故國川王] - 9대. 18년(179~197년) 미상 ▷이름은 남무(南武), 이이모. 신대왕의 차남 ▷한나라 요동태수의 침입 - 왕이 참전하여 격퇴 ▷외척세력인 좌가려(左加廬) 등의 반란 평정 ▷을파소(乙巴素) - 시골에 은거하고 있던 인재 을파소를 국상에 발탁, 진대법 시행 ▷진대법(賑貸法) - 춘궁기에 나라의 곡식을 빌려주고 추수 후 갚는 빈민구제제도 ▷왕이 급사함
산상왕 [山上王] - 10대. 30년(197~227) 미상 ▷이름은 연우(延優). 고국천왕의 아우 ▷발기(拔奇)의 반란 - 아우의 왕위승계 불만으로 반란을 일으키다 자결 ▷고국천왕 비 우씨의 도움으로 왕위에 오름 - 우씨를 왕후로 삼음 - 兄死娶嫂制 ▷주통촌마을 처녀를 후궁으로 삼음 - 우씨는 석녀 ▷환도성(丸都城) 축조와 천도
동천왕 [東川王] - 11대. 21년(227~248년). 39세 ▷이름은 교체(郊?), 憂位居. 별칭 東襄王. 산상왕 아들. 어머니는 주통촌 왕비. 19세 즉위 ▷위나라와 사신 교환 ▷위나라 요동군관할 서안평 공격함락 ▷신라국경 공격 ▷위나라 관구검의 침입 - 환도성 함락, 유유紐由 장군의 계략으로 철군 ▷폐허의 환도성에서 평양성(강계 근처)으로 천도 ▷자사순장(自死殉葬) 풍속 잔류
중천왕 [中川王] - 12대. 22년(248~270). 46세 ▷이름은 연불(然弗). 동천왕 아들. 24세 즉위 ▷즉위 초 두 아우의 반란 ▷국상 명림어수(明臨於漱)에게 내외 병마사를 맡김 - 절노부의 외척 명림홀도의 후예 ▷두눌곡(杜訥谷)에서 위나라 군대 격퇴 ▷관나부인(貫那夫人)의 수장(水葬) 이야기 - 여인들의 질투에 징벌
서천왕 [西川王] - 13대. 22년(270~292년). 미상 ▷이름은 약로(藥盧). 중천왕의 차남 ▷기근 때 나라의 곡간을 열어 백성 구제 ▷숙신의 침입 - 동생 달가(達賈)가 격퇴 ▷두 아우 일우(逸友)와 소발(素勃)을 음모혐의로 처단
봉상왕 [烽上王] - 14대. 8년(292~300년). 미상 ▷이름은 상부(相夫), 삽시루(?矢婁). 별명 치갈왕(雉葛王). 서천왕의 아들 ▷폭압통치 - 숙부 달가와 동생 돌고 처형, 돌고의 아들 을불(乙弗)도 죽이려 했음 ▷선비족인 연왕 모용외(慕容?)의 침입 - 신성태수 高奴子의 활약, 서천왕의 신비한 기적 ▷가뭄과 기근에도 궁궐을 수리하려는 왕을 국상 창조리(倉助利)가 강제 폐위, 왕은 자결
미천왕 [美川王] - 15대. 31년(300~331년). 미상 ▷이름은 을불(乙弗), 우불(憂弗). 별명 호양왕(好壤王). 서천왕의 손자, 봉상왕의 조카 ▷소금장수에서 고구려왕으로 추대 - 봉상왕에 쫓겨 신분을 속이고 머슴 등 갖은 고생 ▷만주 현도군 공격 - 왕이 참전 ▷요동 서안평 공격 점령 ▷낙랑군, 대방군 공격 - 중국 군현을 한반도에서 축출하여 200년 중국 식민지 청산, 압록강 에서 서해까지 진출 ▷갑자기 서거-요동에서 연나라 축출을 위해 세차게 공격하나 실패
고국원왕 [故國原王] - 16대. 40년(331~371년). 미상 ▷이름은 사유(斯由), 소. 별명 국강상왕(國岡上王). 미천왕의 장남 ▷연나라 모용황에게 세자 볼모, 조공 ▷평양에서 환도성으로 천도 ▷모용황의 침입 항복 - 환도성 함락. 왕모와 왕비 포로. 미천왕 시체 탈취. 5만명 포로 ▷환도성에서 평양의 동황성으로 천도 ▷연왕 모용준의 속국이 되어 낙랑공왕(樂浪公王)에 봉해짐 ▷백제 치양(雉壤) 공격 - 왕이 참전했으나 패전, 2차 평양전투에서 왕이 전사
소수림왕 [小獸林王] - 17대. 13년(371~384년). 미상 ▷이름은 구부(丘夫). 고국원왕의 아들. 별명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해미류왕(解味留王) ▷불교 공인. 율령 반포. 유교교육기관 태학(太學) 설립 ▷3차례 백제 공격 ▷전진과 외교관계 수립 등 고구려의 고대국가체제정비를 완성
고국양왕 [故國壤王] - 18대. 7년(384~391년). 미상 ▷이름은 이령(伊連), 어지지(於只支). 소수림왕 아우(아들 없어 아우승계) ▷활발한 대외정복활동 - 요동공격. 백제공격 ▷불교장려. 사직을 처음 세우고 종묘를 수리함
광개토왕 [廣開土王] - 19대. 22년(391~413년). 38세 ▷이름은 담덕(談德), 안(安). 고국양왕의 아들. 17세 즉위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 긴 묘호- 23년간 활발한 정복전쟁 ▷백제정벌 - 58개성 700여호 정복. 도읍함락. 아신왕 항복. 왕의 아우와 대신들 포로 ▷백제. 왜.가야 연합군을 신라에서 격파 - 신라구원병 5만 명 파견 ▷서쪽과 북쪽 영토개척 - 서쪽 요하, 북쪽의 개원과 영안, 동쪽의 훈춘까지 영토 확장 ▷내부정비 - 비상시 군대편성조직 신설. 수묘인(守墓人)제도. 영락(永樂) 연호사용 ▷광개토왕릉비 - 높이6.39m, 너비1.35m, 4면에 44행 1,775字 - 장수왕 2년에 건립
장수왕 [長壽王] - 20대. 78년(413~491년). 97세 ▷이름은 거련(巨連). 광개토왕의 아들. 19세 즉위 ▷뛰어난 외교술 - 남북조시대 정세를 이용키 위해 각 나라에 빈번한 사신 파견 ▷동진에 조공, 사신파견 - 황제로부터 고구려왕낙안군공으로 책봉 ▷북위에 조공, 사신파견 - 황제로부터 고구려왕 책봉, 정식 외교관계 수립 ▷북연왕 풍홍(馮弘) 피신사건으로 송나라와 갈등 ▷송나라에 조공, 사신파견 - 장수왕 책봉, 외교관계 수립 ▷북위와 외교관계 강화 - 사신과 공물을 2배로 늘림 - 백제 견제책 ▷왕권강화 - 광개토왕비 건립. 평양성천도로 남진정책과 국내성 귀족세력의 약화를 노림 ▷백제 공격 - 한성 함락, 백제 개로왕 아차산에서 살해 ▷신라 공격 - 실직주(삼척) 점령, 호명성(청송 부근) 등 7개성 점령
문자명왕 [文咨明王] - 21대. 28년(491~519년). 미상 ▷이름은 나운(羅雲). 별명 명치호왕(明治好王). 장수왕의 손자(아들 助多는 이미 사망) ▷불교장려. 외교치중 - 중국대륙의 남북분열 이용, 양나라와 북위 양다리외교 ▷백제와 신라의 연합공격 방어 - 신라 우산성, 백제 가불성 함락
안장왕 [安藏王] - 22대. 12년(519~531년). 미상 ▷이름은 흥안(興安). 문자명왕의 아들 ▷중국 남북조 모두에게 조공관계 ▷내부권력다툼으로 피살설(?)
안원왕 [安原王] - 23대. 14년(531~545년). 미상 ▷이름은 보연(寶延). 안장왕의 아우(아들 無) ▷양나라 북위 동위와 외교관계 ▷백제의 우산성 침입, 격퇴 ▷잦은 천재지변 - 홍수. 지진. 전염병. 가뭄. 병충해. 태풍 ▷두 왕비(추군. 세군)간의 세력다툼으로 3일간의 내전 - 안원왕 피살
양원왕 [陽原王] - 24대. 14년(545~559년). 미상 ▷이름은 평성(平成). 안원왕의 장남. 어머니는 추군 ▷돌궐의 침입 - 고흘(高紇) 장군 활약으로 격퇴 ▷백제 신라 가야 연합군 침입 - 한강 상류는 신라, 하류지역은 백제가 차지 ▷복속국이던 거란을 북제가 정벌 ▷환도성에서 간주리(干朱理)의 반란
평원왕 [平原王] - 25대. 31년(559~590년). 미상 ▷이름은 양성(陽成), 탕성(湯成). 별명 平岡上好太王, 평강왕, 平國王. 양원왕의 장남 ▷평강공주와 바보 온달(溫達) 이야기 ▷실추된 왕권회복 노력 - 동명왕사당 방문. 장안성 축조 중 가뭄 일자 일시 중단 ▷수나라에 사신파견 ▷장안성으로 천도 - 수나라침입 대비 ▷수문제의 새서(璽書) - 평원왕을 협박
영양왕 [?陽王] - 26대. 28년(590~618년). 미상 ▷이름은 대원(大元). 평원왕의 장남 ▷수나라에 자진해서 조공과 사신파견 - 외교적 시간벌기작전 ▷수나라 30만대군 침입 - 육군은 홍수, 해군은 폭풍우로 자멸 ▷“신집” 5권 편찬 - “유기”란 역사책을 간략히 정리 - 태학박사 李文眞 ▷신라의 한강유역 공격, 실패 - 신라 진평왕이 대항 ▷수양제(隋煬帝)의 200만대군 2차 침입 - 영양왕 입조거부 명분. 살수대첩(을지문덕) 패퇴 ▷수양제 3차침입-수나라 예부상서 양현감(楊玄感)의반란으로 철수 ▷을지문덕(乙支文德)의 살수대첩 - 거짓 항복으로 철군하는 적을 살수 부교를 끊어 수장 ▷수양제 4차 침입 - 항복. 망명한 곡사정(양현감 내통자) 송환, 화의사신 입조 ▷영양왕 끝까지 입조거부 - 수양제는 부하에게 피살, 영양왕도 같은 해에 사망
영류왕 [榮留王] - 27대. 24년(618~642년). 미상 ▷이름은 성(成), 건무(建武). 영양왕의 이복동생 ▷당나라에 매년 조공과 사신 파견, 전쟁포로 교환 ▷신라의 잦은 침입(김유신)과 당과 고구려 간 이간 책동 ▷연개소문의 반란 - 영류왕 시해, 최고위 관리 180여 명 살해 ▷연개소문은 서부대인 신분으로 천리장성축조 때 총감독
보장왕 [寶藏王] - 28대. 26년(642~668년). 미상 ▷이름은 보장(寶藏).영류왕 동생 대양왕의아들. 멸망하여시호 없음 ▷대막리지(大莫離支) 연개소문(淵蓋蘇文)이 실권 행사 - 왕은 허수아비 ▷백제와 연합 신라공격 - 신라는 당나라에 지원요청 ▷당태종 10만대군 침입 - 요동성 등 10개성 함락됐으나 안시성에서 격퇴 ▷양만춘과 안시성 전투 - 결사항전으로 당태종 격퇴 ▷신라공격 - 백제와 말갈과 합세하여 33개성 함락 - 김춘추 당에 구원요청 ▷당고종 35만대군 침입 - 신라의 보급을 차단하여 방어 ▷당의 재 침입 - 1차는 평양성 공격 후 퇴각, 2차는 사수(蛇水)전투에서 전멸시킴 ▷연개소문 사망과 3형제 권력투쟁 - 첫째 남생은 당에 투항, 연개소문 아우는 신라 투항 ▷고구려 멸망 - 당 이세적대군 침입과 평양성 함락, 평양에 안동도호부 설치하여 지배 ▷보장왕과 연개소문의 아들 남산, 남생은 당나라로 잡혀가 형식적인 감투를 씀▷고구려 멸망 시 규모 - 176개 성, 69만 7천여 호, 인구 350만 명 ▷고구려주민 4만여호 당 이주 - 고구려 부흥운동차단 책으로 양자강 이남으로 강제이동
▲고구려왕조 705년 존속 - 퍼온 글 -
|
<後 고구려> 918년-930년 12년간 궁예(弓裔)당대에 패망
대진국(大震國 역대 = 발해渤海)698~ 926
왕 대
묘호
시호
년호
왕명
왕대
묘호
시호
년호
왕명
1
세조
진국열황제
중광
대중상
9
강종
희황제
주작
언의
2
태조
성무고황제
천통
조영
10
철종
간황제
태시
명충
3
광종
무황제
인안
무예
11
성종
선황제
건흥
인수
4
세종
광성문황제
대흥
흠무
12
장종
화황제
함화
이진
5
원의
13
순종
안황제
대정
건황
6
인종
성황제
중흥
화흥
14
명종
경황제
천복
현석
7
목종
강황제
정력
숭린
15
애제
청태
인선
8
의종
정황제
영덕
원유
고증 :환단고기 임승국역 정신세계사 02-733-3134 isbn 978-89-357-0082-0 374쪽 역대표
발해(渤海, 699~926 , 227년간, 총15대)
代 |
왕명 |
재위기간 |
약사 |
1 |
고왕(高王, ?~719) |
699-719 |
휘는 대조영(大祖榮). 고구려의 유민으로 고구려유민과 말갈 족을 규합하여 동모산(東牟山, 길림성 동화)에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진(震)이라함. 연호를 천통(天統)으로 함. 713년 고구려 영토를 거의 회복하고 국호를 발해로 고침. |
2 |
무왕(武王, ?~739) |
719~737 |
휘는 대무예(大武藝). 대조영의 아들. 연호를 인안이라 했다. 무력을 양성, 흑수말갈, 당나라 등주를 공격했다. |
3 |
문왕(文王, ?~793) |
737~793 |
휘는 대흠무(大欽茂). 무왕의 아들. 내치에 치중하여 관직제도 제정, 사적(史籍) 수입, 주자감 설립 등 정치, 문화발전에 힘썼다. |
4 |
폐왕(王元義)(廢王, ?~794) |
793~794 |
휘는 대원의(大元義). 문왕이 사망하고 그 아들인 대굉림(大宏臨)도 일찍 사망하였다. 굉림의 아들인 대화여의 나이가 어려 세력이 강했던 그가 왕위에 올랐지만, 정통성 문제로 1년도 못되어 살해되었다. |
5 |
성왕(成王, ?~795) |
794~795 |
휘는 대화여(大華與). 대굉림(大宏臨)의 아들. 페왕이 포악하였으므로 백성들이 그를 폐하고, 성왕을 옹립하였다. 연호를 중흥(中興)으로 고치고, 수도를 이전 도읍지였던 상경(上京)으로 다시 천도하였다. |
6 |
강왕(康王, ?~809) |
795~809 |
휘는 대숭린(大崇隣). 성왕(成王)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당·일본 등과 문물교류를 활발히 진행하였으며, 결과 외교사절의 왕래가 빈번하였다. 연호를 정력(正曆). |
7 |
정왕(定王, ?~812) |
809~812 |
휘는 대원유(大元瑜). 강왕의 아들이다. 재위기간이 4년에 지나지 않았으며, 치적으로서 특기할만한 것이 전하지 않는다. 연호를 영덕(永德). |
8 |
희왕(僖王, ?~817) |
812~817 |
휘는 대언의(大言義). 정왕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왕으로 책봉받았다. 814년 당나라와 교류하여 문물·제도를 받아들였으며, 당나라에 불상을 보내기도 하였다. 연호를 주작(朱雀). |
9 |
간왕(簡王, ?~818) |
817~818 |
휘는 대명충(大明忠). 즉위한 다음해에 죽었기 때문에 정치·행정·외교면의 행적은 별로 없다. 연호는 태시(太始). |
10 |
선왕(宣王, ?~?) |
818~830 |
휘는 대인수(大仁秀). 대조영의 아우인 대야발(大野渤)의 4세손이다. 고구려와 부여 등의 옛 영토까지 강토로 삼아 발해 중흥의 대업을 이룬 중흥군주(中興君主)로서 이때 발해는 해동성국(海東盛國)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행정구역을 5경(京) 15부(府) 62주(州)로 개편하였고, 학술을 진흥시키는 등 발해의 전성기를 이루었으며 일본과의 사신교환도 매우 활발하였다고 한다. 연호는 건흥(建興) |
11 |
대이진(彛震王) |
830~858 |
선왕(宣王) 대인수(大仁秀)의 손자로 왕권을 물려받았다. 아버지인 신덕이 사망함으로 인하여, 동궁(東宮)으로 책봉되기 전에 '권지국무'라는 칭호로 즉위했다. 그는 당나라 문화를 받아들이고, 10여 차례 조공(朝貢)하는 등 경제와 문화의 교류에 힘썼다. 연호를 함화(咸和). |
12 |
대건황(虔晃王 |
858~871 |
대이진(大彛震)의 동생이다. 연호와 시호는 전하지 않으며, 당시의 내치에 관한 기록도 남아 있지 않고, 단지 당나라와 일본과의 외치에 관한 기록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
13 |
경왕(景王, ?~893) |
871~894 |
휘는 대현석(大玄錫), 대건황의 아들. 당(唐)나라의종 때 세 차례 스스로 당나라에 들어가 국교를 강화하고, 일본에도 사신을 보내어 교역을 넓혔다. |
14 |
대위해(大瑋瑎, ?~?) |
894~906 |
연호와 시호, 가계 등은 전하지 않고 있다. 당건의 내치에 관한 기록도 남아 있지 않으며, 다만 당나라와 일본과의 외치에 관한 기록만이 있다. |
15 |
애왕(哀王, ?~?) |
906~926 |
휘는 대인선(大諲譔). 재위 시절의 발해는 거란(요)의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의 팽창주의에 두려움을 느끼고 신라 등 여러 나라와 연합하여 이를 견제하려 하였다. 925년 야율아보기가 친정(親征)을 감행하였다. 926년 103개의 성이 모두 거란에 점령되어 발해는 멸망하였다. |
<백 제> B.C 18- - 660년 까지 31대 왕 678년간
백제 왕실 연대표
|
|
< 後 백 제> 892년 임자년견훤이 광주에 도읍-
935년 신검 왕위1년간. 935년 을미년 44년만에 패망
<신 라> bc 57년-서기 935년까지 56대왕 992년간
신라 왕실 연대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