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행사는 '2009 세계 천문의 해' 국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국내천문기관이 함께 참여한 행사입니다. 여러 사이트에서 관측한 영상을 모아 제공하는 것으로 영상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기관에 있습니다.
국립과천과학관 (과천)

김해천문대 (김해)
김해천문대에서는 녹색필터를 이용하여 일식 진행을 관측하였다. 동영상보기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서귀포시)
태양이 가장 많이 가려지는 제주도에서 관측한 영상으로 극대기 때 관측한 영상(KST 10:48)이다.

제주별빛누리공원 (제주시)
태양이 가장 많이 가려지는 제주도에서 관측한 영상으로 극대기 때 관측한 영상(KST 10:48)이다.

충북대학교 천문대 (충북 진천)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 태양플레어망원경)
태양 전용 관측 장비를 이용하여 가장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기상 조건이 좋지 못해 부식일식 시작과 종료 시점 근처에서만 관측할 수 있었다.


한국천문연구원 (중국 Tianhuangping)
한국천문연구원 개기일식 원정팀이 촬영한 태양 영상. 수 십장의 개기일식 사진을 영상처리한 뒤에야 일반인들이 볼 수있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원정팀이 귀국한 뒤에 영상처리를 거쳐 추가 영상을 제공할 계획이다.

동영상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