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흘 넘겨 연기나지 않던
어린 날 굴뚝에,
와서 울던
굴뚝새
미역국에 하얀 밥 한 그릇 먹기
평생 소원이던
울 엄니 무덤 위로
펄펄 날리는
창백한 눈발을 아는가
굶어 누우런 골마다
산이란 산 활활 타오르고
염병이 돌아, 염병이 돌아
지잉징징
밤새 징이 울고
머리 맡에
찬물 한 사발
긴 밤을 깁는
고얀 놈, 고얀 놈
할아버지 마른 기침소리 들린다.
갑오년이던가
쇠스랑 메고 조선낫 들고
황토 벼랑 기어 오르던
남정네 콸콸 솟던
피, 지금도 우렁우렁 살아 우는 피로
삼천리에 피었다.
진달래<전문>/조지훈
~~~~~~~~~~~~~~~~~~~~~~~~~~
봄 햇살이 노오랗게 온 마을을 덮으면
겨우내 잠겼던 문이 열리고
느릿느릿 사람들이 움직이는 게 보였다.
모두 굶주린 모습들이었다.
앞뒤 야산에는 진달래가 흐드러지게 피었다.
용천백이의 웃음처럼 억울하게 매맞고
울음 대신에 미친듯이 히히대는 우리 흥부네 웃음처럼.
배가 고팠으며 살고 싶었다.
코피를 쏟던 마른 봄 그 해에...,
배가 고파 허기져도 정은 있었고,
콧물 흘리던 그 시절에도 개천의 용꿈을 꾸었다.
하얀 쌀밥에 따뜻한 국물,
잠자리가 불편 하다지만 그냥도 얻어 먹는다.
한 세대가 이렇게 격세지감 변할 줄 누가 알았으랴~
무엇이 문제인가?
스스로 남과 나의 비교...
송충이 솔잎, 배추벌레는 배춧잎이다.
황소는 황소대로, 뱁새는 뱁새대로
자기만의 소기의 가치 추구가 달랐기 때문이리라.
공적인 불만이라면, 공정한 원칙에 벗어난,
위정자와 기업가, 행정가가 욕심을 덜어내는 일이다.
그래도 마음먹기에 따라서는 살만한 세상이다.
-지산-
잘 읽고 감동받아 습니다 퍼 갑니다 감사 합니다,,,
지산님

생각나는대로 하세요.
&꽁당보리밥 책이서점에서 판매 되고있어요.
은 지산 이민홍선생님&구자행쌤 덕분입니다.
내가 어릴때 얘기 듣는것 같습니다.
이밥 구경하기 힘들때 ,
너무너무 아프니 어머니께서 미역국&이밥한그릇을 아랫목에.
기운없는몸으로 기어가서 국을 한숱을 먹었습니다.
쓰디쓴 국물을 먹을 수가 없었습니다.
바라보면서 생각...
이밥을 건강할 때 주었으면 얼마나 맛있게...
지산선생님
저는 만학도 인데요.
고등학교때 구자행선생님께서 글을 써라고해서
모두들 쓸줄 모릅니다.
여러명 글을 모아서 찔레
이런
고맙습니다.
더운날 건강하세요.
고운글 울님들인데 자랑 하러고요.
퍼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