樂 풍류,락 즐거울,락
역시 상고음이 glak그락 -->galak 가락
일본어에서는 음악을 온가꾸라 하는데 가는 콧소리가 들어간 발음
g음이 ng로 들릴듯 말듯 묘하게 살아 있다.
우리말 가락이다.
흐를,류 流 lu 류 역시 kh가 생략이 되어 남은
khlu 흘러
우리말ㅎ발음은 과거로 가면 대다수 ㅋ kh발음이었다.
영어나 기타외국어도 이러한 경우가 많다.
g음은 나라별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r의 변음발음 Ronaldo 포르투갈어 호나우두
general 스페인어 헤네랄 독일어 -ig 형용사 접미사 흐 발음
dag 터키어 다 혹은 다으 ㅎ-->ㅇ 발음약화
r발음의 변형이다.
d-->j 발음 ㄷ-->ㅈ
스페인식 사람이름 jose 호세
john 존 요한
타르 탁 닥
타르-->th번데기-->사르-->살-->산 (山)
타르가 높다는 뜻이거든.
터르 턱 둔턱
더르 덕 언덕
river 도 흘러뿌러 ch나 g 혹은 kh발음이 생략이 되었는데
lake도 흘러가
어원사전에도 *~ 이렇게 나오는 것은 앞에 어떠한 생략된 글자가
있다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면
leprosy 부패,타락 을 뜻한다.
t나 d가 생략이 된 글자이다.
dleprosy 로 복원하면
드러버서-->드러워서 가 된다.
더러운것이 부패 요 타락이다.
corrupt 타락한 부패한 인데
영어발음은 코럽트 인데
c는 ㅋ ㅅ발음이 둘다 동시에 날 수가 있다.
cielo 키엘로 라 읽지 않고 시엘로라 읽는다.
cello 이건 첼로 라 읽지 않는가.
chef 이건 또 쉐프 라 읽지.
r은 ㅎ->ㅋ 발음과 호환
고로 corrupt를 우리말 발음은 썩어뿌따 가 된다.
부패를 뜻한다. 기본형 썩다
less 역시 l이 반모음화되면 일어서 잃어서 가 되지만
d나 j발음이 생략되어서 복원하면 dless 들어서 덜어서
덜어내는 것은 잃는 것이다.빼내는 것이지.
들려서 달려서 딸려서 힘이 딸리다 힘이 달리다 가
표준어이지만..힘이 부족하다는 뜻이지.
loss나 lose 는 l이 반모음화되면 일어서 잃어서-->어원
llorar 스페인어로 울다는 뜻
l이 반모음화되면 울어-->어원
labor 이래뿌러-->일해뿌러! 일하다
lame 역시 j나 d생략
dlame 드름 jlame 즈름-->절음 절름발이를 뜻하지.
leuco-는 하얗다 白이란 뜻인데
이 역시 g ,ch ,kh등이 생략되었다고 하면
그리고 l이 반모음(이으)으로 작용한다면
gleuco 흐여코 흐옇 흐얏 등으로 발음이 된다.
milk가 밀크가 아니고 미으크 film 피음 이듯이 말이다.
leucoma가 백반증이고 leukocyte 가 백혈구이다.
영어어원사전을 참고하면
leuko-
before vowels leuk- , also sometimes in Latinized form leuco- /leuc- , word-forming element used from 19c. and meaning "white" (or, in medicine, "leukocyte"), from Greek leukos "clear, white," from PIE *leuko- , suffixed form of root *leuk- "light, brightness." leukocyte (n.) also leucocyte , "white blood cell, white or colorless corpuscle of the blood or lymph," 1860, via French leucocyte , from leuco- , a Latinized comb. form of Greek leukos "white, clear," from PIE root *leuk- "light, brightness" + -cyte "cell." 세포 -->포는 감싸다는 말이다. 새포를 뜻하는 -cyte는 우리말로 쌌다 혹은 싸였다-->어원 cell은 우리말로 쌀 기본형 싸다의 활용형이지. 물론 사는 곳 室 집이라는 뜻과 살다 (live)라는 뜻도 발음으로 나오지.
여기서도 *leuke- 이렇게 나와 있는데 앞에 어떤 발음이 생략된 결과이거든.
라틴어 blanco 역시 ㅂ<-->ㅍ<-->ㅎ 호환
흐연거 -->하얀색 흰색 을 뜻한다.
blur -->흐려 라고도 되고 l이 반모음화되면 흐옇 흐예 이렇게 발음된다.
kh-->h-->y
ㅋ-->ㅎ-->ㅇ 발음이 약화되어 없어진다고 본다.
프랑스어 역시 beau 우리말의 생략된 이를 첨가하면
이뽀~ 이뻐~
beautiful 역시 생략된 이를 첨가하면 이뻣어뿔
이쁜 이쁘다 의 경상도사투리가 된다.
우리말 앞에 이쁘다 할때 이는 반모음성격을 가진 자음인 j,ㅣ,r처럼
생략이 잘 될 수 밖에 없다.
belle도 역시 생략된 이를 복원해주면 이쁠 이 된다.
bene- 도 생략된 '이'를 붙여주면 '이쁘네~ 혹은 이쁜'이 된다.
allot 역시 k가 생략이 된 것으로 k를 붙여 복원하면
kallot 갈랐다 즉 나누다의 뜻이 된다.
endure 역시 k를 붙여 복원하면 kendure 우리말 견뎌 즉 참다 인내하다는
뜻이 되는 것처럼 말이다.
카페 게시글
일반게시판
영어나 우리말중에서 앞에 특정한 자음이 생략되어 그 어원을 모르는 단어들
나비우스
추천 0
조회 243
17.09.02 10:30
댓글 0
북마크
번역하기
공유하기
기능 더보기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