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달마가 영어를 만났을 때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정리] 보리심 수행과 보리행
선우 추천 0 조회 298 11.03.05 13:55 댓글 2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1.03.05 14:23

    첫댓글 고맙습니다 ^^ * _()()()_

  • 작성자 11.03.05 14:55

    ...()...

  • 11.03.05 15:49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주셔서 머리속으로 차곡 차곡 정리되는 느낌입니다.
    보리심수행과 보리행에 대해서 이번에 자세히 알게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_()_

  • 작성자 11.03.05 22:28

    고맙습니다 ...()...

  • 11.03.06 12:35

    감사합니다...._()_

  • 작성자 11.03.07 17:20

    ...()...

  • 11.03.06 18:39

    이 점은 한국불교에서 그대로 나타나고 있는 데,
    성불한 이는 나오지 않고,
    내 수행만 하려고 하다보니
    갈수록 한국불교가 위축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이 글을 쓰는 것도 이 점을 우려해서이기도 합니다. //
    ................. 선우님 지적도 타당하시고 일리가 있으신데요 ㅠ..
    그냥 이쪽저쪽 ..안타까움이 들 때가 많아요.
    우승택 거사님께서 방송에서 지적도 있으셨지만,
    승단과 스님분들의 수행에 대한 든든한 재정적 뒷받침 같은 것이
    현실적으로 부족하니깐요. ㅠ..
    스님들께 헛된 요구사항만 많아지는 건 아닌가 싶어서요.
    어찌 보면 한편으론 넘 죄스럽잖아욤. -_ㅠ.. 짐 저녁 먹어야 하는뎅..

  • 11.03.06 18:39

    나중에 다시 댓글 달 거 있으면 달게요. ..()()()..

  • 11.03.07 00:07

    문사수 .. 정사유, 초발심자라면 더더욱 치우치지 않게 다가가야할 거 같아요.
    그 중심엔 그리고 궁극과 더불어 .. 일체중생의 행복과 이익을 위한 [보리심]
    항상 잊지 않도록 명심하겠습니다. 좋은 법문 고맙습니다. 담편도 기다릴게요. ..()()()..

  • 작성자 11.03.07 17:24

    ㅎ 담편이라기보다는 글이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 한 곳에 모아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요. 새로운 것이 달리나 가끔 들여다 보세요 ...()...

  • 11.03.07 18:36

    네. 덧달린 글들도 재미나요. 고맙습니다. ..()()()..

  • 11.03.15 17:50

    재가인이 보리심(菩提心)을 일으키면.. 일체 벽지불의 과보보다 뛰어나지만,
    출가인이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은 어렵지 않다.
    왜냐하면 재가인은 나쁜 인연에 얽히는 바가 많기 때문에 보리심을 일으키면,
    모든 천(天)이 다 크게 놀라고 기뻐하면서 이런 말을 한다.
    '우리는 이제 인간과 천상의 스승을 얻었다.'

    [ 우바새계경 ] ..()()()..

  • 작성자 11.03.15 18:37

    보리심에 집중해보니 좋은 법문들이 가까이 있었네요. 대승이취육바라밀다경에도 보니 [발보리심품]이라는 독립된 품이 있어서 자료로 보관해두었습니다. 우리 달마카페에 천인들이 와서 여러번 놀라겠는데요! ㅋ ...()...

  • 11.03.15 21:24

    늘 착한 보리심으로.. 소망입니다 ^^; 별 ..()()()..

  • 11.04.09 12:05

    미가 대사가 갑자기 법좌에서 내려와서
    선재 앞에 꽃을 뿌리고 예를 표하면서 찬탄했다.

    '훌륭하구나,
    보리심을 능히 일으킨 사람은 ..
    일체의 부처 종자를 끊어지지 않게 하며
    일체 중생을 성숙시키는 것이며,
    나아가 일체 천룡(天龍)의 예배와 공경을 받는다.'

    [ 화엄경 ]

    압축적으로 보리심의 공덕이 몽땅 담겨있어서 남겨요. ^^)* ..()()()..

  • 작성자 11.04.09 15:42

    고맙습니다 ^^ ...()...

  • 11.04.26 00:09

    1. 보리심의 씨앗은 자비심(자비심의 씨앗은 평등심)(평등심->자비심->보리심)
    2. 자비심을 일으키는 도화선은 모든 중생을 세세생생 나의 어머니로 보고
    3. 자비심은 고통에 빠진 어머니를 건져내겠다고 큰 연민의 마음을 내는것
    4. 보리심은 이 어머니와 일체중생을 해탈 시키기 위해 부처가 되겠습니다 하는 마음을 내는것
    석천사 진옥스님 입보리행론 법문중에서 옮겨옴

  • 작성자 11.04.26 15:14

    고맙습니다. 잘 정리해주셨네요. 진옥스님의 입보리행론과 람림강의가 전부 인터넷에 올려져 있어서 다행입니다. 저도 시간나는대로 보고 있습니다 ...()...

  • 11.04.27 00:05

    능엄주 까페라고 알고 있었는데, 보리심에 대한 글 보니 무척 반갑고 고맙습니다.
    지난번 100일, 이번 100일은 입보리행론 독송을 하고 있습니다. 출리심, 보리심, 공성에 대한 이해와 체득이 중요하다고...거의 모든것을 성취하신 아띠샤 대 논사께서 보리심 수행을 위해 스승 셀링빠를 찾아 13개월 동안 이나 항해하여 12년 동안 보리심 수행을 하셨답니다. 참 놀라운 보리심입니다. _()()()_

  • 작성자 11.04.28 00:13

    우리 한국불교에서 소홀히 하던 보리심에 대한 수행이 티벳불교에 충실하게 실천되고 있더군요. 불교수행의 처음이자 끝이 보리심이겠지요. 저도 입보리행론 1게송 1배로 수행의 벗삼고 있습니다 ...()...

  • 11.04.29 12:40

    _()()()_

  • 11.05.26 20:26

    출력하여 읽고 새기겠습니다._()()()_

  • 작성자 11.05.26 20:47

    ...()...

  • 12.04.09 18:58

    이번 진옥스님 금강경 법회에서는 까마라실라 주석본과 금강경오가해 주석본을 정리하여 법문하셨는데 보리심과 보살이 실천해야할 18가지 핵심 행을 중심으로 법문하였습니다. 보리심을 발한 보살의 행을 더 명확하게 정리할 수 있을듯합니다._()()()

  • 14.06.03 09:49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