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로폰네소스전쟁.hwp
1. 델로스동맹 (군사동맹)
페르시아의 침략이 빈번하자 위기감을 느낀 그리스의 도시국가들은 동맹을 형성하였고 그것이 바로 델로스동맹이다. 그리스 도시국가중 가장 강성하였던 아테네를 중심으로 형성한 동맹이었기에 아테네동맹이라 불렸으나 동맹의 군자금을 델로스 섬의 아폴론신전에 보관하게 됨으로써 델로스동맹으로 바뀌었다. 초기 아폴론신전에 군자금을 보관할 당시에는 모든 동맹원간의 권리가 평등했으나 곧 맹주였던 아테네로 군자금 보관 장소를 옮기게 되자 아테네는 모든 도시국가들의 위에 군림하기 시작했다. 아테네의 군림에 반발해 스파르타와 아테네는 전쟁(펠로폰네소스 전쟁)을 치렀고 스파르타의 승리로 전쟁은 끝을 맺는다. 허나 불필요한 동맹의 체결로 인해 그리스는 몰락하게 되었다.
페리클레스
(, 기원전 495년 ~ 기원전 429년)는 고대 그리스의 황금시대(특히, 페르시아 전쟁 및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기)에 아테네에서 활동하던 정치인, 웅변가, 장군이었다. 페르시아 전쟁 시기 중 기원전 500년경부터 기원전 450년까지의 방어의 기간 동안 아테네는 페리클레스의 지도로 국력이 크게 신장하였다.
2. 펠로폰네소스 전쟁
고대 그리스의 스파르타가 주도하는 펠로폰네소스 동맹 도시국가들과 당시의 그리스 본토에 강권을 가지고 있던 아테네 및 아테네가 주도하는 델로스 동맹 사이의 전쟁을 일컫는다. 이 전쟁은 기원전 431년에 시작하여 기원전 404년 아테네의 패배로 끝을 맺었다. 역사가 투키디데스가 그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서 이미 잘 지적하였듯이, 이 전쟁이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의 정치, 역사 그리고 문화에 끼친 영향은 매우 주목할 만한 것으로평가된다.

펠로폰네소스 전쟁도
3. 전쟁의 원인
내전으로 분류하기도 애매한 이 전쟁은 (당시 그리스인들에게 다른 폴리스는 엄연히 다른 나라였기 때문이다) 페르시아와 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델로스 동맹을 주도하며 델로스 섬에 위탁된 자금을 관리하던 아테네가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주도권을 장악하자 이에 스파르타가 내심 불만을 가지면서 위기가 고조되었다. 아테네와 스파르타는 모든 면에서 대조적이었고 따라서 대립의 소지가 컸다. 아테네가 델로스 동맹을 발판으로 강대한 제국으로 발돋움하자 스파르타와 충돌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아테네가 코린트 및 메가라를 위협하면서 코린트 지협을 장악하는 동시에 서부 지중해로 진출하려 하자 스파르타와 충돌에 부딪히게 된다. 그러나 스파르타와 30년간 평화조약으로 끝을 맺었다. 욕심을 버리지 못하던 아테네는 코린트 시와 상업상 이해관계의 충돌에 있는 식민시 코르 키라 와 동맹을 하게 된다. 이는 펠로폰네소스 동맹에 커다란 위협이 되었다. 그러나 페리클레스가 건재한 동안에 스파르타는 아테네에 대해 별 다른 대응을 하지 않았으며, 페리클레스 사후 스파르타는 아테네를 상대로 전쟁에 돌입했다. 이에 28년간이나 계속된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시작된다.
4. 과정
처음에는 아테네가 이길 공산이 매우 컸었다. 그러나 뜻밖의 재앙을 만나서 큰 피해를 입게 된다. 승패도 없이 전쟁을 계속하다가 니키아스의 평화가 맺어진다. 그러나 전쟁 중에 계속되고 있던 제국내의 분열이 계속 일어나는 것을 방치했다가는 제국의 영원한 멸망을 의미함으로 아테네는 기필코 승리를 얻어야만 했다. 지도자로는 알키비아데스가 추천되었다. 그는 아주 치밀한 계획을 세웠으나 정적들의 사소한 고발로 알키비아데스는 결국 스파르타로 도망가 그 계획의 전부를 말해버린다. 이것은 아테네에게는 매우 큰 타격이었다. 페르시아와 조약을 맺은 스파르타는 흑해의 차단에 나섰다. 여기에서는 아테네는 너무 많은 피해자를 내게 된다. 결국 지도자는 쫓겨나게 된다. 아테네는 스파르타의 조건을 무조건 받아들이게 되었고, 아테네제국은 완전히 해체되고 모든 해외 재산을 포기하며 많은 성들이 파괴된다.

펠로폰네소스 전쟁도 상황도
5.아테네의 굴복
오랜 전쟁 끝에 주도권은 아테네에서 스파르타로 넘어가고 번영의 꽃을 피우던 아테네가 전투력만 높을 뿐 생활수준이나 문화가 크게 떨어진 스파르타의 지배를 받으면서 그리스 전체는 점점 쇠퇴의 길을 걷게 됩니다. 결국 기원전 400년부터 기원전 340년까지 스파르타가 테베에 패하면서 아테네는 부흥하고 주도권이 다시 테베로 넘어가는 과정을 겪었으나, 기원전 340년~기원전 300년 마케도니아 왕국이 그리스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된다.그 후 마케도니아 왕국의 필리포스 왕이 주도권을 장악한 이후 그리스는 유럽 역사의 주 무대에서 과거와 같은 영광을 누리지 못하고 퇴장하였으며, 오스만 튀르크의 식민지가 되기도 하였다. 단지 그들의 신화와 철학만이 남아 후세에 영향을 끼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