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71년 면죄부(免罪符)에 대한 루터(1483-1546)의 95개조의 제시가 발단이 되어 난 종교개혁은, 독일 황제까지도 관여하게 되었다. 황제 카르 5세는 프랑스에 대한 정책상 교황과 손을 잡을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루터에게 그 주장을 취소하게 하려고 했다.
그 때문에 루터는 1521년, 국회에 소환되었다.
국회에서 루터는 1521년 황제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복음주의 신앙을 표명했다.
한편 황제는 그런 그를 독일 제국의 죄인으로 단정했다. 이것은 루터의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런 결과를 예측하면서도 용기를 갖고 국회로 향할 때, 그는 이렇게 말했다.
“설사 국회의 지붕 기와의 수만큼 많은 마귀가 내게 덤벼들 것을 알고 있더라도 나는 갈 것이다.”
이 신앙의 결단이 종교개혁을 일으킬 수 있도록 했던 것이다.

아무리 싸움을 잘하는 사람도 죽을 각오로 덤비는 사람은 이길 수 없다고 한다.
당신도 주님의 일에 목숨을 두려워하지 않고 덤비는 결단의 마음을 가질 수 있는가?
[마 10:39] 자기 목숨을 얻는 자는 잃을 것이요 나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잃는 자는 얻으리라

1. '주님의시선' 카페와 카페지기가 섬기는 '마산시민교회'가 더 풍성해 질 수 있도록 기도를 부탁합니다.

신앙인의 자세
(민 20:1-9)
사람은 언제나 인생과 자기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를 바로 알고서 행동하여야 한다 (너 자신을 알라).
신앙인은 늘 하나님의 말씀을 통하여 인생관과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여야 한다 (신앙인의 자세).
신앙인의 실수는 대개 하나님의 말씀에 철저하지 못한 가운데 인생과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한 결과이다.
본문은 신광야 가데스에서 사건들로서 미리암의 죽음과 물이 없다는 백성의 원망, 반역에 대한 모세와 아론의 태도이다.
1. 죽는 인생임을 기억하여야 한다.
(본문 1절) 신광야에서 모세와 아론의 누이 미리암의 죽음은 모세와 아론에게는 상대한 충격적인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형제 자매의 죽음은 곧 자신들의 죽음도 가까움을). 신앙인은 죄의 형벌인 죽음에 대하여 심각하게 생각하여 행동하며 살아가야 한다 (민 11:12). 이스라엘 민족이 광야 생활 중에 민족적으로 늘 가지고 다닌 것은 성막과 요셉의 해골이었다. 요셉의 해골이 주는 교훈은 위대한 신앙의 위인도 죽었고, 하나님의 약속을 믿은 요셉의 해골은 그의 믿음에 따른 맹세대로 함께 출애굽을 하였다는 믿음의 능력을 교훈한다 (히 9:27).
죽음을 생각하는 신앙인은 죽음 이후에 하나님의 심판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롬 14:10).
2. 사람을 상대하지 말아야 한다.
(본문 6절) 모세와 아론은 이스라엘 민족의 원망과 불평, 반역에 그들의 총회를 떠났다. 이는 변덕스러운 인생을 상대하지 않겠다는 의미이다. 인생은 결코 믿을만한 존재가 되지 못한다 (시146:3. 렘 17:5-6).
① 인생은 몰인정한 존재이다 (1절, 공박 - 히브리어로‘알,~에 대하여’몰아붙임) 미리암의 죽음, 장례를 치런지가 얼마되지도 않은 때에 출애굽과 광야 40여년을 이끌어온 일등공신들을 인정 사정없이 몰아 붙이고 있다.
② 물질주의자들이다 (본문 2절, 물, 맛있게 먹을 것들이 없으므로).
③ 자기들만 아는 자들이다 (본문 4-5절, 우리와 우리 짐승으로.‘강도야!’하지말고‘불이야!’라고 소리쳐야함)
④ 원망과 불평만을 일삼는 자들이다 (본문 4절,‘없다’는 말이 5번 나옴).
인생을 상대하면 결국 실망하게 마련이다 (나폴레옹 - 나는 전쟁에 진 것이 아니라 전우에게 배신 당했다).
3. 하나님께 엎드려야 한다.
(본문 6절) 문제 앞에서 어떤 자세와 태도, 누구를 찾아가느냐가 중요하다. 하나님만을 전적으로 의지함이 최선의 길이다.‘엎드린다’함은 ① 존경과 경외의 태도요 ② 잘못과 부족, 실수를 인정하여 용서를 구함이며 ③ 도움을 요청하는 자세이다.
신앙의 위인들은 모두 하나님께 엎드리는 자들이었다 (아브라함, 창 17:3. 다윗왕, 다니엘).
하나님께서는 엎드리는 자에게 반드시 해결책과 은총과 긍휼, 복을 주신다 (본문 6-8절. 중국 선교의 아버지라고 불리 우는 허드슨 테일러는 애인의 배신에도 혼자서 전적으로 하나님만을 의지하고 중국 선교에 발을 내딛음. 시127:1-2. 37:3-4).
4. 하나님의 말씀에 철저하여야 한다.
본문 다음에 모세와 아론이 실수가 기록되었고, 그 결과로 가나안 땅에 들어가지 못하게 되었다 (민 10:10-12).
① 불신앙이었다 (12절). 믿음의 사람은 자신의 감정에 사로잡혀 혈기를 내지 아니 하고, 하나님의 전적 통치와 심판을 믿고 매사에 온유하여야 한다 (11절, 패역한 너희여 들으라. 그 지팡이로 반석을 두번 치매. 찬송가 431장).
② 하나님의 거룩함을 드러내지 못하였다 (12절). 이는 교만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가리우고 자취 (自取)함이었다 (11절, 우리가 너희를 위하여 이 반석에서 물을 내랴). 이 모든 배경은 하나님의 말씀에 민감하지 못한 까닭이다 (출 17:6).
결 론 :
우리가 하나님을 바르게 섬기기 위해서는 신앙의 바른 자세가 중요하다, 광야 40년의 마지막 여정이었던 가데스의 사건을 중심으로 하여 신앙인의 자세를 가다듬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복이 넘치기를 축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