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코리아뉴스 / 권현 기자] 비만·과체중인 사람 10명 중 8명은 식욕촉진 호르몬인 `그렐린`(ghrelin)의 방출로 인해 다이어트에 성공할 가능성이 적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인디언익스프레스는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 카티아 마르틴스(Catia Martins) 박사가 "평균 체중 125kg인 사람들이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 2년 동안 참여해 평균 11kg을 감량했지만, 10명 중 2명만이 감량한 체중을 유지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0일 보도했다.
- ▲ 비만·과체중인 사람 10명 중 8명은 식욕촉진 호르몬인 ‘그렐린’(ghrelin)의 방출로 인해 다이어트에 성공할 가능성이 작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비만·과체중인 사람 10명 중 8명은 식욕촉진 호르몬인 `그렐린`(ghrelin)의 방출로 인해 다이어트에 성공할 가능성이 작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마르틴스 박사는 "대부분 비만한 사람이 체중 감량에 성공했지만, 이 중 20%만이 체중을 유지했다"며 "나머지 80%는 체중 감소에 대한 저항으로 위장에서 식욕촉진 호르몬인 그렐린이 분비돼 요요현상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이 연구결과는 과체중인 상태에서 살을 빼면 그렐린 수치가 증가하는데 시간이 지나도 이 수치가 높게 유지된 것을 보여줬다"며 "과체중인 사람은 다이어트를 할 때 그렐린 분비에 따른 식욕증가를 염두에 둬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생리학, 내분비학 및 신진대사 저널(Journal of Physiology, Endocrinology and Metabolism)에 게재됐다.
* Copyright ⓒ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229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