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산악회 백두대간 남진종주대 16차 구간 미리봅니다.
(상봉 1239m, 신선봉 1204m, 마산봉 1052m)
* 산행일시: 2013. 5. 18. 셋째 토요일(석가탄신일 금요일 밤 22시 출발)
* 산행코스: 미시령(826m)-샘터-상봉-화암재-신선봉-대간령-마산봉-알프스스키장-진부령(529m)
* 산행거리: 15.7km, 8시간30분 소요예정.
* 산행상세
오늘자로 16차 진행으로 태백산 대구간 종주를 축하드리면서 설악산 대구간 시작합니다! 그러나 오늘은 금강산 일부 구간입니다. 대구 범어R에서 22시 출발 5월18일 02시20분 미시령 도착 후 바로 출발.
미시령(826m)은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과 인제군 북면의 경계에 있는 고개로 조선시대에는 미파시령이라 했다 합니다. 옛 사람들은 미시령 남쪽을 설악산 - 북쪽은 금강산으로 구분하였으니 오늘 산행구간은 명실상부한 금강산으로의 산행입니다. 컴컴한밤 랜턴불빛 절대 앞만 보시고 모르게 진행... 가파른 오름 30분 오르면 전망바위에 도착합니다. 그리고 황철봉 너덜지대는 전혀 보이지 않으니 뒤로 돌아 보지 않습니다... 상봉 오르는 길은 컴컴한밤 바위길 안전산행 간곡히 부탁합니다. 동쪽으로는 속초 시가지 불빛이 아련하고, 서서히 여명이 오면 어느 장소에서 일출을 볼것인가 생각합니다. 상봉(1239m) 도착하면 인증샷 후(돌탑과 표지석이 있음) 시선봉(1204m)으로 향합니다. 신선봉으로 진행 중 동해바다 일출을 전망하세요(전망 좋은 곳에서 촬영). 상봉에서 화암재까지 이르는 구간은 위험한 암릉구간이니 안전산행!!! 상봉에서 급하강 약 6번 줄타기 등...
화암재는 물굽이 계곡에서 화암사로 넘어가는 고개로... 화암사는 금강산 팔만구암자의 첫 번째로 꼽히는 고성군 토성면 신평리에 있는 전통사찰로 신라 혜공왕 5년(769년) 진표 율사가 비구니 도량으로 창건한 절이라고 합니다. 화암재에서 오르면 금강산 일만이천봉 중의 제1봉우리 신선봉 도착. 대간길에는 약간 비켜있지만 왕복 15분으로 꼭 다녀오세요. 특히 금강산은 1500m 이상의 거봉이 10개 1200m 이상 준봉이 60여개로 크고 작은 봉우리를 합하면 일만이천봉이라 하는데 그 중 제1봉이 신선봉이오니 꼭 다녀오세요. 신선봉 동쪽으로 확 트인 동해바다와 속초시가 조망됩니다. 신선봉 지나면 일출 후 서쪽 산 아래 소양호 물안개도 산수화 같이 빛날테고, 향로봉도 조망됩니다.
대간령 도착 대간령은 인제군 북면과 고성군 간성읍 토성면의 경계에 있는 고개로 새이령이라고도 합니다. 대간령부터 마산봉에 이르는 길은 두 번의 암봉과 병풍바위로 400여m 고도를 급하게 때로는 완만하게 오릅니다. 마산봉 직전 전망대에서면 코앞에 다가선 칠전봉과 향로봉, 군사도로와 흰색의 군건물이 보입니다. 마산봉 정상에서 알프스 스키장 급경사 하강하면 철책이 나타납니다. 철책 지나면 나타나는 유령 건물이 알프스콘도로 이정표를 확인 후 4.7km 임도 및 농로 길을 하염없이 걷다보면 백두대간종주 공원에 도착. 인증샷 합니다.
공원에서 도로타고 하산하시거나 지름길로 하산하시면 진부령 표지석이 나타납니다. 인증샷 및 단체사진촬영 예정입니다.
2013. 5. 15.
KJ산악회 등반대장 정연섭

우측 끝 봉우리가 상봉입니다.

미시령탑 앞부분이 산행초입

건너편 황철봉 방향 너덜지대 입니다.

진행중 울산바위가 흰색으로 보입니다.

너덜지대 하강 후 멀리 상봉이 조망

상봉 돌탑

우측 능선이 대간마루금으로 멀리 우측 신선봉 입니다.

신선봉에서 본 백담사 운무

신선봉 정상석이 없습니다.

진행해온 상봉이 좌측 끝

마산봉이 우측이면서 향로봉 라인이 뒤편 라인입니다.

사거리 직진 대간령 돌탑

좌측 뾰족 봉우리 급경사 오르막 우측 아래가 신선봉 입니다.

진행해온 좌 신선봉과 우측 상봉

마산봉에서 본 향로봉 군사도로가 선명합니다.

우측 끝이 향로봉

마산봉 뒤가 향로봉 라인

군부대 주변을 3번 정도 오르고 내립니다.

여기서부터 진부령까지 4km

종주등반기념비에 도착 인증샷

진부령 1기팀 종주 후 단체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