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사무엘 하권 7,18-19.24-29
나탄이 다윗에게 말씀을 전한 뒤 18 다윗 임금은 주님 앞에 나아가 앉아 아뢰었다. “주 하느님, 제가 누구이기에, 또 제 집안이 무엇이기에, 당신께서 저를 여기까지 데려오셨습니까? 19 주 하느님, 당신 눈에는 이것도 부족하게 보이셨는지, 당신 종의 집안에 일어날 먼 장래의 일까지도 일러 주셨습니다. 주 하느님, 이 또한 사람들을 위한 가르침이 되기를 바랍니다.
24 또한 당신을 위하여 당신 백성 이스라엘을 영원히 당신의 백성으로 튼튼하게 하시고, 주님, 당신 친히 그들의 하느님이 되셨습니다. 25 그러니 이제 주 하느님, 당신 종과 그 집안을 두고 하신 말씀을 영원히 변치 않게 하시고, 친히 말씀하신 대로 이루어 주십시오. 26 그러면 당신의 이름이 영원히 위대하게 되고, 사람들이 ‘만군의 주님께서 이스라엘의 하느님이시다.’ 하고 말할 것입니다. 또한 당신 종 다윗의 집안도 당신 앞에서 튼튼해질 것입니다.
27 만군의 주 이스라엘의 하느님이신 당신께서는 당신 종의 귀를 열어 주시며, ‘내가 너에게서 한 집안을 세워 주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래서 당신 종은 이런 기도를 당신께 드릴 용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28 이제 주 하느님, 당신은 하느님이시며 당신의 말씀은 참되십니다.
당신 종에게 이 좋은 일을 일러 주셨으니, 29 이제 당신 종의 집안에 기꺼이 복을 내리시어, 당신 앞에서 영원히 있게 해 주십시오. 주 하느님, 당신께서 말씀하셨으니, 당신 종의 집안은 영원히 당신의 복을 받을 것입니다.”
복음 마르코 4,21-25
그때에 21 예수님께서 군중에게 말씀하셨다. “누가 등불을 가져다가 함지 속이나 침상 밑에 놓겠느냐? 등경 위에 놓지 않느냐? 22 숨겨진 것도 드러나기 마련이고, 감추어진 것도 드러나게 되어 있다. 23 누구든지 들을 귀가 있거든 들어라.”
24 예수님께서 다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새겨들어라. 너희가 되어서 주는 만큼 되어서 받고, 거기에 더 보태어 받을 것이다. 25 정녕 가진 자는 더 받고, 가진 것 없는 자는 가진 것마저 빼앗길 것이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는 사람의 잘못 여섯 가지를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하나, 남을 깎아내리면 자기가 올라간다고 착각함.
둘, 바꾸거나 고칠 수 없는 일로 걱정함.
셋, 어떤 일을, 자기가 이룰 수 없으니까 불가능한 일이라고 주장함.
넷, 대중의 편견을 생각 없이 따름.
다섯, 생각의 발전과 진보를 무시하여 독서하고 공부하는 습관을 들이지 아니함.
여섯, 다른 사람에게 자신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라고 강요함.
정말로 우리들은 이러한 잘못을 끊임없이 반복하면서 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바로 나를 중심에 두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것이지요. 내가 중심에 있기에 그 무엇도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며, 그래서 주님도 이 가운데 함께 하실 수가 없는 것입니다. 이런 이야기가 생각납니다.
옛날, 바른 나라의 왕이 참된 나라 왕의 초대를 받아 놀라갔습니다. 참된 나라의 왕이 자기 나라 풍습에 따라서 다가와 뺨에 입을 맞추려 하자 바른 나라의 왕은 질겁했지요. 모르는 사람끼리 입술을 갖다 대는 것은 바른 나라에서는 불결한 행동으로 있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바른 나라의 왕은 자신이 교육을 제대로 받은 신사중의 신사라는 사실을 증명할 생각으로 참된 나라 여왕에게 다가가 엉덩이를 슬슬 어루만졌습니다. 왜냐하면 이 행동이야말로 바른 나라에서는 “댁의 아내가 참으로 아름답고 건강하구려.”라는 칭찬이었거든요.
하지만 참된 나라의 왕은 어떻게 생각했을까요? 노발대발했지요. 왕은 당장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선전 포고를 했고, 바른 나라와 참된 나라의 전쟁으로 숱한 사람들이 죽어갈 수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바로 다른 이를 받아들이지 못한다는 것이 얼마나 큰 잘못으로 변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이야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런데 우리들도 이러한 잘못 속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앞서도 말씀드렸듯이, 주님이 아닌 내가 중심이 되어서 인간이 저지를 수 있는 잘못을 또다시 반복하고 있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등불의 비유 말씀을 해주십니다. 등불은 함지 속이나 침상 밑에 두는 것이 아니라, 등경 위에 놓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이 말은 곧 무엇을 의미할까요? 당연한 진리를 쫓으라는 것입니다. ‘나’를 중심에 세움으로 인해서 진리에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주님’을 중심에 세워서 진리를 따라야 한다는 것입니다.
과연 여러분은 무엇을 중심에 두고 있었는지요? 이제는 사람이 할 수 있는 잘못들에서 벗어나야 하지 않을까요?
사람의 잘못 여섯 가지에서 벗어나도록 노력합시다.
프링글스 마크의 뒷이야기(‘행복한 동행’중에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감자 칩 ‘프링글스’. 이 상표명은 감자를 뜻하는 포테이토와 두운이 같은 이름을 찾던 중 프링글스 드라이브 도로 근처에 살던 한 직원의 제안으로 채택됐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또 다른 이야기가 전해진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과 독일군이 치열하게 싸우던 어느 작은 마을. 프록터앤드 갬블사의 창업자인 루카시 도비슨은 독일군의 공습에 부모를 잃은 전쟁 고아였다. 어느 날, 먹을 것이 없어서 군부대 취사실에서 몰래 양식을 훔쳐 나오던 루카시는 투박한 군인의 손에 붙들린다. 호된 야단을 맞을 줄 알았던 루카시, 그러나 그의 손에 감자 몇 알과 고기를 안겨 주며 군인은 말없이 웃었다. 동그란 얼굴에 인자한 콧수염을 단 벙어리 병사 프링글스와의 첫 만남이었다. 전쟁이 악화되는 상황에서도 그렇게 고아 소년과 벙어리 병사의 인연은 계속되었다.
부대가 독일군에게 포위되어 병사들마저 굶은 사태가 속출하던 어느 날, 루카시는 프링글스가 탈영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그리고 얼마 못 가 연합군의 한 벙어리 병사가 독일군의 밭에서 감자를 훔치다가 잡혀 곧 총살될 예정이라는 이야기가 들려왔다. 루카시는 ‘설마’하는 예감에 형장으로 뛰어 들어갔지만 한발 늦고 만다. 한 발의 총성이 울렸고 루카시의 눈앞에 총을 맞은 프링글스의 모습이 보였다. 프링글스의 고개가 숙여지며 벗겨진 군모 속에서 조그만 감자 네일이 굴러 떨어졌다. 그것은 굶고 있을 루카시를 생각하며 프링글스가 목숨을 걸고 캐낸 식량이었다. 루카시는 이 감자 네 알을 잊지 않았고, 훗날 자신이 만든 감자 칩에 언제나 인자하게 웃던 은인의 얼굴을 새겼다고 한다.
첫댓글 나중심에서 주님중심으로 끊임없이 노력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 찬미예수님~~! 신부님, 오늘은 더욱 감사한 마음입니다. 건강하세요~~~^^ _()_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신부님!!!
고맙습니다...
여섯가지에 다 해당이 되네요..아무리 숨기려해도 드러날 것은 드러나는것 같아요. 행동으로요.. 남을 헤아리려 하지 않는것은 게으름인것 같아요. 조금만 더 시간을 들여 고민하고, 타인에게 시간을 내어주고, 기다려보려고 하지 않는..나를 떠나면 더 좋은것이 타인안에 있다는것을, 배우고자 하는 열망이 식어버린것이 안타깝습니다. 등잔의 용도는 어둔방을 밝히는것이듯이, 제 자신의 용도를 안다면, 무엇을 해야할지도 알게되겠지요. 가장 기본적인것은 우선, 내가 만나는 사람에게 관심을 갖는거예요. 일로 만나든, 무엇으로 만났던간에..제 앞엔 한 인간만이 있음을 명심하겠습니다.
어떠한 상황을 떠나서 프링글스의 눈에는 배고픈, 식량이 필요한 가엾은 어린 루카스만이 보였으니까요. 신부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드려요~^^
아멘! 담아갑니다.
+ 찬미예수님! .......... ^^ 나 중심을 버린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요. 그러나, 주님안에 중심을 두고 살지 않으면, 그 모든것이 꽝! *^^*이 됨을!! ...좋은 묵상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