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원면 명암리 입구 둑방정자에 설치된 야외 운동기구. 파손된 상태로 방치 중이다. 금산 참여연대 제공 |
|
야외 운동기구가 식당 주차장, 공한지 등에 무분별하게 설치되고 있어 예산낭비라는 지적을 사고 있다.
설치기준도 모호한데다 설치 후 이용자가 없어 방치되는 등 사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어 수억원을 들여 설치한 야외 운동기구가 제 구실을 못해 재정비가 시급하다는 주문이다.
7일 금산참여연대가 공개한 야외운동기구 설치현황에 따르면 금산 10개 읍면지역에 설치한 야외운동기구는 모두 94개소.
설치장소 별로는 마을회관이 27개소로 가장 많았고 경로당 24, 공원 16, 도로변 6, 천변 4, 기타 14개소로 나타났다.
설치 연도별로는 2010년 이전 설치가 20개소에서 이후 해마다 10여개소씩 늘어나다 지난해에는 36개나 추가 설치됐다.
여기에 투입된 예산은 2014년 3억4000만원, 2013년 7800만원, 2012년 1억6700만원, 2011년 5100만원 등 모두 6억5100만원.
야외 운동기구는 문화공보관광과 건설과 각 읍면사무소가 업무를 주관해 마을이장 등 주민 요구에 따라 곳곳에 설치했다.
설치는 한 장소당 운동기구 3종이 한조로 설치되는데 보통 조당 설치비용이 1000만원을 넘는다.
그런데 문제는 이처럼 고가의 예산을 들여 설치한 야외 운동기구 상당수가 제구실을 못하고 있다는 것.
구색은 갖췄지만 위치 선정이 잘못돼 이용자가 거의 없어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고장, 파손 등 낡은 운동기구에 대한 사후관리도 미흡해 경관을 훼손하는 것은 물론 주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또 무분별하게 설치된 운동기구가 방치되면서 녹이 슬고 파손돼 해 마다 수리비 부담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야외운동기구 보수비용은 2010년 87만3000원에서 2013년 121만원에 이어 2014년 244만원으로 늘었다.
이를 두고 참여연대는 주민을 위한 운동기구 설치라기 보다는 업자를 위한 혈세낭비 사업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금산참여연대는 이에 대한 입장발표를 통해 “야외 운동기구 관리기준도 관리부서도 없다”고 지적하며 며 “설치장소는 건강목적으로 주민이 자주 찾는 장소에만 설치하고 설치관련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사용현황을 즉각 조사해 사용하지 않는 곳은 실제 사용할 곳으로 이전해 주민을 위한 제대로 된 건강증진 사업을 수립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현재 야외 운동기구는 각 읍면에서 관리하고 있다. 실태 조사 후 위치선정이 잘못돼 이용이 저조한 시설은 과감히 이전하고 보수가 필요한 파손 시설은 곧바로 조치하겠다”며 “앞으로 체계적이고 통합 관리를 위해 제도 정비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금산=송오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