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實相은 無常이고」
실상은 우주만유의 존재로서 참 모습을 규명해 보면
물질적인 존재는 그 인연에 따라 머물다가 결국 그 인연이 다하면
소멸되어 궁극에는 텅 비워져 한 물건도 없는 것이기 때문에
무상이라 하는 것이며, 실상무상은 이 세상의 근본 바탕이 되는 것입니다.
「妙法은 無生이며」
묘법은 부처님의 신통 부사의한 법에는 생사를 여의어 일체의 괴로움이 없는 것입니다.
「蓮華는 無染이다.」
연꽃은 불교의 견성 자각을 이룬 보살을 상징하는 꽃으로서 처염상정이라는 말로도 표현하는데,
견성자각으로 생사를 여읜 보살은 중생제도를 위하여 생사의 중생계에 들더라도
욕망의 분별을 여의었기 때문에 생사윤회의 업에 물들지 않습니다.
「無常으로 體를 삼고」
자아 본성과 우주만유의 근원은 텅 비워져 있음을 개달아 자기 삶의 근본바탕으로 삼고,
「無生에 安住하여」
나고 죽음이 없는 신통 부사의한 바른 법에 편안히 머물러,
「無染으로 生活하면」
나고 죽음에 물들지 않는 생활을 하면,
「그것이 곧 無上菩提요」
그것이 위없이 바르고 평등한 바른 깨달음(무상정등정각)이요.
「無碍解脫」
생사의 괴로움에서 벗어나 걸림 없는 자유인이며,
「無限生命 自體具現」
자아의 참 모습을 회복하여 본디 오고감이 없는
자기 생명의 참 모습을 나타내 보이는 것입니다.
「一心常淸淨 處處蓮華開」
우리의 근원인 본래 청정한 한 마음으로 돌아가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생사에 물들지 않는 연꽃이 만개할 것입니다.
=============================================
구인사 홈을 참고하였습니다.
우리가 늘 독송하는 연꽃개화에 대한 게송이 또 있죠.
“慈光照處蓮花出 자광조처연화출 慧眼觀時地獄空 혜안관시지옥공”
자비롭게 바라보는 곳에 연꽃이 피어나고
지혜의 눈으로 관할 때 지옥은 빈다.
‘일심상청정’은 ‘자비롭고 지혜로운 마음의 지속됨’을 말 할 것입니다
.
.