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진대교가 있는 해안도로 (경상남도 고성군 )
- 고성군 동해면과 마산시 진전면을 잇는 동진대교는 정확히 바다로 향하는 길로서 국도 77호선(국지도67호선과 중용)상의 교량이며, 동해면 해안일주도로의 일부구간으로 총 연장은 9.5km이다. 리아스식 해안을 따라 축조된 도로, 해안선을 따라 펼쳐지는 다도해의 전경 그리고 동진 대교가 아름답게 조회를 이루는...
|
- 고흥만 방조제 (전라남도 고흥군 )
- 고흥만 방조제는 길이2.873m로 확트인 바다를 조망하면서 드라이브를 즐길 수 있는 최적의 코스로서 낚시터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1991년부터 간척공사를 시작하여 2006년말까지 내부개답을 완공하였으며 시원한 득량만을 조망할 수 있는 관광지겸 바다낚시터와 환상적인 드라이브 코스로 소개할 수 있다. 간척지 내부에 경비행장(52×1,100m)가 건설중에 있으며, 도덕면 용동지구와 두...
|
- 대원사 진입로 (전라남도 보성군 )
- 전남 보성군 문덕면 죽산리 백제천년고찰 대원사에 이르는 진입로를 따라 이어진 5.5km 구간은 좌우측으로 20년생 왕벚나무가 가지가 맞닿을 정도로 터널을 이루고 있어 장관임 봄에는 벚꽃이 만발하고, 여름에는 녹음과 시원한 계곡, 가을에는 오색단풍, 겨울에는 설화가 만발하여, 주암호에서 산사에 이르는 이 ...
- 추천코스>드라이브코스 | 최초등록일 : 2006-07-31 | 최근 수정일 : 2007-12-20 | 조회 : 286
|
- 제주 유채꽃 도로 (제주도 서귀포시 )
- 제주시를 시점으로 산굼부리를 지나 대천동 사거리에 이르기 전 가시리 진입로부터 펼쳐 지는 9km 구간의 유채꽃 도로이다. 도로변을 따라 유채꽃이 피는 4월이면 보는 이마다 감탄사를 유발할 만큼 장관을 이루며, 상쾌한 공기와 함께 넓은 들판의 경치가 아름다운 최적의 드라이브 코스이다. 도로를 달리다 보면 ...
|
- 우도산책길 (제주도 제주시 )
- 우도는 제주도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부속도서로서 섬의 형태가 소가 누워있는 형상을 닮았다고 하여 우도라고 이름이 지어졌다. 우도 산책길은 길이가 2.8km로 우도의 전경을 감상할 수 있도록 조성된 산책로다. 산책로를 따라 올라가다보면 한쪽엔 푸른 바다가 펼쳐지고 다른 한쪽엔 우도 팔경 중 하나인 지두청사...
|
- 고창읍성 산책로 (전라북도 고창군 )
- 고창읍성은 조선 단종 원년(1453)에 외침을 막기 위하여 축성한 자연석 성곽으로 모양성 (牟陽城)이라고도 불리면 길이는 약1.7km에 이른다. 돌을 머리에 이고 성을 밟으면 병이 없이 오래살고 저승길에서는 극락문에 당도한다는 전설로 매년 답성행사가 계속되고 있으며, 성밟기는 저승문이 열리는 윤달에 밟아...
|
- 양재천길 (서울 강남구 )
- 하천연장 15.6km에 달하는 양재천은 관악산에서 발원하여 서초구와 강남구를 거쳐 탄천으로 유입되는 지방 2급 하천으로서 산책로, 자전거도로, 물놀이장, 수변무대, 쉽터 등이 잘 조성되어 있으며 서초구 양재동에서 강남구 대치동에 이르는 양재천 산책로는7.2km에 이른다. 양재천은 생태계 복원이라는 목표 ...
|
- 황악로 (경상북도 김천시 )
- 김천시의 황악로는 단순한 도로개념에서 탈피하여 자전거 전용도로 설치, 잘 조성된 중앙 분리대, 화단, 수벽식재 등을 통해 깨끗하고 친환경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도로이며, 길이는 약 1.8km에 이른다. 이 구간에 위치한 영남제일문(높이 12m, 길이 50m)은 그 웅장한 자태로 6차로 도로와 잘 어우러져...
|
- 방화대교 (서울 강서구 )
- 방화대교는 인천국제공항이 21세기 동북아시아 허브 공항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건설된 고속국도 130호선 구간 중 한강을 횡단하는 교량으로 예술성 및 기능성이 우수하다. 총 연장 2.6㎞로 한강 교량 중 가장 긴 교량이며, 국내최초로 장경간 아치 트러스 구조로 설계,시공된 한강의 27번째 교량이다. ...
|
- 옥순대교 (충청북도 제천시 )
- 옥순대교는 충주댐 건설과 충주호의 담수로 인해 발생한 충북 수산면과 청풍면 일대의 교통 불편을 해소하고, 국도36호선 및 국지도82호선과 연계하여 우회 도로의 연결기능을 강화하며, 충주, 제천, 단양을 찾는 관광객에게 교통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건설된 교량으로 길이 약 450m에 달한다. 구조적으로 상현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